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터빈발전기 (turbine generator)
실리콘 제어 정류기[-制御整流器,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실리콘 제어 정류기[-制御整流器,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본문내용
못합니다
입력파형이 상승하거나 하강할때 다시 게이트신호가 입력되면 SCR은 도통되고 다시 출력을 내보내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게이트 펄스 신호의 시기를 앞당기면 출력은 상승하고, 신호시기를 늦추면 출력은 감소하게됩니다
이런 방법으로 SCR의 게이트 신호를 조정하여 출력전압을 제어하게 됩니다
전력 시스템에서 전류 및 전압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
p-n-p-n 4층 구조를 가지며, 1950년대 말에 개발되어 오늘날 6,000V 이상의 전압을 견딜 수 있고, 3,000A 이상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응용 범위는 고전압직류(HVDC) 송전과 같은 고전력에서 전동기 제어, 초음파 등 고주파 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LASCR(Light Activated Thyristor), RCT(Reverse Conducting Thyristor), CATT(Gate Assisted Turn-off Thyr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ASCR(Asymmetric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 등 여러 형태가 있다.
특히 MCT는 1993년경 미국 해리스 반도체에서 처음 생산하였으며, MOS 게이트로 제어되는 가장 이상적인 전력반도체 소자라고 평가되고 있다.
SCR의 구조와 기호
SCR의 내부 구조
SCR은 그림과 같이 NPN과 PNP TR을 연결해 놓은 것과 같다.
SCR을 Turn on 시키는 방법
1) VBR 보다 높은 전압을 A - K 간에 가해 준다.
(ICEO의 증가로 A -K 간 전류 증가.)
2) 게이트에 양의 트리거 펄스를 가해 준다.
IB2증가,IC2증가,IC1증가,IB1증가로 A-K간 임피던스가 낮아 진다.
SCR 특성곡선
SCR은 에노드와 캐소드 간에 순방향의 전압을 가해도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순방향으로 높은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Break
over turn on이라 한다.
SCR의 A - K간 순방향 전압을 걸어주고 게이트에 (+)트리거를 가하면 전
류가 흐르게 된다. (IG가 증가 할수록 그래프는 일반 다이오드 곡선에
가가워 진다.)
SCR은 일단 도통 되면 게이트 전압을 0[V] 으로 하거나 역방향으로 하
여도 애노드와 캐소드간은 차단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애노드와 캐소
드간에 전류를 차단 하려면 VAK양단의 전압을 0[V]로 하거나 IG에 역방향
전류를 공급 해야 한다.
입력파형이 상승하거나 하강할때 다시 게이트신호가 입력되면 SCR은 도통되고 다시 출력을 내보내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게이트 펄스 신호의 시기를 앞당기면 출력은 상승하고, 신호시기를 늦추면 출력은 감소하게됩니다
이런 방법으로 SCR의 게이트 신호를 조정하여 출력전압을 제어하게 됩니다
전력 시스템에서 전류 및 전압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
p-n-p-n 4층 구조를 가지며, 1950년대 말에 개발되어 오늘날 6,000V 이상의 전압을 견딜 수 있고, 3,000A 이상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응용 범위는 고전압직류(HVDC) 송전과 같은 고전력에서 전동기 제어, 초음파 등 고주파 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LASCR(Light Activated Thyristor), RCT(Reverse Conducting Thyristor), CATT(Gate Assisted Turn-off Thyr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ASCR(Asymmetric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 등 여러 형태가 있다.
특히 MCT는 1993년경 미국 해리스 반도체에서 처음 생산하였으며, MOS 게이트로 제어되는 가장 이상적인 전력반도체 소자라고 평가되고 있다.
SCR의 구조와 기호
SCR의 내부 구조
SCR은 그림과 같이 NPN과 PNP TR을 연결해 놓은 것과 같다.
SCR을 Turn on 시키는 방법
1) VBR 보다 높은 전압을 A - K 간에 가해 준다.
(ICEO의 증가로 A -K 간 전류 증가.)
2) 게이트에 양의 트리거 펄스를 가해 준다.
IB2증가,IC2증가,IC1증가,IB1증가로 A-K간 임피던스가 낮아 진다.
SCR 특성곡선
SCR은 에노드와 캐소드 간에 순방향의 전압을 가해도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순방향으로 높은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Break
over turn on이라 한다.
SCR의 A - K간 순방향 전압을 걸어주고 게이트에 (+)트리거를 가하면 전
류가 흐르게 된다. (IG가 증가 할수록 그래프는 일반 다이오드 곡선에
가가워 진다.)
SCR은 일단 도통 되면 게이트 전압을 0[V] 으로 하거나 역방향으로 하
여도 애노드와 캐소드간은 차단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애노드와 캐소
드간에 전류를 차단 하려면 VAK양단의 전압을 0[V]로 하거나 IG에 역방향
전류를 공급 해야 한다.
추천자료
원자력 발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6장임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핵폐기물 처리
원자력 발전의 장점
원자력 발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원자력 발전의 긍정성
[A+] [공학윤리사례] 체르노빌 핵 발전소 붕괴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원에 따...
원자력 발전의 도입, 필요성,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원자력
원자력의 폐해 (원자력 발전 및 현황, 단점, 후쿠시마 원전 사고, 체르노빌 원전 사고, 국내 ...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관한 법적 통제 (원력발전개념 및 현황, 추가건설계획과 관련한 찬반논...
[★우수레포트★][정책사례갈등] 원자력 발전소 개념, 현황, 원전사고 사례, 원자력 발전소 입...
원자력 발전에 대한 찬반토론,원자력 발전 토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