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매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007학년도 (1)학기 과제물

Ⅰ.서론

Ⅱ 반두라의 생애

1. 관찰학습에 대한 설명

2.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의 원리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마나 잘 적용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확신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반듀라의 이론이 환경론적이라는 점에 비추어서 외적 환경이 상당한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들은 적당히 신기한 사건에 대해서 내적인 흥미로부터 자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과소 평가하였다.(예, Bobo 인형의 공격성 비디오에서 몇몇의 아이들이 아무런 강화도 없었는데 쉽게 공격적인 행동들을 모방했다.) 때로는 강화 받지 않은 자발적인 모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듀라의 이론에서 보면 인지구조나 단계의(발달 단계, 인지적 수준)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하였다. 인간발달의 설명을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단순화 한 것으로 보고, 각각 사람의 개별성이나 개인차의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6).정리(요약).
반듀라의 사회학습 이론은 계속 되는 행동, 인지 구조, 환경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심리적인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행동과 환경적인 힘의 상호 작용, 즉 인간 활동의 조직과 규제에 있어서 인지적 요인이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유동적. 역동적인 과정이 중시된다.
반듀라의 주요 이론적 개념은 모델링, 즉 관찰을 통한 학습의 개념이다. 그 기본 과정은 모델형성의 영향력이 주로 정보적 기능을 통하여 학습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즉, 학습에 대한 인지적 특성을 강조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찰 학습은 네 가지 관련 요인 : 주의(attentional), 기억(retention), 운동 발생(motor reproduction), 동기 형성 과정(motivational processes)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관찰 학습에서의 강화(reinforcement)에 관한 반듀라의 해석은 인지적 경향성을 나타낸다. 사회학습에서 외적 강화는 흔히 개인에게 정보와 유인(incentive)의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그 뿐만 아니라 대리적 강화(다른 사람이 강화를 받는 것을 관찰하는 것), 자기 강화(자기 자신이 스스로 강화하는 것)를 강조한다.
자기 규제(self-regulation), 즉 사람이 어떻게 그들의 행동을 규제 할 것이냐 하는 것 역시 사회학습이론의 중요한 특징이다. 자기 규제에서는 자기 관찰, 판단, 자기 평가가 중요시 된다. 자기 규제의 과정에 있어서 자기 평가와 자아 개념의 역할 등에 대해서 얘기한다.
(참 고 문 헌)
김성희, 허혜경, 1998 유아 발달. 교육과학사.
서봉정, 1999 발달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안영진, 1998 영. 유아 발달총서. 정일출판사.
우종하, 2000 인간 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홍순정, 1997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 한국방송대출판부.
박찬옥 2002, 유아의 사회적 능력 형성, 유아교육학술대회(한국어린이육영회)
Bandura & Albert(1997) Self-efficac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역(1999). 교육과학사.
David R. Shaffer(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송길연외 역(2000). 서울:시그마프레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