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Groups and Social Exchanges 2
Formal and Informal Groups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2
Functions of Formal Groups (공식집단의 기능) 3
Social Exchanges in the Workplace (작업장에서 사회교환) 3
Roles and Norms : Social Building Blocks for Group and Organization Behavior 4
Roles (역할) 4
Norms (규범) 5
Group Structure and Composition 6
Function Roles Performed by Group Members 6
(그룹 멤버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인 역할) 6
Group Size (집단규모) 6
Effect of Men and Women Working Together in Groups 6
(그룹에서 남녀가 같이 일하는 효과) 6
Threats to Group Effectiveness 7
The Asch Effect (애쉬효과) 7
Groupthink (집단사고) 7
Social Loafing (사회적 태만) 8
Formal and Informal Groups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2
Functions of Formal Groups (공식집단의 기능) 3
Social Exchanges in the Workplace (작업장에서 사회교환) 3
Roles and Norms : Social Building Blocks for Group and Organization Behavior 4
Roles (역할) 4
Norms (규범) 5
Group Structure and Composition 6
Function Roles Performed by Group Members 6
(그룹 멤버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인 역할) 6
Group Size (집단규모) 6
Effect of Men and Women Working Together in Groups 6
(그룹에서 남녀가 같이 일하는 효과) 6
Threats to Group Effectiveness 7
The Asch Effect (애쉬효과) 7
Groupthink (집단사고) 7
Social Loafing (사회적 태만) 8
본문내용
관리자는 네 가지 핵심 사회기술(사회지각, 감상관리, 설득과 사회영향, 사회적응)로 사회 주요요소를 만들어 간다. Table 12-1 참조
Groups and Social Exchanges
집단 : 집단적 규범과 목표 그리고 공동의 정체성을 갖고 자유롭게 상호 작용하는 둘 이상의 개인들의 모임
[그림 12-1] 집단에 대한 4가지의 사회적인 기준
Formal and Informal Groups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공식집단 : 조직에 의해 형성, 즉 group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리자에 의해 형성 ex) XX위원회, 품질분임조, TFT 등.
비공식집단 : 동료들에 의해 형성, 즉 구성원들이 함께 모이는 최우선 목적이 친목에 있는 경우 ex) 사내 테니스 동우회, 볼링 동우회 등.
-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은 종종 중복된다.
-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의 중복은 바람직하지만 때때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 몇몇 관리자들은 개인적인 친목이 직무에서 생산적인 팀워크를 생성한다고 믿고 있지만 반면에 어떤 관리자들은 작업장에서의 “허튼소리(잡담)”이 생산성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본다.
Groups and Social Exchanges
집단 : 집단적 규범과 목표 그리고 공동의 정체성을 갖고 자유롭게 상호 작용하는 둘 이상의 개인들의 모임
[그림 12-1] 집단에 대한 4가지의 사회적인 기준
Formal and Informal Groups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공식집단 : 조직에 의해 형성, 즉 group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리자에 의해 형성 ex) XX위원회, 품질분임조, TFT 등.
비공식집단 : 동료들에 의해 형성, 즉 구성원들이 함께 모이는 최우선 목적이 친목에 있는 경우 ex) 사내 테니스 동우회, 볼링 동우회 등.
-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은 종종 중복된다.
-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의 중복은 바람직하지만 때때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 몇몇 관리자들은 개인적인 친목이 직무에서 생산적인 팀워크를 생성한다고 믿고 있지만 반면에 어떤 관리자들은 작업장에서의 “허튼소리(잡담)”이 생산성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추천자료
단순폭력 집단폭력범죄 조직폭력범죄 가정폭력범죄
조직행동에서의 태도와 행위
맥그리거의 X.Y이론과 아지리스의 미성숙.성국이론을 근거로 해서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또...
집단 구조에 대한 조직구조론상 검토
조직행동론 - 집단커뮤니케이션
경영조직론상 집단구조
경영조직론상 집단의 특성과 구조 연구
조직 내의 집단과 리더십
조직의 분류, 수직조직, 수평조직, 공식조직, 비공식조직
[대기업 노동][대기업 노동 행위주체][대기업 노동 조직강화]대기업 노동의 행위주체, 대기업...
조직 - 조직의 정의, 조직의 원리,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비공식 조직의 이점과 문제점, 관...
[공식조직(公式組織)과 비공식조직(非公式組織)] 공식조직 및 비공식조직의 의의(개념)와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