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전인권
2. 가족이라는 공간을 통해 완성되는 한국인의 남성성
3. 인습의 고리와 자유
4.‘남자의 탄생’에 대한 비판적 접근
5. 권위주의를 넘어서...
2. 가족이라는 공간을 통해 완성되는 한국인의 남성성
3. 인습의 고리와 자유
4.‘남자의 탄생’에 대한 비판적 접근
5. 권위주의를 넘어서...
본문내용
국사회의 가족 구조에서 찾고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엄격히 구분되어 있고, 아버지가 절대적인 권위를 지니는 반면 실제적인 가족 구성원들간의 생활에는 어머니가 깊이 관여하는 독특한 한국의 가족구조를 통해서 저자는 어린 시절의 에피소드를 통해 어린 자신의 정신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지금 30-40대 혹은 그 보다 더 나이든 세대의 남성들이라면 거의가 저자와 유사한 가족구조하에서 자라났겠지만, 그보다 어린 세대의 가족구조는 책 속에 나타난 것과 반드시 같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이 시사하는 바는 다르지 않다.
자라나면서 어느 순간부터 완벽한 존재라고 생각하던 자신의 부모가 결코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집안 내에서 여러가지 모순적인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느낄 때가 있을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들이 한 상에서 먹고 어머니를 포함한 여자들은 다른 상에서 먹어야 하며 아버지와 어머니가 서로 애정 표현도 않고 형식적인 대화만 하는 가정은 분명히 비정상적이다. 그런데 우리들 중 대다수는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막연히 느끼면서도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우리 자신도 그러한 모순적이고 구조적 결점을 지닌 채 살아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한국사회의 기형적 가족 구조와 정체성 상실의 원인은 한국사회에서의 가족문화와 신분지향적 인간형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결과 우리 사회에는 이른바 '동굴속황제'유형의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그리고 저자가 제시하는 동굴속 황제의 특징들을 보면 섬뜩할 정도로 우리 자신의 모습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 스스로가 닮고 싶어하지 않는 부모님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그래서 부모님들이 이어온 비정상적 가족구조를 이어가고 있지는 않은지, 깊이 음미해볼 일이다.
비록 한 가족사의 내부에 자리잡은 동굴 속 황제라는 괴물이 우리 사회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하게 해명하지는 않았지만 저자는 그런 결과에 대해 이미 자신의 견해를 다 보였다. 따라서 아직 우리 사회에 깨끗이 근절되지 못한 사회의 부조리 속엔 어쩌면 나의 정체성 과정 속에 만들어진 그래서 나의 모습 내부에서 발견되어지는 그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우리 사회가 이러한 의사소통구조의 단절과 권위주의를 뛰어넘기 위해서 우선 우리 내부에 존재한 동굴 속 황제 죽이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 30-40대 혹은 그 보다 더 나이든 세대의 남성들이라면 거의가 저자와 유사한 가족구조하에서 자라났겠지만, 그보다 어린 세대의 가족구조는 책 속에 나타난 것과 반드시 같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이 시사하는 바는 다르지 않다.
자라나면서 어느 순간부터 완벽한 존재라고 생각하던 자신의 부모가 결코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집안 내에서 여러가지 모순적인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느낄 때가 있을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들이 한 상에서 먹고 어머니를 포함한 여자들은 다른 상에서 먹어야 하며 아버지와 어머니가 서로 애정 표현도 않고 형식적인 대화만 하는 가정은 분명히 비정상적이다. 그런데 우리들 중 대다수는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막연히 느끼면서도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우리 자신도 그러한 모순적이고 구조적 결점을 지닌 채 살아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한국사회의 기형적 가족 구조와 정체성 상실의 원인은 한국사회에서의 가족문화와 신분지향적 인간형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결과 우리 사회에는 이른바 '동굴속황제'유형의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그리고 저자가 제시하는 동굴속 황제의 특징들을 보면 섬뜩할 정도로 우리 자신의 모습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 스스로가 닮고 싶어하지 않는 부모님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그래서 부모님들이 이어온 비정상적 가족구조를 이어가고 있지는 않은지, 깊이 음미해볼 일이다.
비록 한 가족사의 내부에 자리잡은 동굴 속 황제라는 괴물이 우리 사회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하게 해명하지는 않았지만 저자는 그런 결과에 대해 이미 자신의 견해를 다 보였다. 따라서 아직 우리 사회에 깨끗이 근절되지 못한 사회의 부조리 속엔 어쩌면 나의 정체성 과정 속에 만들어진 그래서 나의 모습 내부에서 발견되어지는 그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우리 사회가 이러한 의사소통구조의 단절과 권위주의를 뛰어넘기 위해서 우선 우리 내부에 존재한 동굴 속 황제 죽이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서평]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서평 - 인간에 대한 오해
『여성과 남녀공학대학교의 행복한 만남을 위하여』 서평
[루스 베네딕트][국화와 칼][서평][독후감][독서감상문]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서평, 루...
세계를 난타한 남자 문화ceo 송승환을 읽고
뉴 비기닝 서평/독후감/감상문
[독후감] 더리더 - 책 읽어 주는 남자
위험한 심리학 서평(독후감)-미리보기 확인요~
여성주의,남자를 살리다 - 권혁범
오만과편견 서평 - 오만과편견 독서감상문, 오만과 편견 독후감, 베스트셀러감상문 서평
[독후감] 페르난도 트라아스 데 베스(Fernando Trias de Bes)의 <시간을 파는 남자(The Time ...
[독후감] 이주호의 <광해, 왕이 된 남자>를 읽고
[비평, 독후감, 서평] 『추월색』 _ 최찬식 저
[올해최신A+자료][습관의힘서평][습관의힘독후감][습관의힘줄거리요약+감상평][습관의힘독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