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굴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stability의 기본개념

3. 좌굴의 종류 및 용어정리

4. 좌굴방지대책

5. 사장교 좌굴안정성 평가에 관한고찰

본문내용

정한다. 다음으로, 산정된 좌굴응력을 도로교설계기준(2000)의 “압축력과 휨
모멘트를 받는 부재의 응력 및 안정 검토식“ 에 적용하여 주요부재의 좌굴 안정성을 검토.
ⓞ 탄성고유치해석에 의한 좌굴안전성 평가
사장교 주요 부재의 좌굴 안전성 평가를 위해 국내 도로설계기준만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주탑 및 주형 부재의 유효좌굴길이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도로
교설계기준의 “응력 및 안정성 검토식”은 부재단위의 검토기준으로서, 부재양단의 경계조건이 명확히 결정되어 있을 경우에만 기둥의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사장교의 경우, 주형, 주탑, 케이블 등의 결합에 의해 전체 구조계가 복잡한 형상을 가지게 되어 각 부재의 경계조건을 명확히 결정할 수 없고, 또한 하중조건 및 강성분포 등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야만 정확한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nogami와 Yamamoto,1994)
이러한 도로교설계기준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국내에서는 사장교의 좌굴해석의 수행시 다음
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한다.
① 외국설계사의 경험에 기초하여, 사장교의 측경간에 대해서는 지간(Ls)의 1/2, 중앙경간
에 대해서는 중앙경간 지간(Le)의 1/4을 유효좌굴길이로 가정하는 방법
②탄성고유치 해석에 기초한 좌굴형상 (Bucking mode shape)에 있어서, 변곡점간의 거리를 각 부재의 유효좌굴길이로 가정하는 방법
③ 탄성고유치 해석으로부터 도출되는 1차고유치를 각 부재의 축력에 곱하여 임계좌굴하중을 계산한뒤, 오일러 좌굴식을 적용하여 유효좌굴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키워드

좌굴,   구조,   기둥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