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직업병]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용어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사례 및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방법,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내용,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과제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골격계직업병]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용어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사례 및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방법,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내용,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용어
1. 근골격계부담작업
2. 근골격계질환
3. 단위 작업
4. 동일 작업
5. 정형 작업
6. 비정형 작업
7. 단위작업장소
8. 최초 유해요인조사
9. 정기 유해요인조사
10. 수시 유해요인조사
11.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

Ⅲ.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사례
1. 미국의 실태
2. 일본의 실태
3. 국내 근골격계질환 발생 실태

Ⅳ.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방법

Ⅴ.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내용

Ⅵ.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예방프로그램 과제
1. 질환자로 의심되는 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관리함으로써 문제를 최소화한다
2. 일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반드시 작업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3. 작업자, 관리자, 노동조합 간부 및 경영진들을 교육하고 훈련한다
4. 위험요인 및 증상을 평가하고 관리 대상 선정과 개선 방향을 설정한다
5. 환경개선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진행 가능 한 것부터 실천해 나간다
6. 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실시한다
7. 작업개선 및 증상 변화에 대한 사후 평가를 진행하고 문제점을 보완한다
8. 최종적인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완성하고 모든 내용을 문서화한다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결 방안이 가장 단순하고 재정적 비용이 가장 적은 곳
6. 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실시한다
근골격계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할 때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을 때는 다음과 같이 질환의 재발율과 결근일수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음과 과정 활동을 통해 의학적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를 선정하고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
① 주기적인 증상조사
② 증상 및 징후가 있는 자의 개별적 보고
③ 질환 의심자에 대한 의학적인 진단
④ 보건관리자의 현장순회 및 면담
⑤ 치료 중인 자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
⑥ 작업 복귀자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
7. 작업개선 및 증상 변화에 대한 사후 평가를 진행하고 문제점을 보완한다
작업개선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드시 문제점을 보완하고 질환 의심자 및 전체적인 작업자 증상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사후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비교 평가해야 한다.
① 위험요인 노출 특성의 변화
② 작업자의 증상 및 질환 발생 특성의 변화(특정기간의 빈도, 질환의 발생율, 강도율, 증상호소율, 의료기간 이용 특성 등)
③ 생산량의 변화
④ 작업자의 만족도 변화
⑤ 비용 효과 분석
8. 최종적인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완성하고 모든 내용을 문서화한다
예방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모든 내용은 기록하여 문서화하고 이를 일정기간 동안 보존해야 한다. 그래야만 전체 예방활동을 비교 평가할 수 있고, 모든 내용을 표준화하여 조직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Ⅶ. 결론
최근 들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작업 방법 및 생산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작업이 단순 반복화되고 다양한 작업공구를 사용하며 작업강도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노동방법의 변화를 거치면서 작업자들에게 나타나는 건강장해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과거에는 각종 화학물질에 의한 여러 가지 중독현상이 직업병의 상위를 차지해 오다가 최근에는 단순반복작업 및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이른바 누적외상성질환과 같은 직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이 직업병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은 집단적이며, 질환자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직업병이다. 근골격계질환은 이미 많은 국가에서 직업병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OSHA)). 미국의 경우(repeated trauma를 기준으로 할 때) 한해 동안 253,300건(전체 직업병의 64.2%)이나 발생하였고 이 중에서 자동차 관련 업종이 39,900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에서 한 해 동안 8개의 조선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 상해 및 직업병 발생건수는 100명당 28.6건으로 나타났고 이 중 근골격계질환자는 42.0%를 차지하여 100명당 10.9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자 중 1일 이상의 작업손실이 발생한 건수는 100명당 4.0건이었고 부분적인 작업제한이 발생한 건수는 100명당 5.9건이었다(NIOSH).
근골격계질환은 다른 직업병과는 달리 노동력 손실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가장 크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음성난청의 경우 발생건수에서는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작업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비용은 극히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질환은 주로 근육의 만성적인 피로로 인해 근육과 혈관 등에 장해가 나타나는 병리적인 특성 상 일정한 육체적인 활동을 해야 하는 모든 노동에 있어 즉각적인 육체적 활동 능력의 저하로 나타나 곧바로 노동력 손실을 가져온다는 데 그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미국의 경우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작업 손실일이 연간 626,000일, 그리고 전체 경제적인 손실비용이 450-540억불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SHA). 미국에서 한 조선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근골격계질환자의 평균 노동력 손실일은 21.3일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비용과 보상비용만을 포함한(임금 손실 비용은 제외) 직접적인 손실 비용은 평균 5,523달러인 것으로 조사되어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비용이 엄청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골격계질환은 1회적인 사업으로 예방될 수 없기 때문에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전사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근골격계질환은 1회적인 사업으로 예방될 수도 없고 또한 위험요인의 특성상 근본적인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이 관리적 측면에서의 시스템적 접근(systemic approach)이 강조되고 있다. 즉, 다른 여타의 직업병과는 달리 질환 발생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문제점에 대한 조기발견 --> 조기치료 --> 조기복귀 등에 초점을 맞추어 회사의 관리체계 내에서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강조되는 게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구체적인 작업관리지침(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ANSI)/HFS 100, 1988 ; ANSI Z-365, 1996 ; OSHA Ergonomics Program, 1999)을 제정함은 물론이고 GM 및 Ford 자동차 회사(The UAW-Ford Ergonomics Process) 등 많은 기업에서는 사업장 특성에 맞는 다양한 예방관리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면서 획기적인 예방효과들을 거두고 있다.
참고문헌
◎ 김재형, 근골격계 질환의 제도적 문제점 및 대응책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2002
◎ 근골격계 질환별 물리치료, 현문사
◎ 노동 환경 건강 연구소 http://greenhospital.myzip.co.kr/wioeh/home/default.asp
◎ 백남섭, 근골격계 아틀라스, 정담출판사
◎ 서문자 외, 셋째판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1997년
◎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 Rene Cailliet,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영문출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