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서론: 고구려 문화 유산(고분 벽화)의 인식
본론: 1.벽화 고분의 구조적 특징
2.벽화의 내용과 그 변화 발전
①인물 퐁속도가 그려진 고분(인물 풍속도 무덤)
②인물 풍속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인 물 풍속 및 사신도 무덤)
③사신도가 그려진 고분(사신도 무덤)
④기타 장식무늬
3.고구려 고분 벽화의 이해
결론:고구려 고분벽화의 소중함을 느끼며..
서론: 고구려 문화 유산(고분 벽화)의 인식
본론: 1.벽화 고분의 구조적 특징
2.벽화의 내용과 그 변화 발전
①인물 퐁속도가 그려진 고분(인물 풍속도 무덤)
②인물 풍속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인 물 풍속 및 사신도 무덤)
③사신도가 그려진 고분(사신도 무덤)
④기타 장식무늬
3.고구려 고분 벽화의 이해
결론:고구려 고분벽화의 소중함을 느끼며..
본문내용
무덤의 내부시설과 부장유물, 벽화제작 화가집단의 선정, 벽화의 규모와 표현수준 등이 묘주인과 그 일족의 신분. 계급적 위치와 무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비평-전호태 312P참조
ㅇ.양식성과 예술성
고분벽화는 회화의 형태로 남겨진 역사. 문화자료이므로 화가 내지 화가집단에 의해 드러나는 부분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른바 공예성과 창작성, 양식성과 예술성의 문제, 미술사적 발전. 변화과정이 검토되어야 하는 것이다. 역사비평-전호태 313P참조
회화의 초기단계에는 화가는 인물보다는 동물, 운동상태보다는 정지상태, 정면관 보다는 측면관을 선호하고, 그 묘사에 익숙해지는 경향이 있다. 인물은 표정 없는 몰개성적 얼굴과 굳고 어색한 몸놀림에서, 표정이 뚜렷하고 개성이 있는 얼굴과 자연스럽고 유연한 몸놀림을 보이는 존재로 바뀌어간다. 고분벽화에서도 이러한 과정은 그대로 나타난다. 그리고 원근.대
소의 구분없이 개략적으로 그려지던 산과 나무가 6C에 이르면 원근.대소가 고려되면서 암산과 토산이 구분되며, 산 주름이 묘사되며, 나무의 줄기와 가지, 잎이 종류에 따라 구분될뿐 아니라, 그 자체가 독립된 표현대상이 된다. 역사비평-전호태313~314P참조
ㅈ.기법. 재료 및 기술상의 문제
고구려고분벽화는 초기와 중기에는 벽면에 회를 바른 후, 물기가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프레스코법으로 만들어지나, 후기 사신계 벽화에서는 판석면을 잘 다듬은 후 그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기법으로 제작된다. 화가의 묘사기량이 향상되고 과학적 안료추출 및 배합법이 개발되었을 뿐 아니라 고분축조 재료가 판석으로 바뀌는 등의 변화가 있었던 결과이다. 특히 회벽면과 달리 판석면이 안고 있는 안료흡착 및 보존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할 때, 판석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고도의 과학적 안료추출과 아교재료의 변화, 안료와 아교 배합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인 전제조건 가운데 하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역사비평-전호태315P참조
결론:고구려 고분벽화의 소중함을 느끼며..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우리는 머나먼 시간 여행을 다녀왔다. 조상님들의 숨결이 묻어나오고 있었다. 그야말로 고분 속에서 피어나는 소풍이었던 것 같다. 역사적 배경에서부터 선조들의 생활 모습, 현실 인식과 내세관 등을 알 수 있었다. 사실 고분벽화를 통해서 그 모든 것을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벽화 속의 고구려 인들은 힘찬 기상과
ㅇ.양식성과 예술성
고분벽화는 회화의 형태로 남겨진 역사. 문화자료이므로 화가 내지 화가집단에 의해 드러나는 부분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른바 공예성과 창작성, 양식성과 예술성의 문제, 미술사적 발전. 변화과정이 검토되어야 하는 것이다. 역사비평-전호태 313P참조
회화의 초기단계에는 화가는 인물보다는 동물, 운동상태보다는 정지상태, 정면관 보다는 측면관을 선호하고, 그 묘사에 익숙해지는 경향이 있다. 인물은 표정 없는 몰개성적 얼굴과 굳고 어색한 몸놀림에서, 표정이 뚜렷하고 개성이 있는 얼굴과 자연스럽고 유연한 몸놀림을 보이는 존재로 바뀌어간다. 고분벽화에서도 이러한 과정은 그대로 나타난다. 그리고 원근.대
소의 구분없이 개략적으로 그려지던 산과 나무가 6C에 이르면 원근.대소가 고려되면서 암산과 토산이 구분되며, 산 주름이 묘사되며, 나무의 줄기와 가지, 잎이 종류에 따라 구분될뿐 아니라, 그 자체가 독립된 표현대상이 된다. 역사비평-전호태313~314P참조
ㅈ.기법. 재료 및 기술상의 문제
고구려고분벽화는 초기와 중기에는 벽면에 회를 바른 후, 물기가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프레스코법으로 만들어지나, 후기 사신계 벽화에서는 판석면을 잘 다듬은 후 그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기법으로 제작된다. 화가의 묘사기량이 향상되고 과학적 안료추출 및 배합법이 개발되었을 뿐 아니라 고분축조 재료가 판석으로 바뀌는 등의 변화가 있었던 결과이다. 특히 회벽면과 달리 판석면이 안고 있는 안료흡착 및 보존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할 때, 판석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고도의 과학적 안료추출과 아교재료의 변화, 안료와 아교 배합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인 전제조건 가운데 하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역사비평-전호태315P참조
결론:고구려 고분벽화의 소중함을 느끼며..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우리는 머나먼 시간 여행을 다녀왔다. 조상님들의 숨결이 묻어나오고 있었다. 그야말로 고분 속에서 피어나는 소풍이었던 것 같다. 역사적 배경에서부터 선조들의 생활 모습, 현실 인식과 내세관 등을 알 수 있었다. 사실 고분벽화를 통해서 그 모든 것을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벽화 속의 고구려 인들은 힘찬 기상과
추천자료
이슬람과미패권주의
한-미 FTA 체결이 한국경제에 미칠 예상효과
[혼전순결] 혼전순결에 대하여 - 혼전순결 정의, 여론조사, 찬반비율 분석, 의식의 변화, 순...
고대고분에 관하여....
씨름에 대한 역사와 현대씨름, 용구,의식행사
칼 융 (Carl Jung)의 ‘동시성(Synchronicity)’과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
[초등학생][초등학생발달][아동발달][초등교육]초등학생의 역사의식발달, 초등학생의 독서흥...
고구려 벽화와 고대 동아시아의 벽화천문전통 연구
초.중.고 교과서에 내제된 이데올로기, 집단 의식, 관념 등
한국, 미국, 일본(한미일) 대학생들의 창업환경에 대한 의식조사와 대학생창업활동의 육성-제...
[일본 대중문화] 스모에 대한 일본인의 미의식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미술작품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와 이해 -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 레오나르도 다빈치, 뉴...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영화‧광고‧문학의 성의식에 대한 고찰
학우들의 성형수술(成形手術)에 대한 의식과 태도조사.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