목차
1. 수의 고구려 원정과 실패
2. 아편전쟁
2. 아편전쟁
본문내용
사신과 황제의 대등한 면담 등을 내용으로 한 天津條約을 체결함. 그러나 1859년 청조는 조약의 내용이 황제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전통적인 朝貢외교에 배치된다는 이유를 내세워 천지조약의 비준서 교환을 거부하고 조약파기를 선언함. 청 정부의 이런 조치에 영·불 연합군은 1860년 7월 2차 출병을 실시하여 그 해 8월에 북경을 점령하여 자금성과 원명원 등을 파괴함. 이에 청 정부는 10월에 천진조약 내용 이외에 天津개항, 400만 파운드 배상금 지불, 구룡반도의 할양 등을 추가한 북경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사태를 마무리함.
⑥ 아편전쟁의 결과와 영향
[ 아편전쟁의 삽화 모습 ]
* 아편으로 인해 중국은 서구열강의 상품시장과 원료공급지로 전락하고, 아편수입의 증대로 중국사회의 無力化를 초래함. 나아가 서구열강의 본격적인 중국약탈에 따른 영토와 주권상실로 半식민지사회로 전락하면서 淸朝 권위의 몰락과 反제국주의, 反봉건주의 투쟁의 계기를 마련함. 반면, 중국은 아편전쟁으로 서양의 과학문명에 대한 지식층의 관심과 중국 근대화운동의 시발이 된 양무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조성할 수 있었으며, 중국이 국제적 고립상태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시장체제로 편입되는 계기 마련함.
⑥ 아편전쟁의 결과와 영향
[ 아편전쟁의 삽화 모습 ]
* 아편으로 인해 중국은 서구열강의 상품시장과 원료공급지로 전락하고, 아편수입의 증대로 중국사회의 無力化를 초래함. 나아가 서구열강의 본격적인 중국약탈에 따른 영토와 주권상실로 半식민지사회로 전락하면서 淸朝 권위의 몰락과 反제국주의, 反봉건주의 투쟁의 계기를 마련함. 반면, 중국은 아편전쟁으로 서양의 과학문명에 대한 지식층의 관심과 중국 근대화운동의 시발이 된 양무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조성할 수 있었으며, 중국이 국제적 고립상태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시장체제로 편입되는 계기 마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