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들어가며 -------------------------------- 1
2. 보편성과 특수성의 경계에서 ------------ 2
1) 내가 본 장성군의 성공비결 ------------ 2
2) 하지만, 현재의 한국 상황에서? --------- 3
(1) Pilot study로서는 성공했지만.... ----- 3
(2) 행정조직이기에 가지는 원초적 제한들 - 3
(3) 지속적 성공은 가능한가? ------------ 3
3. 마지막으로.. ------------------------------------ 4
1. 들어가며 -------------------------------- 1
2. 보편성과 특수성의 경계에서 ------------ 2
1) 내가 본 장성군의 성공비결 ------------ 2
2) 하지만, 현재의 한국 상황에서? --------- 3
(1) Pilot study로서는 성공했지만.... ----- 3
(2) 행정조직이기에 가지는 원초적 제한들 - 3
(3) 지속적 성공은 가능한가? ------------ 3
3. 마지막으로.. ------------------------------------ 4
본문내용
전환이 전제되어야지만 성공적인 변화도 가능하고, 개혁혁신도 가능한 것이다.
(3) 지속적 성공은 가능한가?
마지막으로 장성군이 앞으로도 지속적 성공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인가? 10여년간 지속되어온 공무원이라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노력은 이미 그 결실을 맺고 있고, 앞으로도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더욱더 노력한다는 전제하에서.
정보화시대에 지식은 곧 재산이다. HRD에 많은 노력을 쏟아 부었기에 그만큼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3. 마지막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장성군은 세계화지방화 시대에 걸맞는 좋은 역할모델이 될 수 있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타인이 이 모델을 어떻게 해석하고, 자신의 현실에 어떻게 반영하여 input/output을 극대화 할 것인가는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개혁의 대상으로서의 공무원은 이제 없다. 공무원이 곧 주민이며 국민이고, 정책의 집행주체이자 집행대상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공무원의 거부감과 같은 개혁으로부터 오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 내야만 한다. 그래야만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다.
(3) 지속적 성공은 가능한가?
마지막으로 장성군이 앞으로도 지속적 성공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인가? 10여년간 지속되어온 공무원이라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노력은 이미 그 결실을 맺고 있고, 앞으로도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더욱더 노력한다는 전제하에서.
정보화시대에 지식은 곧 재산이다. HRD에 많은 노력을 쏟아 부었기에 그만큼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3. 마지막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장성군은 세계화지방화 시대에 걸맞는 좋은 역할모델이 될 수 있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타인이 이 모델을 어떻게 해석하고, 자신의 현실에 어떻게 반영하여 input/output을 극대화 할 것인가는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개혁의 대상으로서의 공무원은 이제 없다. 공무원이 곧 주민이며 국민이고, 정책의 집행주체이자 집행대상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공무원의 거부감과 같은 개혁으로부터 오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 내야만 한다. 그래야만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