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음악활동계획안
Ⅲ. 음악교육환경 평가
Ⅳ. 음악활동 교수방법 평가
Ⅴ. 맺음말
※ 참 고 문 헌
Ⅱ. 음악활동계획안
Ⅲ. 음악교육환경 평가
Ⅳ. 음악활동 교수방법 평가
Ⅴ. 맺음말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우쳐져 있었다. 그래서 음악 듣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창작하기에 관련된 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였다. 유아들이 다섯 가지 음악적 영역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현재의 활동 외에도 음악 듣고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창작하기 영역을 첨가하여 균형 잡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Ⅴ. 맺음말
견학한 기관의 음악교육환경을 평가해보면, 소그룹이 동작활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음악활동영역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교실의 분위기는 커다란 창문이 있어 환한 느낌이었고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피아노, 키보드, 소고, 장구 등 기본적인 악기 정도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아들의 음악적 호기심을 유발하기에는 악기가 다소 부족해 보였다.
음악활동 교수방법을 평가해보면, 일주일에 2~3회 정도, 오전과 오후 30분씩 음악활동 시간을 갖는 등 매주 새로운 노래와 율동으로 다양한 음악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선정된 노래는 노랫말이 친근하고 또한 유아들이 비교적 따라 부르기 쉬운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해 보였다. 신체표현 활동 시 교사는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 자유로움과 통제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유아들이 스스로 음악을 느끼고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었다. 다만 교사 주도의 활동보다는 유아들의 능동적이 참여를 이끌어내는 지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음악활동 교수방법은 전반적으로 노래 부르기와 신체표현활동에 치우쳐져 있었다. 유아들이 다섯 가지 음악적 영역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현재의 활동 외에도 음악 듣고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창작하기 등의 활동을 첨가하여 균형 잡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잠깐 동안의 견학으로 어린이집의 음악교육환경과 음악교수법을 평가한다는 것은 사실 무리가 없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번 기말과제를 통해 이론과 실제를 접목해 볼 수 있었고,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현장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아무쪼록 견학에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선생님들께 감사를 드리고 아울러 늘푸른 어린이집의 번영을 기원한다.
※ 참 고 문 헌
『유아음악교육』전인옥· 이숙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유아음악교육』 이진우· 이순영 지음, 창지사, 2001
『유아음악 교육지도서』나순희 저, 세광문화, 2001
『유아음악교육 2000』 김혜경, 창지사, 2001
Ⅴ. 맺음말
견학한 기관의 음악교육환경을 평가해보면, 소그룹이 동작활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음악활동영역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교실의 분위기는 커다란 창문이 있어 환한 느낌이었고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피아노, 키보드, 소고, 장구 등 기본적인 악기 정도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아들의 음악적 호기심을 유발하기에는 악기가 다소 부족해 보였다.
음악활동 교수방법을 평가해보면, 일주일에 2~3회 정도, 오전과 오후 30분씩 음악활동 시간을 갖는 등 매주 새로운 노래와 율동으로 다양한 음악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선정된 노래는 노랫말이 친근하고 또한 유아들이 비교적 따라 부르기 쉬운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해 보였다. 신체표현 활동 시 교사는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 자유로움과 통제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유아들이 스스로 음악을 느끼고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었다. 다만 교사 주도의 활동보다는 유아들의 능동적이 참여를 이끌어내는 지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음악활동 교수방법은 전반적으로 노래 부르기와 신체표현활동에 치우쳐져 있었다. 유아들이 다섯 가지 음악적 영역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현재의 활동 외에도 음악 듣고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창작하기 등의 활동을 첨가하여 균형 잡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잠깐 동안의 견학으로 어린이집의 음악교육환경과 음악교수법을 평가한다는 것은 사실 무리가 없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번 기말과제를 통해 이론과 실제를 접목해 볼 수 있었고,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현장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아무쪼록 견학에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선생님들께 감사를 드리고 아울러 늘푸른 어린이집의 번영을 기원한다.
※ 참 고 문 헌
『유아음악교육』전인옥· 이숙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유아음악교육』 이진우· 이순영 지음, 창지사, 2001
『유아음악 교육지도서』나순희 저, 세광문화, 2001
『유아음악교육 2000』 김혜경, 창지사, 2001
키워드
추천자료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우리나라 음악교육과정의발달
1900년대 이후의 음악교육 - 과거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역사와 교육관
자신의 음악교육철학을 밝히는 레포트
학교 음악교육의 현대적 시각 및 본질탐구
(음악교육)예체능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비참여적 행동
대중음악. 매스미디어의 영향과 음악교육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A+ 레포트)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의 유리드믹스 음악교육의 개념과 ...
리머와 앨리엇의 음악교육철학
[아동음악] 국가적 수준에서 영유아와 아동이 교육기관에서 경험해야 할 바람직한 태도, 가...
영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 : 음악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