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요약]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책요약]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 한다.
- 황금 가족의 위기 : 페스트는 유럽을 고립시켰을 뿐 아니라 페르시아와 러시아에 사는 몽골인을 주국이나 몽골과 차단했다. 각 지파 사이에 연결이 끊어지자 서로 맞물리는 소유제도도 붕괴했다. 몽골인이 외국인 정복자이면서도 때로는 자기들보다 열 배나 더 많은 신민을 큰 탈 없이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군사력이 약해진 뒤에도 교역 물자가 계속 대규모로 흘러다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군사적 힘과 상업적 이득이라는 두 가지 이점이 사라지자, 러시아, 중앙아시아, 페르시아, 중동의 몽골인은 자신의 신민과 결혼을 하고 의식적으로 그들의 언어, 종교, 문화를 따름으로써 권력과 정통성의 새로운 양식으로 찾아나갔다. 이곳의 몽골 당국은 자신의 가족들로부터 샤머니즘, 불교, 기독교의 잔재를 몰아내고 이슬람 신앙을 강화했다. 몽골 왕가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자신이 통치하는 주민 내의 특정한 종교분파를 따르게 되자, 왕실 지파들 사이의 불화는 더 심해졌다. 무슬림이 된 중동의 몽골인은 쿠빌라이 칸의 예를 따랐다고 볼 수도 있다. 쿠빌라이도 중국에서 중국인처럼 보임으로써 권력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중국에서 쿠빌라이 칸의 후계자들은 그의 교활한 천재성을 따르기는 커녕 이해하지도 못했다. 몽골 당국은 더 중국화하기는 커녕 탄압을 강화하여 고립을 자초했다. 몽골 당국은 중국인으로부터 모든 무기를 빼앗았을 뿐 아니라 철로 된 농기구까지 빼앗고, 칼의 사용도 제한했다. 그들은 중국인이 말을 타는 것을 금했고, 비밀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중국의 잡극이나 전통적인 만담 공연도 금지했고, 더불어 다른 공적, 사적 집회도 금지했다. 이런 식으로 극단적인 탄압을 하자 중국 신민은 불만이 늘어났다. 몽골인은 가능한 한 중국인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새로운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종교를 공정하게 대접한다는 전통적 정책을 버리고 불교, 특히 티베트 불교를 우대하여 특혜를 주었다. 중국의 몽골 칸들은 페스트의 확산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고 신민들로부터도 점차 고립되자 티베트 불교의 영적 세계에서 피난처를 구했다. 몽골 행정부가 약해진다는 조짐만 보여도 지폐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가치가 폭락하는 대신 구리와 은의 가치는 상승했다.
- 무장해제된 몽골 제국 : 14세기 말에 중앙아시아의 몽골 소유지는 티무르의 손으로 넘어갔다. 티무르가 공개적인 고문을 자행하고 정복한 도시 바깥에 사람 머리로 피라미드를 쌓자, 사람들은 그가 몽골 민족의 전통에 따라 행동한다고 생각해버렸다. 티무르의 만행의 책임을 칭기스 칸에게 묻는 시대착오적인 일이 벌어진 것이다. 티무르의 후손은 역사에서 인도 무굴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519us 무굴 왕조를 창건한 바부르는 칭기스 칸의 둘째아들 차가타이의 13대손이다. 무굴은 인도를 세계 최대의 제조와 교역 국가로 만들었으며, 무슬림과 힌두 전통과는 반대로 여성의 지위를 높였다.
- 제국의 잔상 : 칸이 중국을 통치하고 나서도 100년 이상이 지난 뒤인 1492년 유럽에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자신이 바다를 통해 대칸의 몽골 조정과 다시 접촉하여 허물어진 교역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이사벨과 페르난도를 설득했다.
- 유럽 ; 악의 화신 칭기스 칸 : 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자들은 아시아에 대한 적대감을 조장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종종 몽골인이 놓여 있었다. 몽테스키외는 논문 「법의 정신」에서 먼저 입을 열어 오만한 태도로 아시아인을 경멸하면서, 혐오스러운 특질들 가운데 많은 것이 몽골인에게서 유래했다고 비난했다.
- 몽골 인종 죽이기
- 범몽골주의의 유행 : 네루는 딸엑 보낸 첫 편지에서 이렇게 말했다. “유럽의 위대함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어리석다. 그러나 아시아의 위대함을 잊는 태도 또한 어리석다.”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몽골 전략을 그들 나름으로 해석하여 따라가기 시작했다. 소련은 1223년 수베데이가 칼카 강에서 러시아를 물리칠 때 사용한 전술을 대규모로 적용하여 독일군을 러시아로 깊이 끌어들였다. 결국 독일군은 러시아의 넓은 지역으로 대책 없이 퍼져나가게 되었고, 소련군은 몽골군처럼 반격을 하여 독일군을 각개격파해나갔다.
- 마지막 칸의 최후 : 1944년 부하라의 전 아미르 이자 칭기스 칸의 후손 가운데 최후의 통치자였던 사이드 알림 칸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숨을 거두었다. 주치와 킵착 칸국의 후손을 자처해온 아미르는 가족의 다른 지파의 후손보다는 오래 버텼다. 1857년 영국군은 인도의 마지막 무굴 황제 바하두르 샤 2세를 퇴위시키고 이듬해에 미얀마로 보내버렸다. 대신 빅토리아 여왕이 1877년 인도의 여제가 되었다. 망기트 왕조의 알림 칸이 1910년 부하라의 아미르로서 권좌에 올랐다. 쿠릴타이라는 이름으로 열리기는 했지만 사실은 부하라 공산당 대표자들이 모인 회의에서 그 마지막 후손의 폐위가 결정되었다.
- 사라진 영기 : 영국이 19세기 인도의 마지막 무굴 황제의 아들과 손자들을 처형했듯이, 소련은 20세기 몽골에 남아 있던 칭기스 칸의 후손을 숙청했다. 칭기스 칸이 태어나고 나서 800년이 지난 1960년대 무렵 공산주의자들이 보관하던 술데, 즉 영기가 사라졌다.
맺음말 : 영원한 푸른 하늘, 칭기스 칸
- 칭기스 칸의 제국은 세계사 최후의 대형 부족 제국이었다. 그는 유목 부족과 문명세계 사이의 만년 전쟁, 즉 사냥꾼 겸 목자와 농부 사이의 오랜 투쟁의 상속자였다. 이 투쟁은 무함마드를 따르는 베두인족이 도시 이교도의 우상숭배를 분쇄하던 이야기, 로마가 훈족 원정에 나선 이야기, 그리스가 방랑하는 스키타이인과 싸운 이야기, 이집트와 페르시아의 도시 거주자들이 헤브루의 목자들로 이루어진 방랑하는 부족들을 약탈하던 이야기, 궁극적으로 밭을 갈던 카인이 가축을 기르던 동생 아벨을 죽인 이야기가 보여주듯이 그 역사가 유구하다.
- 칭기스 칸은 세상을 바꾸었지만 자신이 태어난 땅에서는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게 했다.
미주
- 몽골어에서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 칸은 투르크어에서 샤먼을 가리키는 말 칸과 거의 같다. 몽골의 여성 샤먼은 Idu-khan이라고 부르며, 남성 샤먼을 가리키는 말은 씨름꾼이나 운동선수를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0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