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프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1) 크리프율
2) 크리프한도
3) lvdt

3. 실험설계

4. 실험준비

5. 실험과정

6. 실험 DATA 값 정리

7. 결론 고찰

본문내용

1) 직경이 1.2mm인 납 1개, 1.6mm인 납 3개, 2.0mm인 납 2개를 대략 270mm정도의 길이로 일정하게 자른다.
2) 2kg, 1kg, 0.5kg 등의 추를 여러 개 준비한다.
3) 실험기기의 위쪽과 아래쪽의 납을 고정 시키는데 살짝 조여지기 시작한 후부터 1/4 정도를 돌리되, 너무 강하게 조이진 않는다.
4) 크리프의 정도를 재는 스프링을 연결한 후, 스프링의 느슨함 정도를 확인한다. (꽉 껴서 실험이 잘못 될 수가 있었다.)
5. 실험과정
위와 같이 세팅을 한 후, 추를 놔두는 동시에 0점 조정 버튼을 누르며, 5초 간격으로 시간을 재었다. 반경이 작은 것부터 그리고 추의 무게가 작은 것부터 실험 하였고, 추의 무게와 지름만 달랐고, 실험 준비 방법은 위와 동일 했다.
6. 실험 Data값 정리
1단계 2단계 3단계의 진행이 그나마 뚜렷한 부분만 체크해 놓았다.
7.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물체의 일정량의 힘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크리프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한번 실험의 5분 동안의 크리프 현상을 지켜보았지만, 크리프 현상은 눈으로는 식별하기 힘들었고, 스프링의 정도로만 측정할 수 있었다. 이걸 보면서, 실제 크리프 현상이 일어났다고, 해도 파단현상이 일어나기 전까지 측정하지 않고서는 알아보기 힘들 거라는 생각을 했다. 이번 실험은 5분 정도에 그리고 크리프를 보기 위한 실험이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더더욱 크리프를 알아내기 힘들 거라는 생각을 가졌고, 그래서 설계의 중요함을 더더욱 깊게 깨달았다.
이번 실험을 통해 크리프의 세 단계의 모습을 잘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단 그렇지 않았다. 특히 중간단계의 크리프 상태가 일정하게 올라가는 것보단, 왠지 스프링에 걸려 있는 것처럼 크리프의 진행이 멈췄다가 갑자기 많이 진행하는 등과 같은 현상이 자주 일어났다.
실험 그래프를 보니, 1.6mm 2kg과 2.0mm 4.5kg의 실험에서 스프링 설치 문제가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크리프율 3단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1.2mm 2kg과 2.0mm 6kg에서도 잘못 된 느낌이 들었다. 우리의 실험설계가 5초 간격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예를 들어 1.2mm 2kg의 실험에서 46초에 끊어졌더라도, 50초라고 계산하였다. (정확히 끊어진 시간을 잴 수 없어, 극단적인 46초라고 표현하였다.) 그로인해 기울기가 증가 하였고, 3단계의 기울기가 극단적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만들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지만, 이번 실험 속에서 확인 할 수 있었던 것 중 크리프 정도는 지름이 두꺼운 곳에서, 적은 하중을 일정하게 오래 받은 경우에 크리프가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상의 실험 장치는 아니었지만, 그로 인해서 조원들과 화합해서 실험을 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실험 시간이 즐거웠던 것 같습니다. 우리들이 이미 이론적으로 배운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기 위한 실험 이었기에, 이론에 대한 오차가 많은 부족한 장비라도 서로 실험 하면서 즐거울 수 있었기에, 더욱 좋은 실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9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