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지질구조와 지질도
1)지질구조
-지질구조 개념
-지질구조의 종류
2)지질도
-지질조사
-지질도의 종류
-주향과경사
-지층에서 주향과 경사 측정하는 방법
-지질도 해석
1)지질구조
-지질구조 개념
-지질구조의 종류
2)지질도
-지질조사
-지질도의 종류
-주향과경사
-지층에서 주향과 경사 측정하는 방법
-지질도 해석
본문내용
지질 단면도: 지하의 암석 분포나 지질 구조를 알기 위해 지질도 상에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잘라 단면을 그린 것
④ 지질 주상도: 암석이 생성된 순서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질 단면도를 보고 지층이 쌓여 있는 순서와 두께를 그림에 표시한 것
◆주향과 경사
①주향: 지층면과 수평면의 교선 방향을 진북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
지층면과 수평면의 교선의 방향이 북쪽에서 30˚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N30˚E,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N30˚W라한다.
②경사 : 지층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
경사각이 50˚이고, 남동쪽으로 경사지면 50˚SE, 경사각이 40˚이고, 북쪽으로 경사 지면 40˚N 이라 한다.
<주향과 경사> <주향과 경사의 기호>
<주향과 경사 표시 방법>
◆지층에서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
<클리노미터>
지질 조사의 기본은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 것이고,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때는 클리노미터나 브런턴컴퍼스를 이용한다. 클리노미터의 눈금판에는 E와 W가 바뀌어 있다.
①주향:클리노미터의 긴 변을 지층면에 대고 수평을 맞춘 다음 자침의 N극이 가리키는
주향 눈금(바깥쪽 눈금)과 방위 표시(나침반의E, W가 바뀐 상태)를 읽는다.
②경사:클리노미터를 세워서 긴 변을 주향에 직각 방향으로 대고 경사 눈금(안쪽 눈금)을
읽는다.
◆지질도 해석
① 주향 : 같은 고도의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이 만나는 두 점을 연결한 선의 방향
② 경사각(θ) : 고도가 다른 두 주향선 사이의 수평 거리 (S)와 고도차(H)를 알면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③ 경사방향 : 높은 주향선에서 낮은 주향선에 그은 수직선의 방향
④ 지질 주상도: 암석이 생성된 순서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질 단면도를 보고 지층이 쌓여 있는 순서와 두께를 그림에 표시한 것
◆주향과 경사
①주향: 지층면과 수평면의 교선 방향을 진북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
지층면과 수평면의 교선의 방향이 북쪽에서 30˚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N30˚E,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N30˚W라한다.
②경사 : 지층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
경사각이 50˚이고, 남동쪽으로 경사지면 50˚SE, 경사각이 40˚이고, 북쪽으로 경사 지면 40˚N 이라 한다.
<주향과 경사> <주향과 경사의 기호>
<주향과 경사 표시 방법>
◆지층에서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
<클리노미터>
지질 조사의 기본은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 것이고,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때는 클리노미터나 브런턴컴퍼스를 이용한다. 클리노미터의 눈금판에는 E와 W가 바뀌어 있다.
①주향:클리노미터의 긴 변을 지층면에 대고 수평을 맞춘 다음 자침의 N극이 가리키는
주향 눈금(바깥쪽 눈금)과 방위 표시(나침반의E, W가 바뀐 상태)를 읽는다.
②경사:클리노미터를 세워서 긴 변을 주향에 직각 방향으로 대고 경사 눈금(안쪽 눈금)을
읽는다.
◆지질도 해석
① 주향 : 같은 고도의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이 만나는 두 점을 연결한 선의 방향
② 경사각(θ) : 고도가 다른 두 주향선 사이의 수평 거리 (S)와 고도차(H)를 알면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③ 경사방향 : 높은 주향선에서 낮은 주향선에 그은 수직선의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