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첫째마당- 꾸중의 의미
2. 둘째마당- 꾸중의 방법
3. 셋째마당- 칭찬의 의미
4. 넷째마당- 칭찬의 방법
5. 다섯째마당- 칭찬과 교과수업
6. 여섯째마당- 칭찬과 학급운영
7. 비 평
2. 둘째마당- 꾸중의 방법
3. 셋째마당- 칭찬의 의미
4. 넷째마당- 칭찬의 방법
5. 다섯째마당- 칭찬과 교과수업
6. 여섯째마당- 칭찬과 학급운영
7. 비 평
본문내용
들이 학생들에게 꾸중을 하는 것조차 쉽지 않을 거라는 것이 개인적인 내 생각이다.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당연히 꾸지람이 따라야 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마치 버려야할 낡은 습관쯤으로 생각하게 된 요즈음의 실태에 학교 현장에서 꾸중을 하고 야단을 치는 교사들이 점점 줄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필요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꾸중에 관한 의미와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도 좋지만, 요즘과 같은 상황을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사회적인 과제가 아예 배제되어버렸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바로 위에 언급했듯이 교권이 하락되어 교사들이 학생을 당당히 꾸짖지 못한다면 교육현장의 어려움은 한두 가지가 아닐 것이다. 학생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 때 선생님의 따끔한 충고 한마디가 학생의 평생을 좌우할 수도 있는 일이다. 잘된 행동에는 확실한 칭찬으로써 그 행동을 북돋워주고, 더 잘 나아갈 수 있게 하며, 잘못된 행동에는 적절한 꾸짖음을 하되, 그 후에는 따듯한 격려와 충고의 말로써 앞으로는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는 것이 교사의 임무라면, 교사들의 자율성을 확보해 주는 일은 교육당국과 이 사회전체가 가진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위에 언급했듯이 교권이 하락되어 교사들이 학생을 당당히 꾸짖지 못한다면 교육현장의 어려움은 한두 가지가 아닐 것이다. 학생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 때 선생님의 따끔한 충고 한마디가 학생의 평생을 좌우할 수도 있는 일이다. 잘된 행동에는 확실한 칭찬으로써 그 행동을 북돋워주고, 더 잘 나아갈 수 있게 하며, 잘못된 행동에는 적절한 꾸짖음을 하되, 그 후에는 따듯한 격려와 충고의 말로써 앞으로는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는 것이 교사의 임무라면, 교사들의 자율성을 확보해 주는 일은 교육당국과 이 사회전체가 가진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