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 1865-1950)의 생애
2. 달크로즈 교수법의 배경 및 철학
3. 달크로즈 교수법의 원리
(1) 유리드믹스
(2) 솔페이즈
(3) 즉흥연주
4. 달크로즈 교수법의 주요개념
(1) 근육운동감각(Kinesthesia)
(2) 소리모방(Phonomimesis)
(3) 내청(Inner Hearing)
(4) 종합감각(Synesthesia)
(5) 따라 하기(Follow)
(6) 빨리 반응하기(Quick Reaction)
(7) 메아리모방(Interrupted Canon)
(8) 연속모방(Continuous Canon)
(9) 유동성(Plasticity)
III. 결론
* 참고자료
II. 본론
1.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 1865-1950)의 생애
2. 달크로즈 교수법의 배경 및 철학
3. 달크로즈 교수법의 원리
(1) 유리드믹스
(2) 솔페이즈
(3) 즉흥연주
4. 달크로즈 교수법의 주요개념
(1) 근육운동감각(Kinesthesia)
(2) 소리모방(Phonomimesis)
(3) 내청(Inner Hearing)
(4) 종합감각(Synesthesia)
(5) 따라 하기(Follow)
(6) 빨리 반응하기(Quick Reaction)
(7) 메아리모방(Interrupted Canon)
(8) 연속모방(Continuous Canon)
(9) 유동성(Plasticity)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완벽한 움직임은 의식적인 유동성의 리듬을보장한다.
8. 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완벽한 움직임은 오로지 리드믹한 움직임의 연습을 통해서만 성취되어질 수 있다.
위의 리듬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달크로즈의 이론에서 리듬은 일반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길고 짧은 음의 시간적 구성이 아니라 시간-공간-힘의 문맥에서 존재하는 리듬을 의미한다. 리듬의 정의 자체에 달크로즈의 핵심인 움직임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리듬은 어떤 경우는 이런 요소들이 같이 작용하고(예를 들면, 박이나 박의 세분), 어떤 경우에는 강하게 대조되어진다.(당김음과 복합리듬). 또한 달크로즈는 리듬의 또 한 가지 필수적인 힘이 현재의 일상을 표현하는 힘이라고 정의하였고 모든 리듬의 소재는 일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달크로즈의 아이디어의 분석을 통해서 아브람슨은 리듬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누었다.
불규칙리듬(Arhythmy), 박절리듬(Errhythmy), 그리고 좋은 리듬(Eurhythmy)이 그것이다. 불규칙리듬은 괴이한 타이밍과 규칙적인 흐름이 부족한 경련환자의 움직임에서 볼 수 있는 리듬이다. 예를 들면, 체조를 할 때 음악에 맞게 움직이지 못하고 엇나가게 움직이는 사람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규칙적인 흐름이 없는 것이 불규칙 리듬이다. 박절리듬은 규칙적이고 바른, 동작에서의 기계적인 리듬으로 흐름은 거의 없고 생동감이 없다. 시계추의 일정하게 움직이는 리듬, 혹은 기계의 움직임이라고 예를 들 수 있다. 좋은 리듬은 올바른 시간과 아름답고 다양한 흐름을 가진 움직임에서의 표현적이고 생동적인 것이다. 달크로즈 교수법에서 추구하는 시간, 공간, 에너지를 모두 표현하는 리듬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4/4박자를 지휘할 때 4박자를 불규칙하게 지휘하는 것(불규칙리듬), 박에만 정확히 맞게 지휘하는 것(규칙리듬), 박의 흐름-크루식, 메타 크루식, 아나크루식-을 표현하면서 지휘하는 것(좋은 리듬)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물론, 달크로즈에서 추구하는 리듬은 좋은 리듬으로 생동감 있는, 다양한 음악의 흐름을 표현하는 리듬이다.
로버트 아브람슨은 달크로즈가 제시한 34가지 리듬의 요소들을 정리하고 실제 학생들을 지도할 때의 제언들을 구체화하였다. 이들 요소의 순서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제시된 리듬의 요소들을 유리드믹스, 솔페이즈, 즉흥연주라는 활동들을 통하여 다양하게 훈련되어질 수 있다. 이런 리듬의 요소들이 연습되어지기 전에 근육운동감각을 동반한 리드믹한 움직임과 단순한 움직임과는 구별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서 박수를 칠 때 그냥 단순히, 아무런 준비 없이 박을 치는 것은 리드믹한 동작이 아니다. 먼저 박수를 칠 준비를 하고, 박수를 치고, 리듬의 지속을 박수를 치는 손의 움직임으로 보여주고, 다시 다음 박수를 준비하는, 다시 말하면 준비-치기-지속-준비로 복귀하는 단계를 거칠 때 비로소 리드믹한 동작이 되는 것이다.
달크로즈 교수법에서 주요 요소로 다루어지는 리듬의 34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시간 공간 힘 무게 균형 유동성/중력, 2) 규칙적인 박, 3) 빠르기, 4) 변화하는 빠르기, 5) 강약, 6) 변화하는 강약, 7) 악상, 8) 악센트에서 나타나는 리듬, 9) 마디에서 오는 리듬, 10) 쉼, 11) 지속, 12) 세분, 13) 패턴, 14) 고유의 박, 15) 악절, 16) 단선율 형식, 17) 축소, 18) 확장, 19) 리듬적 대위법, 20) 싱코페이션, 21) 반주가 있는 단선율, 22) 대위적 형식, 23) 카논, 24) 푸가, 25) 부가 리듬, 26) 혼합 박자, 27) 혼합 박, 28) 혼합마디와 혼합 박, 29) 복합 박자, 30) 복합 리듬, 31) 해미올라, 32) 리듬적 변화, 33) 12음 나누기, 34) 루바토.
3. 달크로즈 교수법의 원리
(1) 유리드믹스
리드믹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유리드믹스는 신체를 음악적 요소들―특히 리듬과 강약―의 표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학습활동이다. 신체를 하나의 악기로 보고 신체동작을 통해서 음악을 표현하고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음악에 맞는 리듬동작을 익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34요소 중 몇 가지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실제 활동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리듬에서 첫 번째로 제시되고 있는 요소인 시간, 공간, 그리고 힘을 느낄 수 있는 움직임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을 탐색하는 움직임>
-할 수 있는 한 빨리, 그리고 작게 웅크려본다.
-그 다음에 매우 천천히 할 수 있는 한 느리게, 그리고 크게 일어나본다.
-다시 빨리 웅크려본다.
<공간을 탐색하는 움직임>
-서로 부딪치지 않게 안으로 바깥으로 뛰어본다
-한 줄로 서서 걸어본다.
-마루에 커다란 원을 그려본다.
-머리위로 원을 그려본다.
-옆쪽으로나 뒤쪽으로 원을 그려본다.
<에너지를 탐색하는 움직임>
-바닥에서 쿵 하고 뛰어본다. 앞으로, 뒤로, 옆으로, 원으로 쿵 하고 뛰어본다.
-발끝을 들고 할 수 있는 한 가볍게 발끝을 거의 바닥에 닿을 정도로 안으로 밖으로 빠르게 해본다.
-한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들어 올린 다리를 바닥을 향해 매우 느리고 무겁게 눌러본다.
-다른 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들어 올린 다리를 바닥을 향해 매우 느리고 무겁게 눌러본다.
-다리를 바닥으로 천천히 무겁게 누르면서 할 수 있는 한 무겁게 걸어본다.
다음으로, 박의 성질은 3가지가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호흡과 비교될 수 있다.
숨을 들이쉬는 것(아나크루식), 숨을 참는 것(메타크루식), 그리고 숨을 내쉬는 것(크루식) 이 그 3가지이다. 그리고 이런 박의 성질들은 유리드믹스 수업을 통해서 표현되어야 한다. 좀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크루시스는 때려지는 순간, 내려떨어지는 순간이다. 모든 마디의 첫 박에서 발생하고 방향은 아래로 에너지는 풀어지는 것이다. 메타크루시스는 중간 박에서 발생하는데 다시 튀면서 쭉 따라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박자에서는 두 번째와 세 번째가 이에 속한다. 방향은 수평적이고, 대각선으로, 그리고 에너지는 튀어 되돌아오는 것이다. 아나크루시스는 다시
8. 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완벽한 움직임은 오로지 리드믹한 움직임의 연습을 통해서만 성취되어질 수 있다.
위의 리듬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달크로즈의 이론에서 리듬은 일반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길고 짧은 음의 시간적 구성이 아니라 시간-공간-힘의 문맥에서 존재하는 리듬을 의미한다. 리듬의 정의 자체에 달크로즈의 핵심인 움직임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리듬은 어떤 경우는 이런 요소들이 같이 작용하고(예를 들면, 박이나 박의 세분), 어떤 경우에는 강하게 대조되어진다.(당김음과 복합리듬). 또한 달크로즈는 리듬의 또 한 가지 필수적인 힘이 현재의 일상을 표현하는 힘이라고 정의하였고 모든 리듬의 소재는 일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달크로즈의 아이디어의 분석을 통해서 아브람슨은 리듬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누었다.
불규칙리듬(Arhythmy), 박절리듬(Errhythmy), 그리고 좋은 리듬(Eurhythmy)이 그것이다. 불규칙리듬은 괴이한 타이밍과 규칙적인 흐름이 부족한 경련환자의 움직임에서 볼 수 있는 리듬이다. 예를 들면, 체조를 할 때 음악에 맞게 움직이지 못하고 엇나가게 움직이는 사람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규칙적인 흐름이 없는 것이 불규칙 리듬이다. 박절리듬은 규칙적이고 바른, 동작에서의 기계적인 리듬으로 흐름은 거의 없고 생동감이 없다. 시계추의 일정하게 움직이는 리듬, 혹은 기계의 움직임이라고 예를 들 수 있다. 좋은 리듬은 올바른 시간과 아름답고 다양한 흐름을 가진 움직임에서의 표현적이고 생동적인 것이다. 달크로즈 교수법에서 추구하는 시간, 공간, 에너지를 모두 표현하는 리듬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4/4박자를 지휘할 때 4박자를 불규칙하게 지휘하는 것(불규칙리듬), 박에만 정확히 맞게 지휘하는 것(규칙리듬), 박의 흐름-크루식, 메타 크루식, 아나크루식-을 표현하면서 지휘하는 것(좋은 리듬)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물론, 달크로즈에서 추구하는 리듬은 좋은 리듬으로 생동감 있는, 다양한 음악의 흐름을 표현하는 리듬이다.
로버트 아브람슨은 달크로즈가 제시한 34가지 리듬의 요소들을 정리하고 실제 학생들을 지도할 때의 제언들을 구체화하였다. 이들 요소의 순서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제시된 리듬의 요소들을 유리드믹스, 솔페이즈, 즉흥연주라는 활동들을 통하여 다양하게 훈련되어질 수 있다. 이런 리듬의 요소들이 연습되어지기 전에 근육운동감각을 동반한 리드믹한 움직임과 단순한 움직임과는 구별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서 박수를 칠 때 그냥 단순히, 아무런 준비 없이 박을 치는 것은 리드믹한 동작이 아니다. 먼저 박수를 칠 준비를 하고, 박수를 치고, 리듬의 지속을 박수를 치는 손의 움직임으로 보여주고, 다시 다음 박수를 준비하는, 다시 말하면 준비-치기-지속-준비로 복귀하는 단계를 거칠 때 비로소 리드믹한 동작이 되는 것이다.
달크로즈 교수법에서 주요 요소로 다루어지는 리듬의 34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시간 공간 힘 무게 균형 유동성/중력, 2) 규칙적인 박, 3) 빠르기, 4) 변화하는 빠르기, 5) 강약, 6) 변화하는 강약, 7) 악상, 8) 악센트에서 나타나는 리듬, 9) 마디에서 오는 리듬, 10) 쉼, 11) 지속, 12) 세분, 13) 패턴, 14) 고유의 박, 15) 악절, 16) 단선율 형식, 17) 축소, 18) 확장, 19) 리듬적 대위법, 20) 싱코페이션, 21) 반주가 있는 단선율, 22) 대위적 형식, 23) 카논, 24) 푸가, 25) 부가 리듬, 26) 혼합 박자, 27) 혼합 박, 28) 혼합마디와 혼합 박, 29) 복합 박자, 30) 복합 리듬, 31) 해미올라, 32) 리듬적 변화, 33) 12음 나누기, 34) 루바토.
3. 달크로즈 교수법의 원리
(1) 유리드믹스
리드믹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유리드믹스는 신체를 음악적 요소들―특히 리듬과 강약―의 표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학습활동이다. 신체를 하나의 악기로 보고 신체동작을 통해서 음악을 표현하고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음악에 맞는 리듬동작을 익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34요소 중 몇 가지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실제 활동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리듬에서 첫 번째로 제시되고 있는 요소인 시간, 공간, 그리고 힘을 느낄 수 있는 움직임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을 탐색하는 움직임>
-할 수 있는 한 빨리, 그리고 작게 웅크려본다.
-그 다음에 매우 천천히 할 수 있는 한 느리게, 그리고 크게 일어나본다.
-다시 빨리 웅크려본다.
<공간을 탐색하는 움직임>
-서로 부딪치지 않게 안으로 바깥으로 뛰어본다
-한 줄로 서서 걸어본다.
-마루에 커다란 원을 그려본다.
-머리위로 원을 그려본다.
-옆쪽으로나 뒤쪽으로 원을 그려본다.
<에너지를 탐색하는 움직임>
-바닥에서 쿵 하고 뛰어본다. 앞으로, 뒤로, 옆으로, 원으로 쿵 하고 뛰어본다.
-발끝을 들고 할 수 있는 한 가볍게 발끝을 거의 바닥에 닿을 정도로 안으로 밖으로 빠르게 해본다.
-한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들어 올린 다리를 바닥을 향해 매우 느리고 무겁게 눌러본다.
-다른 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들어 올린 다리를 바닥을 향해 매우 느리고 무겁게 눌러본다.
-다리를 바닥으로 천천히 무겁게 누르면서 할 수 있는 한 무겁게 걸어본다.
다음으로, 박의 성질은 3가지가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호흡과 비교될 수 있다.
숨을 들이쉬는 것(아나크루식), 숨을 참는 것(메타크루식), 그리고 숨을 내쉬는 것(크루식) 이 그 3가지이다. 그리고 이런 박의 성질들은 유리드믹스 수업을 통해서 표현되어야 한다. 좀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크루시스는 때려지는 순간, 내려떨어지는 순간이다. 모든 마디의 첫 박에서 발생하고 방향은 아래로 에너지는 풀어지는 것이다. 메타크루시스는 중간 박에서 발생하는데 다시 튀면서 쭉 따라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박자에서는 두 번째와 세 번째가 이에 속한다. 방향은 수평적이고, 대각선으로, 그리고 에너지는 튀어 되돌아오는 것이다. 아나크루시스는 다시
추천자료
음악교과에서의 교육공학
[흥미유발]흥미유발의 방법, 흥미유발을 위한 수학학습(수학교육)과 영어학습(영어교육), 흥...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창작학습][창작수업]시창작학습(시창작교육, 시창작수업), 소설창작학습(소설창작교육, 소설...
[교육평가][교과평가][교과교육평가]미술과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 체육과교육평가(체육교육...
고등학교교육과정의 특징, 고등학교교육과정의 목표, 고등학교교육과정의 개정 내용, 고등학...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컴퓨터활용교육]컴퓨터활용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컴퓨터활용 수학교육(수학과교육), 컴퓨...
[성취기준과 평가기준]국어과교육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수학과교육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국어교육평가][사회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체육교육평가][바른생활교육평가][음악교육평가...
자기표현교육활동(지도활동) 사례, 음악교육활동(지도활동) 사례, 특기적성교육활동(지도활동...
[독일][교육제도][학교교육][직업교육][미술교육][음악교육][원격교육][통일교육]독일의 교육...
학교통일교육의 현실과 기본방향, 학교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 학교통일교육과 음악교육, ...
엘 시스테마(El Sistema)와 엘 시스테마 형 국내 오케스트라들의 특징 비교 - 음악으로 미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