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의 전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금호타이어 소개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금호타이어 전략 분석

5. 향후 전략방안

본문내용

해 전 세계 160여 개국에 연간 7억 달러 이상의 타이어를 수출하고 있다.
4) 해외 기술연구소 설립 통해 기술력과 경쟁력 강화
기술혁신을 위한 금호타이어의 R&D 투자는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90년부터 진행된 1단계에는 '독자적 기술자립 기반 확보'에 심혈을 기울였다. 선진 타이어업체와의 기술제휴가 종료된 뒤 금호타이어는 미국 아크론에 기술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제품 개발체계를 구축하고 기초연구 부문을 신설했다. 2단계는 90년대 중반 '기술자립체계 구축' 시기다. 금호타이어는 이 기간에 효과적인 연구소 운영을 위해 제3세대 R&D 운영시스템을 도입했으며 97년에는 제2 해외연구소인 유럽기술연구소를 설립했다. 또 타이어 업계 최초로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활용함으로써 고유의 타이어 설계이론을 정립해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3단계는 90년대 후반부터 2002년까지 진행된 '세계적 기술력 확보' 단계다. 금호타이어는 이 시기 기술연구소의 비전을 '선진기술을 주도하는 연구소'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박차를 가했다.
이후 2003년부터 현재까지 4단계에서는 세계 최고 타이어 연구소로 도약을 위해 전사적 신뢰경영, 신뢰성 품질시스템 구축에 정성을 쏟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로 금호타이어는 세계 최초의 28인치 UHP 타이어 개발, 런플랫 타이어 출시 등 기술력을 확보하게 됐으며 품질과 디자인 측면에서도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게 됐다. 특히 3~4단계에서는 초고성능 타이어인 UHP 타이어가 세계 일류 상품에 선정되고 국내 광주공장도 우수 제조 기술 센터에 뽑히는 영광을 안았다.
조 이사는 "과거 해외업체에서 기술을 도입해 제품을 생산하던 시절과 비교해 보면 최근 금호타이어의 기술력은 놀라운 수준"이라며 "이 모든 성과는 기술을 중시하는 최고경영층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묵묵히 연구개발에 힘써준 연구원과 엔지니어들의 땀방울의 결실"이라고 자부심을 나타냈다.
(4) 경영혁신
금호타이어는 ERP시스템을 도입을 통해서 경영혁신을 진행 중이다. ERP시스템은 기존에 인사, 재무, 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인사정보시스템, 재무정보시스템, 생산관리시스템 등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기업 내 인적, 물적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한 부서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만 하면 전 부서의 업무에 반영돼 즉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금호타이어는 이번 ERP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글로벌 통합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시스템의 안정화 기간을 거쳐 향후 SCM(물류공급관리)이나 PLM(제품주기관리)과 같은 `확장ERP` 영역까지 시스템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광주공장 폐쇄를 자체 검토했던 금호타이어 측이 광주공장을 존치하고 오는 2009년까지 세계 타이어 시장의 8위로 발돋움하기 위해 고성능 타이어 생산을 강화하기로 했다. 제조원가 증가 등으로 그 동안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라인의 중국 이전을 통한 공장 폐쇄 소문이 나돌았으나 금호타이어 측이 광주공장을 존치하기로 최종결정을 하였는데 이는 오세철 사장이 광주공장에서 사업설명회를 갖고 회사자체에서 광주공장 폐쇄를 검토했으나 노사 상생차원에서 광주공장을 존치하기로 결정했다고 의견을 밝혔기 때문이다. 금호타이어의 광주공장 존치 결정에는 노조 측의 강한 반발과 함께 공장 폐쇄 때 광주전남에 기반을 둔 금호에 대한 지역사회의 따가운 비난 여론을 감안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호타이어는 전체 경상비의 21%에 달하는 인건비 절감차원에서 자동화율을 높이고 노사 협의를 통해 임금삭감내지는 동결을 추진하기로 해 노사 갈등의 불씨가 될 여지가 보인다.
5. 향후 전략방안
(1) R&D
제조 기업에 있어서 핵심역량은 기술력이다. 특히 타이어산업은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브리지스톤이 1위 타이어기업이 된 이유는 바로 기술력에 있다. 런플랫타이어, 그레이텍타이어 등 경쟁업체보다 앞선 기술을 선보였기 때문에 타이어시장을 주도 할 수 있었다. 금호타이어 이러한 점을 간과하지 말고 기술력을 증강시키는데 기업의 역량을 쏟아야 한다.
(2) 조직관리
금호타이어는 불안정한 노사관계로 인해 재무적 손실과 신뢰도, 이미지 하락을 겪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합의 할 수 있는 적정한 노동계약과 보상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순히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을 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생산성과 역량강화를 위한 조직 재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3) 신제품 개발
중국과 같은 신흥공업국들은 저가격이나 대량 물량으로 한국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율로 한국기업이 입는 피해가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낮추기보다 차별화된 특성을 지닌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해야한다. 그래서 금호타이어는 고부가가치제품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환율이나 경쟁기업의 저가격전략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4) 브랜드전략
브리지스톤이 뛰어난 기술력과 더불어 크게 성장한 주된 이유는 마케팅이다. F1 대회를 통해서 인지도를 상승시켰고 여기서 기술력이 결합되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금호타이어 또한 맨유의 스폰서, 각종 모터스포츠 후원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큰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여기서 만족해서는 안 된다. 아직까지도 금호타이어의 인지도는 세계 타이어업체들과 비교하면 부족하다. 그렇다고 해서 금호타이어가 무리하게 마케팅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써야할 것이다. 즉 세계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중국과 같이 중요한 지역을 정해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다.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www.kumhoasiana.com
www.kumhotire.co.kr
www.seri.org
www.kotma.or.kr
www.tiremaster.co.kr
www.autotimes.co.kr
www.fnnews.com
www.mk.co.kr
www.hankyung.com
글로벌경쟁시대의 경영전략 - 장세진, 박영사, 2007
그 회사가 알고 싶다 - 중앙일보 산업부, 부글북스, 2007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3.05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