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채권이란
2. 유가증권이란
3. 채권의 분류
(1)발행주체에 따른 채권의 분류
(2)이자지급방법에 따라 분류되는 채권 종류
(3)상환기간에 따른 채권의 부류
(4)모집방법에 따른 채권
(5)보증유무에 따른 채권의 분류
4.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 채권수익률
5. 채권의 분류 최종 정리
2. 유가증권이란
3. 채권의 분류
(1)발행주체에 따른 채권의 분류
(2)이자지급방법에 따라 분류되는 채권 종류
(3)상환기간에 따른 채권의 부류
(4)모집방법에 따른 채권
(5)보증유무에 따른 채권의 분류
4.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 채권수익률
5. 채권의 분류 최종 정리
본문내용
에 비해 이자율이 높고 기간이 단기인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금융자율화 추진과 함께 1988년 9월부터 일정 평가등급 이상을 받은 법인으로 발행 허용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발행회사는 투자자들을 위해 당국이 인정한 신용평가기관에서 평가를 받고, 연 1회 이상 회사의 신용평가등급을 공시해야 한다.
발행회사의 상환능력을 기초로 하여 발행하기 때문에 해당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발행조건에 차이가 난다. 신용평가는 신용평가기관에서 하는데 한국신용평가, 한국신용정보, 한국기업평가 등 3개의 평가기관이 수익성·안정성 등 재무구조와 산업위험·경쟁력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내린다. 보통 AAA·AA·A·BBB가 투자등급, BB·B·CCC·CC·C가 투기적등급, D는 부적격등급에 속한다.
※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 채권수익률
- 채권수익률 [債券收益率] : 구입한 채권을 상환시까지 보유한 경우의 수익률로서 권면에 정해진 이자에 상환차익(액면가격과 발행가격의 차)을 더한 합계금액을 투자원본으로 나눈 것이다.
이는 채권의 현재가치와 시장가격을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로 정의되며 채권의 내부수익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채권수익률은 동일한 정도의 위험과 동일한 만기를 갖는 모든 채권에 대하여 증권시장에서의 시장이자율과 같다.
- 실효수익률 [實效收益率]: 채권의 최종수익을 산출할 때 복리이율의 사고방식으로 더욱 강력하게 전개한 것이다.
채권투자를 비교·분석하는 기준으로 여러 가지 투자수익률을 이용하는데, 실효수익률은 원금, 표면이자, 재투자수익 등 3가지 수익을 모두 계산한 투자수익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이는 채권투자액 1원당 미래가치를 구하고 1원당 미개가치와 같게하는 연단위 복리수익률을 계산해 구한다. 즉 이자의 재투자 운용이율을 현실 금리수준과 그 전망 수준에 고쳐놓고 계산한 복리이율이다.
단순한 복리이율의 경우는 이자의 재투자 이율은 유가증권마다 일정한데, 실효이율이라는 것은 상정되는 온갖 재투자이율로 바꾸어 이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연금, 신탁, 생명보험 등의 기관투자가가 곧 잘 이용한다.
- 채권수익률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of bond yield] : 채권수익률의 위험구조란 채권 또는 그 발행주체가 지니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위험에 따른 채권수익률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채권은 원래 지급이자와 원금상환액이 계약상에 명시되어 있는 고정수익증권이지만 이자나 원금상환액이 언제나 계약된 대로 지급되는 것은 아니며, 채권발행 주체의 경영위험이나 재무위험 등으로 인하여 이자나 원금을 지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채권의 수익률 역시 불확실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채무불이행의 위험에는 완전불이행의 위험과 부분불이행의 위험이 있다.
채권수익률은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체감적으로 증가한다.
▣ 채권의 분류 최종 정리
<1> 발행주체에 의한 분류
① 국 채 : 정부발행, 신용도 높고, 무위험 자산으로 다른 채권보다 금리 낮다.
ex)국민주택 2종 채권, 국고채권,...
② 지방채 : 지방자치단체 발행, 발행규모 적어 유동성 상대적으로 낮다.
ex)서울도시철도채권, 대구지역개발채권,...
③ 특수채 : 특별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관(공사)에 의한 채권 발행,
회사채보다 신용도 높다. 회사채보다 시장 유동성이 높다.
ex)한국전력, 주택공사,...
④ 금융채 : 금융기관에서 발행하는 채권
ex)산업금융채권, 카드채, 종금채
⑤ 회사채 :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보증회사채(금융기관에서 지급보증한 채권), 무보증회사채(회사 자체 신용 으로 발행)
<2> 이자지급방식에 의한 분류
① 할인채 :단리로 계산된 상환기일까지의 이자를 액면금액에서 차감하여 발행
② 이표채 : 이자지급을 약속하는 쿠폰이 부여된 채권(일반적인 회사채)
③ 거치채 : 일정기간 거치 후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서울도시철도증권)
④ 복리채 : 만기에 가서 원리금을 일시에 수수하는 채권.(이율로 복리 재투자->만기 원리금 계산)
⑤ 단리채 : 만기에 가서 원리금을 일시에 수수하는 채권.(이율로 단리 재투자->만기 원리금 계산)
<3> 보증유무에 의한 분류
① 보증채 : 발행자의 재산이 원리금 지급의 담보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채권.
② 무보증채 : 지급보증 없이 발행자의 신용도만으로 발행. 보증채권보다 수익률 높다.
<4> 상환기간에 따른 분류 : 절대적 기간 아님.
① 단기채 : 통상 만기가 1년 이하.
② 중기채 : 1년초과 5년 이하
③ 장지채 : 5년초과
한국에서는 금융자율화 추진과 함께 1988년 9월부터 일정 평가등급 이상을 받은 법인으로 발행 허용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발행회사는 투자자들을 위해 당국이 인정한 신용평가기관에서 평가를 받고, 연 1회 이상 회사의 신용평가등급을 공시해야 한다.
발행회사의 상환능력을 기초로 하여 발행하기 때문에 해당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발행조건에 차이가 난다. 신용평가는 신용평가기관에서 하는데 한국신용평가, 한국신용정보, 한국기업평가 등 3개의 평가기관이 수익성·안정성 등 재무구조와 산업위험·경쟁력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내린다. 보통 AAA·AA·A·BBB가 투자등급, BB·B·CCC·CC·C가 투기적등급, D는 부적격등급에 속한다.
※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 채권수익률
- 채권수익률 [債券收益率] : 구입한 채권을 상환시까지 보유한 경우의 수익률로서 권면에 정해진 이자에 상환차익(액면가격과 발행가격의 차)을 더한 합계금액을 투자원본으로 나눈 것이다.
이는 채권의 현재가치와 시장가격을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로 정의되며 채권의 내부수익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채권수익률은 동일한 정도의 위험과 동일한 만기를 갖는 모든 채권에 대하여 증권시장에서의 시장이자율과 같다.
- 실효수익률 [實效收益率]: 채권의 최종수익을 산출할 때 복리이율의 사고방식으로 더욱 강력하게 전개한 것이다.
채권투자를 비교·분석하는 기준으로 여러 가지 투자수익률을 이용하는데, 실효수익률은 원금, 표면이자, 재투자수익 등 3가지 수익을 모두 계산한 투자수익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이는 채권투자액 1원당 미래가치를 구하고 1원당 미개가치와 같게하는 연단위 복리수익률을 계산해 구한다. 즉 이자의 재투자 운용이율을 현실 금리수준과 그 전망 수준에 고쳐놓고 계산한 복리이율이다.
단순한 복리이율의 경우는 이자의 재투자 이율은 유가증권마다 일정한데, 실효이율이라는 것은 상정되는 온갖 재투자이율로 바꾸어 이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연금, 신탁, 생명보험 등의 기관투자가가 곧 잘 이용한다.
- 채권수익률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of bond yield] : 채권수익률의 위험구조란 채권 또는 그 발행주체가 지니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위험에 따른 채권수익률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채권은 원래 지급이자와 원금상환액이 계약상에 명시되어 있는 고정수익증권이지만 이자나 원금상환액이 언제나 계약된 대로 지급되는 것은 아니며, 채권발행 주체의 경영위험이나 재무위험 등으로 인하여 이자나 원금을 지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채권의 수익률 역시 불확실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채무불이행의 위험에는 완전불이행의 위험과 부분불이행의 위험이 있다.
채권수익률은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체감적으로 증가한다.
▣ 채권의 분류 최종 정리
<1> 발행주체에 의한 분류
① 국 채 : 정부발행, 신용도 높고, 무위험 자산으로 다른 채권보다 금리 낮다.
ex)국민주택 2종 채권, 국고채권,...
② 지방채 : 지방자치단체 발행, 발행규모 적어 유동성 상대적으로 낮다.
ex)서울도시철도채권, 대구지역개발채권,...
③ 특수채 : 특별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관(공사)에 의한 채권 발행,
회사채보다 신용도 높다. 회사채보다 시장 유동성이 높다.
ex)한국전력, 주택공사,...
④ 금융채 : 금융기관에서 발행하는 채권
ex)산업금융채권, 카드채, 종금채
⑤ 회사채 :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보증회사채(금융기관에서 지급보증한 채권), 무보증회사채(회사 자체 신용 으로 발행)
<2> 이자지급방식에 의한 분류
① 할인채 :단리로 계산된 상환기일까지의 이자를 액면금액에서 차감하여 발행
② 이표채 : 이자지급을 약속하는 쿠폰이 부여된 채권(일반적인 회사채)
③ 거치채 : 일정기간 거치 후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서울도시철도증권)
④ 복리채 : 만기에 가서 원리금을 일시에 수수하는 채권.(이율로 복리 재투자->만기 원리금 계산)
⑤ 단리채 : 만기에 가서 원리금을 일시에 수수하는 채권.(이율로 단리 재투자->만기 원리금 계산)
<3> 보증유무에 의한 분류
① 보증채 : 발행자의 재산이 원리금 지급의 담보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채권.
② 무보증채 : 지급보증 없이 발행자의 신용도만으로 발행. 보증채권보다 수익률 높다.
<4> 상환기간에 따른 분류 : 절대적 기간 아님.
① 단기채 : 통상 만기가 1년 이하.
② 중기채 : 1년초과 5년 이하
③ 장지채 : 5년초과
추천자료
[사회과학]P2P 서비스와 저작권침해
[베스킨라빈스][마케팅 전략][베스킨라빈스31][마케팅]베스킨라빈스의 마케팅 전략 사례(아이...
인도에는 카레가 없다 (독후감)
베스킨라빈스(Baskin Robbins) 기업 SWOT분석 및 마케팅STP,4P 전략분석 및 경영성공전략분석
(A+자료) 베스킨라빈스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특징과 성...
배스킨라빈스 기업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분석 - SWOT, STP, 4P 등
[A+] 까페띠아모 (CAFFE TIAMO) 사업계획서 (경영전략 분석, 마케팅, STP, SWOT, 4P, 문제점,...
서비스 마케팅 믹스 전략 7P &#8211; 배스킨 라빈스 (베스킨 라빈스/Baskin Robbins)
asean_아세안,국제무역,글로벌경게,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