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p. 3
Ⅱ. 부침개란?…………………………………………… p. 3
1. 정의
2. ‘전’의 유래와 어원
3. 부침개의 종류
Ⅲ. 세계로 뻗어나가는 길……………………………… p. 5
1. 와인과의 조화
2. 퓨전 부침개 만들기
3. 다이어트와의 연계
4. 오코노미야키와의 비교
※ 참고문헌
Ⅱ. 부침개란?…………………………………………… p. 3
1. 정의
2. ‘전’의 유래와 어원
3. 부침개의 종류
Ⅲ. 세계로 뻗어나가는 길……………………………… p. 5
1. 와인과의 조화
2. 퓨전 부침개 만들기
3. 다이어트와의 연계
4. 오코노미야키와의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대인 만큼 우리의 부침개도 점차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오코노미야키처럼 우리 부침개에도 어울리는 색다른 소스를 개발하면 어떨까? 초고추장, 간장 이런 양념장들 말고 다른 나라의 소스와 접목시켜도 좋을 것 같다. 이탈리아식 소스 중에 ‘아리오 에오리오 페페론치노 소스’가 있다. 이 소스는 마늘과 고추 올리브유만을 쓰는 소스로 담백하고 매콤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 잘 맞는다고 한다. 이 소스와 부침개를 먹으면 참 색다른 느낌일 것 같다. 그리고 고추장처럼 매운맛을 지닌 칠리소스를 써도 괜찮을 것 같다. 요즘 칠리소스가 대세니까! 모든 요리에 다 잘 어울리는 칠리소스에 부침개를 찍어먹으면 어떨까? 그리고 또한 부침개에 발사믹식초를 뿌려 준다면 더욱 더 맛있는 부침개가 되지 않을까? 부추전, 김치전 등을 먹을 때 초고추장이 아닌 이 소스를 찍어 먹는다면 동서양의 음식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리연구가 최민경씨는 “부침개와 같이 먹을 소스를 다양화해 젊은이들의 입맛에 맞추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시대적 음식형태의 변천을 고려하고 식품 자체 기호도의 변화에 맞춘다면 우리의 부침개는 세계화를 앞당기는 경쟁력 있는 음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가 인터넷으로 찾아본 결과 아직 우리나라엔 부침개와 다른 나라의 소스를 접목시킨 음식점이 없다. 또한 부침개와 와인을 함께 파는 음식점도 없고 말이다. 아직은 많은 사람들이 부침개에 간장이 아닌 다른 나라의 소스를 찍어먹는다는 상상을 하면 표정이 그다지 밝진 않겠지만 더 많은 연구를 하여 부침개에 어울리는 또한 우리 입맛에도 맞는 그런 소스를 개발하여 오코노미야키보다 더 세계에서 인정받는 음식이 되었으면 좋겠다.
늦은 밤에 ‘부침개’에 대해 조사를 하는데 컴퓨터화면에 보이는 부침개가 너무 먹고 싶어서 혼이 났다.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부침개! 와인이 부침개하고도 조화가 맞을지 설마 했다. 아무렴 순대하고도 와인이 조화가 맞는 걸~ 부침개와 와인을 함께 먹으면 어떤 맛이 날까? 동서양의 조화를 맛볼 수 있을까? 그리고 레포트를 쓰면서 점차 생각이 다양해졌다. 일본 오코노미야키처럼 우리 부침개도 그 위에 소스를 뿌리거나 찍어먹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른들은 “에이~ 그냥 부침개만 먹으면 되지, 뭘 굳이 다른 나라 소스까지 뿌려 먹어? 귀찮아~”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 부침개를 전문적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많지 않아서 아쉽다. 외국인들은 너무나 잘 알려진 불고기, 김치, 된장찌개 이런 걸 식상해라 할 수도 있는데 부침개를 전문적으로 파는 음식점이 있다면 외국손님들에게도 인기가 참 많을 텐데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KBS에서 하는 『미녀들의 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 중에서 어느 한 외국인이 비오는 날이면 부침개와 동동주가 생각이 난다고 했던 말을 기억한다. 부침개가 김치나 된장찌개처럼 세계에 널리 알려진 음식이 아닌데도 외국인들은 이렇게 부침개를 많이들 찾는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비오는 날엔 더더욱~! 부침개가 김치나 불고기, 된장찌개처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쟁력 있는 음식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부침개에 대해 많이 연구해야겠지? 부침개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이 되길 간절히 빌어본다.
참 고 문 헌
http://100.naver.com/100.nhn?docid=134162
http://blog.daum.net/choi5813/1281173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82&article_id=0000078114§ion_id=102&menu_id=102
http://cafe.naver.com/shaman055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89
http://www.saongwon.com/kor/board/view.php?id=jeon&pg=1&ct=&ss=1&sn=1&sm=1&sw=%B0%FC%B8%AE%C0%DA&no=57
http://bymin.hihome.com/hugesil-mat-busan%20dongrepajeon.htm
http://essen.ismg.co.kr/woman/interview/in_interview_view.php?cd_code=208&no_zine=2353&ds_code=48&no_year_month
http://100.naver.com/100.nhn?docid=777430
내가 생각하기에 오코노미야키처럼 우리 부침개에도 어울리는 색다른 소스를 개발하면 어떨까? 초고추장, 간장 이런 양념장들 말고 다른 나라의 소스와 접목시켜도 좋을 것 같다. 이탈리아식 소스 중에 ‘아리오 에오리오 페페론치노 소스’가 있다. 이 소스는 마늘과 고추 올리브유만을 쓰는 소스로 담백하고 매콤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 잘 맞는다고 한다. 이 소스와 부침개를 먹으면 참 색다른 느낌일 것 같다. 그리고 고추장처럼 매운맛을 지닌 칠리소스를 써도 괜찮을 것 같다. 요즘 칠리소스가 대세니까! 모든 요리에 다 잘 어울리는 칠리소스에 부침개를 찍어먹으면 어떨까? 그리고 또한 부침개에 발사믹식초를 뿌려 준다면 더욱 더 맛있는 부침개가 되지 않을까? 부추전, 김치전 등을 먹을 때 초고추장이 아닌 이 소스를 찍어 먹는다면 동서양의 음식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리연구가 최민경씨는 “부침개와 같이 먹을 소스를 다양화해 젊은이들의 입맛에 맞추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시대적 음식형태의 변천을 고려하고 식품 자체 기호도의 변화에 맞춘다면 우리의 부침개는 세계화를 앞당기는 경쟁력 있는 음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가 인터넷으로 찾아본 결과 아직 우리나라엔 부침개와 다른 나라의 소스를 접목시킨 음식점이 없다. 또한 부침개와 와인을 함께 파는 음식점도 없고 말이다. 아직은 많은 사람들이 부침개에 간장이 아닌 다른 나라의 소스를 찍어먹는다는 상상을 하면 표정이 그다지 밝진 않겠지만 더 많은 연구를 하여 부침개에 어울리는 또한 우리 입맛에도 맞는 그런 소스를 개발하여 오코노미야키보다 더 세계에서 인정받는 음식이 되었으면 좋겠다.
늦은 밤에 ‘부침개’에 대해 조사를 하는데 컴퓨터화면에 보이는 부침개가 너무 먹고 싶어서 혼이 났다.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부침개! 와인이 부침개하고도 조화가 맞을지 설마 했다. 아무렴 순대하고도 와인이 조화가 맞는 걸~ 부침개와 와인을 함께 먹으면 어떤 맛이 날까? 동서양의 조화를 맛볼 수 있을까? 그리고 레포트를 쓰면서 점차 생각이 다양해졌다. 일본 오코노미야키처럼 우리 부침개도 그 위에 소스를 뿌리거나 찍어먹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른들은 “에이~ 그냥 부침개만 먹으면 되지, 뭘 굳이 다른 나라 소스까지 뿌려 먹어? 귀찮아~”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 부침개를 전문적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많지 않아서 아쉽다. 외국인들은 너무나 잘 알려진 불고기, 김치, 된장찌개 이런 걸 식상해라 할 수도 있는데 부침개를 전문적으로 파는 음식점이 있다면 외국손님들에게도 인기가 참 많을 텐데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KBS에서 하는 『미녀들의 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 중에서 어느 한 외국인이 비오는 날이면 부침개와 동동주가 생각이 난다고 했던 말을 기억한다. 부침개가 김치나 된장찌개처럼 세계에 널리 알려진 음식이 아닌데도 외국인들은 이렇게 부침개를 많이들 찾는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비오는 날엔 더더욱~! 부침개가 김치나 불고기, 된장찌개처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쟁력 있는 음식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부침개에 대해 많이 연구해야겠지? 부침개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이 되길 간절히 빌어본다.
참 고 문 헌
http://100.naver.com/100.nhn?docid=134162
http://blog.daum.net/choi5813/1281173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82&article_id=0000078114§ion_id=102&menu_id=102
http://cafe.naver.com/shaman055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89
http://www.saongwon.com/kor/board/view.php?id=jeon&pg=1&ct=&ss=1&sn=1&sm=1&sw=%B0%FC%B8%AE%C0%DA&no=57
http://bymin.hihome.com/hugesil-mat-busan%20dongrepajeon.htm
http://essen.ismg.co.kr/woman/interview/in_interview_view.php?cd_code=208&no_zine=2353&ds_code=48&no_year_month
http://100.naver.com/100.nhn?docid=777430
추천자료
전통병과의 상품화 방안
전통문화가 여가문화에 끼치는 교육적 기능-전통문화체험기 포함
옛문헌을 통해서 본 전통태교
신궁전통한과의 마케팅 전략 수립
전통적 산후조리법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 발효식품 중 젓갈류와 장아찌류에 대해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주류와 식초류에 대해
[외식문화]향토음식의 발전계기 및 관광상품화 방안
[한국의 문화] 한국의 음식문화와 기업문화, 음주문화, 민족문화에 대하여
[베트남][베트남 지형][베트남 기후][베트남 정치][노무관리][전통 상례][호치민][쌀국수]베...
[식생활문화] 밥의 종류와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기내식 음료와 음식을 본인의 아이디어(Idea)를 발휘해 기획 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