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이종격투기 ㅡ 우리는 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가?
2. 본론 : 이종격투기에 대해서
3. 결론 : 이종격투기 - 여가, 문화, 교육으로서의 의의
2. 본론 : 이종격투기에 대해서
3. 결론 : 이종격투기 - 여가, 문화, 교육으로서의 의의
본문내용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과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경기들의 존재와 결과를 알게 되었고 새롭게 개최되는 대회를 주목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국내 한 케이블 방송에서 최초로 K-1과 Pride F.C 경기를 방송해 주면서 잠재 되어 있었던 이종격투기 팬들이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 결과 국내에서도 대규모 이종격투기 대회가 열리게 되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활발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지금 이 열풍이 어디로 얼마나 더 불어댈지, 이 열풍이 어떤 방식으로 불어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 선택은 결국 많은 이종격투기 팬들에 의해서 결정되어 질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브라질에는 발리튜도라는 오랜 역사의 격투방식이 있었고 미국은 93년도부터 브라질의 발리튜도가 유입되어 UFC를 시작으로 진행되는 MMA 역사가 있었으며, 일본은 프로레슬링을 위시하여 PRIDE로 이어지는 유구한 격투 히스토리가 존재한다. 우리나라가 태권도를 비롯하여 많은 무술도장이 있고 해외에 진출한 것도 많기 때문에 일반인에겐 무술 강국의 이미지가 있긴 하지만 종합격투기에 있어서는 아직은 문외한이기 때문에 지금은 선수들로서는 경쟁력이 매우 약하다.
한국 종합격투기에 대해 생각해볼 때 이제까지의 데이터로 희망을 점쳐 보자면, 우리나라는 누가 뭐래도 확실한 투기종목 강국이라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된 영문인지는 몰라도 많지도 않은 인구에서 레슬링, 유도, 복싱, 태권도, 검도 등에서 굉장한 성적을 올리고 있다. 그 중에서 태권도는 종주국이니 별도로 하더라도 레슬링과 유도 등은 비상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
이건 결국 싸운다, 승부를 낸다라고 하는 투지가 요구되는 개인 투기 스포츠에서 혈통적으로 굉장한 강세가 있다는 얘기이다. 문제는 이 새로운 형태의 격투기 대회에 맞춰 참전하는 선수, 그리고 그 선수를 교육시킬 트레이너, 프로화된 경기단체에 대해 능숙하게 교섭할 수 있는 매니지먼트가 갖춰져야 한다는 점이며 그에 선행될 것이 바로 활발한 대회 주최에 있는 것이다. 지금 이종격투기 열풍 특수를 반짝 누리기 위해서 준비 없고 무책임한 대회 개최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철저히 연구하고 준비해야지만 황금알을 낳는 이종격투기 산업에서 우리가 앞장서서 주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 이종격투기 - 여가, 문화, 교육으로서의 의의
여가로서의 의미 : 여가란 ‘ 생활시간 이외의 자유로운 시간’을 의미한다. 스포츠는 이미 현대인들에게 일상으로부터의 해방구 역할을 해오며 여가시간을 메우는 중요한 요소 중 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왔고, 점점 더 색다르고 활동적인 스포츠를 갈망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맞게 이종격투기는 새로운 여가활동으로서 급부상한 종목이 되었다. 다량의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속전속결로 정보를 습득하고 또 그것을 산출해 낼 수 있어야 경쟁우위를 서는 현대인들에게 자칫 여가란 경쟁우위에 있는 자들이 더 즐길 수 있는 것이라고도 여길 수 있는 오늘날, 이종 격투기는 더 자극적이 면서도 빠른 시간 스트레스를 해소하길 바라는 현대인들에게 더 각광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문화로서의 의미 : 문화란 ‘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이른다. 이 정의로부터 가장 중요한 핵심은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어야 하는 문화의 특성인데, 이종격투기는 그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어도, 이미 경기를 진행하는 선수 또는 관계자 외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선수들의 경기에 열광하고 관심을 보이면서 이미 공유되어진다는 것이 문화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니아(mania) 없는 경기는 가치가 없듯, 이종격투기를 즐기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이 또 하나의 ‘문화’는 체험한 자들만이 그 재미와 감동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이고,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또 다른 매니아를 자신들의 문화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게 한다.
교육으로서의 의미 : 교육이란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과정’ 을 의미하는데, 이종격투기는 행동의 규범을 평가하는 평가가치로 보기 이전에 이것을 즐기는 대상들이 중요시 여기는 쾌락적 가치가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즉, 현대인들에게 쾌락적 가치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윤활유 같은 도구로서 선택되는 것이므로 이종격투기가 가져다주는 쾌락적 가치는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과정이라 이해되어야 하며, 올바른 여가 문화 컨텐츠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교육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및 참고 자료, 사이트
세계일보 2004-06-03 17:36
http://myhome.naver.com/kj717/sisa.htm
스포츠 서울,
http://www.sportsseoul.com/special/expert/star/click/040112/2004011252444523000.htm
http://www.k-1kr.com/k1/history_1990.jsp
국내 신문과 방송에서의 스포츠 경기 보도실태에 관한 연구 : 이종격투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orts matches covered by vernacula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programs : focused on heterogeneous marshal fighting matches/ 김영윤,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andyhug.cafe
다음 카페 , http://cafe.daum.net/ssambakzil
굿데이 신문, http://www.goodday.co.kr/sports/index.html
그러던 중 국내 한 케이블 방송에서 최초로 K-1과 Pride F.C 경기를 방송해 주면서 잠재 되어 있었던 이종격투기 팬들이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 결과 국내에서도 대규모 이종격투기 대회가 열리게 되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활발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지금 이 열풍이 어디로 얼마나 더 불어댈지, 이 열풍이 어떤 방식으로 불어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 선택은 결국 많은 이종격투기 팬들에 의해서 결정되어 질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브라질에는 발리튜도라는 오랜 역사의 격투방식이 있었고 미국은 93년도부터 브라질의 발리튜도가 유입되어 UFC를 시작으로 진행되는 MMA 역사가 있었으며, 일본은 프로레슬링을 위시하여 PRIDE로 이어지는 유구한 격투 히스토리가 존재한다. 우리나라가 태권도를 비롯하여 많은 무술도장이 있고 해외에 진출한 것도 많기 때문에 일반인에겐 무술 강국의 이미지가 있긴 하지만 종합격투기에 있어서는 아직은 문외한이기 때문에 지금은 선수들로서는 경쟁력이 매우 약하다.
한국 종합격투기에 대해 생각해볼 때 이제까지의 데이터로 희망을 점쳐 보자면, 우리나라는 누가 뭐래도 확실한 투기종목 강국이라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된 영문인지는 몰라도 많지도 않은 인구에서 레슬링, 유도, 복싱, 태권도, 검도 등에서 굉장한 성적을 올리고 있다. 그 중에서 태권도는 종주국이니 별도로 하더라도 레슬링과 유도 등은 비상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
이건 결국 싸운다, 승부를 낸다라고 하는 투지가 요구되는 개인 투기 스포츠에서 혈통적으로 굉장한 강세가 있다는 얘기이다. 문제는 이 새로운 형태의 격투기 대회에 맞춰 참전하는 선수, 그리고 그 선수를 교육시킬 트레이너, 프로화된 경기단체에 대해 능숙하게 교섭할 수 있는 매니지먼트가 갖춰져야 한다는 점이며 그에 선행될 것이 바로 활발한 대회 주최에 있는 것이다. 지금 이종격투기 열풍 특수를 반짝 누리기 위해서 준비 없고 무책임한 대회 개최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철저히 연구하고 준비해야지만 황금알을 낳는 이종격투기 산업에서 우리가 앞장서서 주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 이종격투기 - 여가, 문화, 교육으로서의 의의
여가로서의 의미 : 여가란 ‘ 생활시간 이외의 자유로운 시간’을 의미한다. 스포츠는 이미 현대인들에게 일상으로부터의 해방구 역할을 해오며 여가시간을 메우는 중요한 요소 중 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왔고, 점점 더 색다르고 활동적인 스포츠를 갈망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맞게 이종격투기는 새로운 여가활동으로서 급부상한 종목이 되었다. 다량의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속전속결로 정보를 습득하고 또 그것을 산출해 낼 수 있어야 경쟁우위를 서는 현대인들에게 자칫 여가란 경쟁우위에 있는 자들이 더 즐길 수 있는 것이라고도 여길 수 있는 오늘날, 이종 격투기는 더 자극적이 면서도 빠른 시간 스트레스를 해소하길 바라는 현대인들에게 더 각광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문화로서의 의미 : 문화란 ‘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이른다. 이 정의로부터 가장 중요한 핵심은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어야 하는 문화의 특성인데, 이종격투기는 그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어도, 이미 경기를 진행하는 선수 또는 관계자 외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선수들의 경기에 열광하고 관심을 보이면서 이미 공유되어진다는 것이 문화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니아(mania) 없는 경기는 가치가 없듯, 이종격투기를 즐기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이 또 하나의 ‘문화’는 체험한 자들만이 그 재미와 감동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이고,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또 다른 매니아를 자신들의 문화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게 한다.
교육으로서의 의미 : 교육이란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과정’ 을 의미하는데, 이종격투기는 행동의 규범을 평가하는 평가가치로 보기 이전에 이것을 즐기는 대상들이 중요시 여기는 쾌락적 가치가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즉, 현대인들에게 쾌락적 가치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윤활유 같은 도구로서 선택되는 것이므로 이종격투기가 가져다주는 쾌락적 가치는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과정이라 이해되어야 하며, 올바른 여가 문화 컨텐츠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교육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및 참고 자료, 사이트
세계일보 2004-06-03 17:36
http://myhome.naver.com/kj717/sisa.htm
스포츠 서울,
http://www.sportsseoul.com/special/expert/star/click/040112/2004011252444523000.htm
http://www.k-1kr.com/k1/history_1990.jsp
국내 신문과 방송에서의 스포츠 경기 보도실태에 관한 연구 : 이종격투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orts matches covered by vernacula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programs : focused on heterogeneous marshal fighting matches/ 김영윤,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andyhug.cafe
다음 카페 , http://cafe.daum.net/ssambakzil
굿데이 신문, http://www.goodday.co.kr/sports/index.html
추천자료
운동 기능의 연습방법
스키 상해의 종류, 원인 및 예방책
게임중독의 원인, 폭력성, 비윤리적 행동 등을 성서와 관련하여 대처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일본 스모의 특징
철권 드라마 시놉시스 기획
공수도란 무엇인가
태권도의발달과정
[태껸][택견][태껸(택견) 기술][태껸(택견) 호신술][태껸(택견) 관련 시사점]태껸(택견)의 특...
공수도란
[인간행동과사회환경]정신역동이론 - 정신분석이론, 사회복지 실천과의 관계, Freud의 생애와...
검도수련
태권도 심사에 있어서 유소년과 성인에게 다른 심사기준을 적용해야하는 이유
[비교 실버산업 이해] 노인 스포츠 케어 산업
【비교실버산업이해】 노인 스포츠 케어 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