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Ⅰ타당도
Ⅱ신뢰도
Ⅲ객관도
Ⅳ실용도
결론
본론
Ⅰ타당도
Ⅱ신뢰도
Ⅲ객관도
Ⅳ실용도
결론
본문내용
합치도)
- 피험자가 문항에 반응하는 일관성, 합치성에 기준
- 한 검사내의 문항 하나 하나를 각각 독립된 별개의 검사로 간주하여 문항내의 정답과 오답 사이의 일관성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산출하는 방법(동질성 계수)
(2)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① 문항수가 많아지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② 답지수가 많으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③ 시험문항 및 지시문, 답지의 설명이 명확해야 한다.
④ 난이도가 적절하고 변별력이 높으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① 검사가 타당하려면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
②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타당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타당도는 신뢰도의 충분조건)
Ⅲ객관도
- 측정의 결과에 대해 여러 채점자(검사자)가 어느 정도로 일치된 평가를 하느냐의 정도
- 객관도를 높이는 조건
① 도구의 객관화 -측정도구, 평가도구 자체를 객관화시켜야 한다.
② 평가자의 소양
:평가자의 인상, 편견, 추측, 착오 등 주관적 요인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한다.
③ 다인수 평가
:가능하면 비객관적인 평가도구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평가해서 그 결과를 종합하는 것
④ 기준의 구체화
⑤ 오류의 제거
Ⅳ실용도
- 한 개의 평가도구 혹은 검사를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적게 들이고 사용할 수 있느냐
- 검사도구의 경제성
- 실용도의 조건
① 실시와 채점의 용이성 - 실시와 채점이 용이해야 한다.
② 해석의 용이성 - 해석이 용이하고 활용 가능하여야 한다.
③ 비용과 체제 -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결론
평가도구의 구비 조건에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가 있었다. 평가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평가했는지, 평가 결과에 일관성이 있는지, 객관도를 가지고 있는 내용인지, 현실에서 사용할 때 얼마나 실용적인지를 따져 보는 것은 앞으로 평가도구를 사용함에 있어 꼭 선행되어할 조건이다. 예비 교사로서 교육 현장에서 많은 아이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특히 특수교사가 될 나는 아동에 따라서는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특성을 파악해야 할지도 모른다. 평가도구의 구비조건에 대한 이번 조사를 통해 교사로서의 자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참고문헌※
인터넷에서 평가도구에 관한 검색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양서원>
- 피험자가 문항에 반응하는 일관성, 합치성에 기준
- 한 검사내의 문항 하나 하나를 각각 독립된 별개의 검사로 간주하여 문항내의 정답과 오답 사이의 일관성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산출하는 방법(동질성 계수)
(2)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① 문항수가 많아지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② 답지수가 많으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③ 시험문항 및 지시문, 답지의 설명이 명확해야 한다.
④ 난이도가 적절하고 변별력이 높으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① 검사가 타당하려면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
②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타당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타당도는 신뢰도의 충분조건)
Ⅲ객관도
- 측정의 결과에 대해 여러 채점자(검사자)가 어느 정도로 일치된 평가를 하느냐의 정도
- 객관도를 높이는 조건
① 도구의 객관화 -측정도구, 평가도구 자체를 객관화시켜야 한다.
② 평가자의 소양
:평가자의 인상, 편견, 추측, 착오 등 주관적 요인을 최소한도로 줄여야 한다.
③ 다인수 평가
:가능하면 비객관적인 평가도구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평가해서 그 결과를 종합하는 것
④ 기준의 구체화
⑤ 오류의 제거
Ⅳ실용도
- 한 개의 평가도구 혹은 검사를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적게 들이고 사용할 수 있느냐
- 검사도구의 경제성
- 실용도의 조건
① 실시와 채점의 용이성 - 실시와 채점이 용이해야 한다.
② 해석의 용이성 - 해석이 용이하고 활용 가능하여야 한다.
③ 비용과 체제 -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결론
평가도구의 구비 조건에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가 있었다. 평가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평가했는지, 평가 결과에 일관성이 있는지, 객관도를 가지고 있는 내용인지, 현실에서 사용할 때 얼마나 실용적인지를 따져 보는 것은 앞으로 평가도구를 사용함에 있어 꼭 선행되어할 조건이다. 예비 교사로서 교육 현장에서 많은 아이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특히 특수교사가 될 나는 아동에 따라서는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특성을 파악해야 할지도 모른다. 평가도구의 구비조건에 대한 이번 조사를 통해 교사로서의 자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참고문헌※
인터넷에서 평가도구에 관한 검색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