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주제선정 이유
2. 본론
1) 동거의 정의
2) 동거의 위치
3) 동거의 목적 및 형태
4) 영상매체 속 동거의 모습
-드라마 ‘옥탑방 고양이’
-영화 ‘싱글즈’
-영화 ‘가족의 탄생
-기타 영상 매체 속 동거의 모습.
3. 결론
1) 현대 사회에 있어서 동거
2) 영상 매체를 통해 본 동거의 정리
1) 주제선정 이유
2. 본론
1) 동거의 정의
2) 동거의 위치
3) 동거의 목적 및 형태
4) 영상매체 속 동거의 모습
-드라마 ‘옥탑방 고양이’
-영화 ‘싱글즈’
-영화 ‘가족의 탄생
-기타 영상 매체 속 동거의 모습.
3. 결론
1) 현대 사회에 있어서 동거
2) 영상 매체를 통해 본 동거의 정리
본문내용
영화 속에서는 끝난 것으로 나오지만 그 장면 속에서 매자와 준호의 동거는 동침형 ,혹은 결혼가능 형 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가족의 탄생’의 의미: 영화 가족의 탄생에서 매자와 준호의 동거형태가 요즘 일반화된 동거의 형태이다. (흔히 사랑해서 같이 사는 동거의 의미) 그리고 영화 속 시대 배경은 조금 옛날인데도 동거에 대해서 다루기 때문에 동거가 과거에도 행해졌고, 그러한 동거가 변형된 형태로 계속해서 이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기타 영상 매체 속 동거의 모습.(동거가 나온 부분만 발췌)
1)TV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제 337 화 < 동서의 질투 >
방송 2006년 5월 19일 금요일 밤 11 : 05
줄거리: 문영은 분가를 하기 위해 아직 미혼인 시숙을 친구 수진에게 소개시켜준다. 동서지간이 된 친구. 처음에는 잘 지내는 듯 했으나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아직도 전세를 못 면하고 있는 자신에 비해 점점 큰 평수로 아파트를 넓혀 가는 수진 때문에 문영은 약이 오른다. 질투에 눈이 멀게 된 문영은 수진이 학창시절 동거와 유산했던 것을 들먹거리며 돈을 뜯어내고 그것도 모자라 시댁식구들한테까지 모두 말해 버리겠다 고 협박한다.
2) KBS드라마 ‘애정의조건’
줄거리: 엄마의 냉대와 구박 속에서 늘 언니들과 비교 당하며 자란 은파는 지방대에 다니던 중, 여자들에게 인기도 좋고 남자다운 전성기에게 반해, 결국 집에다가는 친구와 자취한다고 거짓말을 하고는 전성기와의 동거생활을 시작한다. 집에 들킬까 늘 불안하게 살면서도, 처음으로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해 준 전성기와 언젠가는 결혼할거라 믿고 전성기의 뒷바라지까지 다한다. 하지만 점점 돈만 생각하는 전성기는 은파를 배신하고 은파는 우여곡절 끝에 어린이집에 취직한다. 그러던 중 어린이 집에서 장수를 만나 장수의 적극적인 애정공세 끝에 결혼하지만, 예전에 전성기와의 동거가 밝혀지면서 결혼생활도 위기를 맞게 된다.
3. 결론
1) 현대 사회에 있어서 동거
현대 사회에 있어 이미 동거는 많은 사람들의 생활 형태로 자리 잡음을 알 수 있다. -한국 2030 신세대의 의식과 사회정체
젊은 층에 있어서 동거는 60.4%의 긍정적인 대답을 기대할 만큼 이미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혹 어떤 사람은 동거를 결혼으로 가는 임시 정류장이라 하기도 하지만 동거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도 할 수 없다. 선진국에서는 (프랑스를 예로 들을 때) 이미 많은 사람들이 동거를 하고 있고, 동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동거에 대해 아직도 부정적인 시각을 띄는 사람들이 많다.
2) 영상 매체를 통해 본 동거의 정리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동거의 주된 형태는 룸메이트 형, 동침 형, 거주지 제공 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등장한다. 영상매체 속의 동거는 사실적이지 못하다 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싱글즈’처럼 룸메이트 형식은 실생활에서는 동성간의 동거에도 지켜지기 힘들다. 외국 시트콤 ‘프렌즈’와 같은 동거의 형태는 사실 상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형태의 동거를 다루는 성향도 있다.
영상 매체 속의 동거의 모습은 주로 긍정적인 모습을 띄는 것이 많다. 거의 해피엔딩으로 끝을 내며, 룸메이트 형식으로 시작하고 ,철저히 계약된 동거를 하던 중 주인공들이 정말 사랑에 빠져서 결국은 결혼하게 된다는 스토리가 거의 대부분인데, 이는 소재는 자극적이나, 그 내용이 진부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부정적인 경우는 부부클리닉이나 혹은 각종 다큐멘터리에서 다루기 때문에 범죄적인 모습, 성적인 모습을 많이 담고 있다.
‘부부클리닉’의 경우 자극적인 내용을 주로 담기 때문에 동거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다루고 넘어갔다. 하지만 이도 그렇게 사실적이지 못하다. 가학적인 성행위가 동반된 동거라든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의 동거 등 현실에서 있을 법한 일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자극적이다.
영상매체는 그 소재를 선정함에 있어서 자극적이라고 판단되는 동거를 집어 들었 지만 심의와 한국 정서를 고려하여 내용이 지나치게 진부해지거나 지나치게 성적으로 변하는 양극화의 형태를 띈다.
실제로 동거에 대한 생활을 다루기 보다는 연애물의 성격이 강하므로 로맨틱한 장면을 연출한다던가, 사랑하니까 모든 것이 해결 된다는 식의 내용 전개, 혹은 쓸데없이 성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등 영상 매체의 내용 속 동거는 그렇게 꼭 바람직한 것 만은 아니다. 동거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만든 영상은 사람들에게 동거의 이미지를 더욱 나쁘게 고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거에 대한 영상 매체의 진지한 소재선정과 보다 사실적인 내용 묘사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미화시키거나 성적인 측면만을 다루기 보다는 실제 동거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다룰 필요가 있다.
또한 영상매체는 영상매체를 통해 많은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시간을 보내고, 그러한 시간 속에서 그들에게 알게 모르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영상매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그런 역할의 중대성은 인지하여 동거에 대한 묘사를 좀 더 사실적으로 해야한다.
참고자료
-한국 영화 연감 2002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02.28
-영화 ‘싱글즈’ 공식 홈페이지
(http://www.sidus.net/movie/singles/default.htm)
-영화 ‘가족의 탄생’ 공식 홈페이지
(http://www.familyties.co.kr/)
-드라마 ‘옥탑 방 고양이 ’공식 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drama/cat/ )
-옥탑 방 고양이. 김유리. 시와 사회 출판. 2003.05.26
-드라마 ‘애정의 조건’공식 홈페이지
(http://www.kbs.co.kr/drama/aejung)
-드라마 부부클리닉‘사랑과 전쟁’공식홈페이지
( http://www.kbs.co.kr/drama/lovewar/)
-가족심리학. 박영사. 장휘숙. 2000
-성인발달의 이해. 학지사. 정옥분. 2000
-오늘날의 가족과 가족. 형설출판. 고정자. 1999
-한국 2030 신세대의 의식과 사회정체.삼성경제 연구소.이명진.2005.12.16
‘가족의 탄생’의 의미: 영화 가족의 탄생에서 매자와 준호의 동거형태가 요즘 일반화된 동거의 형태이다. (흔히 사랑해서 같이 사는 동거의 의미) 그리고 영화 속 시대 배경은 조금 옛날인데도 동거에 대해서 다루기 때문에 동거가 과거에도 행해졌고, 그러한 동거가 변형된 형태로 계속해서 이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기타 영상 매체 속 동거의 모습.(동거가 나온 부분만 발췌)
1)TV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제 337 화 < 동서의 질투 >
방송 2006년 5월 19일 금요일 밤 11 : 05
줄거리: 문영은 분가를 하기 위해 아직 미혼인 시숙을 친구 수진에게 소개시켜준다. 동서지간이 된 친구. 처음에는 잘 지내는 듯 했으나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아직도 전세를 못 면하고 있는 자신에 비해 점점 큰 평수로 아파트를 넓혀 가는 수진 때문에 문영은 약이 오른다. 질투에 눈이 멀게 된 문영은 수진이 학창시절 동거와 유산했던 것을 들먹거리며 돈을 뜯어내고 그것도 모자라 시댁식구들한테까지 모두 말해 버리겠다 고 협박한다.
2) KBS드라마 ‘애정의조건’
줄거리: 엄마의 냉대와 구박 속에서 늘 언니들과 비교 당하며 자란 은파는 지방대에 다니던 중, 여자들에게 인기도 좋고 남자다운 전성기에게 반해, 결국 집에다가는 친구와 자취한다고 거짓말을 하고는 전성기와의 동거생활을 시작한다. 집에 들킬까 늘 불안하게 살면서도, 처음으로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해 준 전성기와 언젠가는 결혼할거라 믿고 전성기의 뒷바라지까지 다한다. 하지만 점점 돈만 생각하는 전성기는 은파를 배신하고 은파는 우여곡절 끝에 어린이집에 취직한다. 그러던 중 어린이 집에서 장수를 만나 장수의 적극적인 애정공세 끝에 결혼하지만, 예전에 전성기와의 동거가 밝혀지면서 결혼생활도 위기를 맞게 된다.
3. 결론
1) 현대 사회에 있어서 동거
현대 사회에 있어 이미 동거는 많은 사람들의 생활 형태로 자리 잡음을 알 수 있다. -한국 2030 신세대의 의식과 사회정체
젊은 층에 있어서 동거는 60.4%의 긍정적인 대답을 기대할 만큼 이미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혹 어떤 사람은 동거를 결혼으로 가는 임시 정류장이라 하기도 하지만 동거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도 할 수 없다. 선진국에서는 (프랑스를 예로 들을 때) 이미 많은 사람들이 동거를 하고 있고, 동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동거에 대해 아직도 부정적인 시각을 띄는 사람들이 많다.
2) 영상 매체를 통해 본 동거의 정리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동거의 주된 형태는 룸메이트 형, 동침 형, 거주지 제공 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등장한다. 영상매체 속의 동거는 사실적이지 못하다 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싱글즈’처럼 룸메이트 형식은 실생활에서는 동성간의 동거에도 지켜지기 힘들다. 외국 시트콤 ‘프렌즈’와 같은 동거의 형태는 사실 상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형태의 동거를 다루는 성향도 있다.
영상 매체 속의 동거의 모습은 주로 긍정적인 모습을 띄는 것이 많다. 거의 해피엔딩으로 끝을 내며, 룸메이트 형식으로 시작하고 ,철저히 계약된 동거를 하던 중 주인공들이 정말 사랑에 빠져서 결국은 결혼하게 된다는 스토리가 거의 대부분인데, 이는 소재는 자극적이나, 그 내용이 진부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부정적인 경우는 부부클리닉이나 혹은 각종 다큐멘터리에서 다루기 때문에 범죄적인 모습, 성적인 모습을 많이 담고 있다.
‘부부클리닉’의 경우 자극적인 내용을 주로 담기 때문에 동거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다루고 넘어갔다. 하지만 이도 그렇게 사실적이지 못하다. 가학적인 성행위가 동반된 동거라든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의 동거 등 현실에서 있을 법한 일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자극적이다.
영상매체는 그 소재를 선정함에 있어서 자극적이라고 판단되는 동거를 집어 들었 지만 심의와 한국 정서를 고려하여 내용이 지나치게 진부해지거나 지나치게 성적으로 변하는 양극화의 형태를 띈다.
실제로 동거에 대한 생활을 다루기 보다는 연애물의 성격이 강하므로 로맨틱한 장면을 연출한다던가, 사랑하니까 모든 것이 해결 된다는 식의 내용 전개, 혹은 쓸데없이 성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등 영상 매체의 내용 속 동거는 그렇게 꼭 바람직한 것 만은 아니다. 동거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만든 영상은 사람들에게 동거의 이미지를 더욱 나쁘게 고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거에 대한 영상 매체의 진지한 소재선정과 보다 사실적인 내용 묘사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미화시키거나 성적인 측면만을 다루기 보다는 실제 동거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다룰 필요가 있다.
또한 영상매체는 영상매체를 통해 많은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시간을 보내고, 그러한 시간 속에서 그들에게 알게 모르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영상매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그런 역할의 중대성은 인지하여 동거에 대한 묘사를 좀 더 사실적으로 해야한다.
참고자료
-한국 영화 연감 2002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02.28
-영화 ‘싱글즈’ 공식 홈페이지
(http://www.sidus.net/movie/singles/default.htm)
-영화 ‘가족의 탄생’ 공식 홈페이지
(http://www.familyties.co.kr/)
-드라마 ‘옥탑 방 고양이 ’공식 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drama/cat/ )
-옥탑 방 고양이. 김유리. 시와 사회 출판. 2003.05.26
-드라마 ‘애정의 조건’공식 홈페이지
(http://www.kbs.co.kr/drama/aejung)
-드라마 부부클리닉‘사랑과 전쟁’공식홈페이지
( http://www.kbs.co.kr/drama/lovewar/)
-가족심리학. 박영사. 장휘숙. 2000
-성인발달의 이해. 학지사. 정옥분. 2000
-오늘날의 가족과 가족. 형설출판. 고정자. 1999
-한국 2030 신세대의 의식과 사회정체.삼성경제 연구소.이명진.2005.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