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낮은 높이의 경사진 구조물
2. 벽에 기대어 놓은 3장의 목재 패널
3. 디자인 조형센터 신축동으로 가는 연결다리
4. 건축학부 창고(디자인 조형센터에서 토목관으로 올라가는 방향에 위치)
5. 제 2 공학관(캠퍼스 지도 8번)으로 가는 길의 잘린 나무기둥
6. 방목기념관 입구의 얼음 부분
7. 방목기념관의 후면 공간의 난간
8. 제 2 공학관 뒷길에 위치한 옹벽의 후면 동산
9. 백마관(캠퍼스 지도 2번 위치)입구 지붕 표면의 균열이 심한 외장 타일
10. 백마관 전면과 후면의 가스통
11. 철근으로 세워져 있는 난간의 기둥(디자인 조형센터 앞 잔디)
12. 명진당 앞의 보행자 도로 확보를 위한 난간
결론
1. 낮은 높이의 경사진 구조물
2. 벽에 기대어 놓은 3장의 목재 패널
3. 디자인 조형센터 신축동으로 가는 연결다리
4. 건축학부 창고(디자인 조형센터에서 토목관으로 올라가는 방향에 위치)
5. 제 2 공학관(캠퍼스 지도 8번)으로 가는 길의 잘린 나무기둥
6. 방목기념관 입구의 얼음 부분
7. 방목기념관의 후면 공간의 난간
8. 제 2 공학관 뒷길에 위치한 옹벽의 후면 동산
9. 백마관(캠퍼스 지도 2번 위치)입구 지붕 표면의 균열이 심한 외장 타일
10. 백마관 전면과 후면의 가스통
11. 철근으로 세워져 있는 난간의 기둥(디자인 조형센터 앞 잔디)
12. 명진당 앞의 보행자 도로 확보를 위한 난간
결론
본문내용
1. 낮은 높이의 경사진 구조물
위치 : 디자인 조형센터 1층(캠퍼스 지도12번 위치)
- 위험 요인 : 빨간 색으로 칠해진 벽이 기울어져 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벽에 연결된 부위의 구조물의 높이가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높이는 여성의 키 정도인 160cm 정도이다. 이 높이는 잘 부딪히지 않는 높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160cm가 넘는 여학생들뿐 아니라 남학생들의 경우, 부딛힐 수 있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더구나 오른쪽 사진을 보면 게시판에 게시물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게시물을 보고 바로 오른쪽 공간(열린 설계실)으로 가는 도중 부딪힐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 모서리 부분이 사람의 눈높이기 때문에 그 상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
- 위험 방지 : 벽 부분에 연결된 기울어진 구조물을 할석(돌을 깎아내는 방법)등의 방법을 통해 깎아내어 그 높이를 높여야 한다. 하지만 구조물이기 때문에 깎아낼 경우 그 응력분포를 정확히 판단해서 공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2. 벽에 기대어 놓은 3장의 목재 패널
위치 : 도시 설계원 방향 계단 옆 창고 앞
(디자인 조형센터 1층)
- 위험 요인 : 영구적 보관이 아닌 임시로 두기 위해 문을 열 일이 빈번하지 않은 창고 앞을 선정하여 전시에 쓰일 패널 세 장을 겹쳐 기울여 놓았다. 이 위치는 계단 바로 옆이기 때문에 일단 접근하는 인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으로 패널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어 이거 쓸만한 패널인데 왜 여기에 두었지?”하며 쓰는 것인가 버리는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앞면의 전시물 부착여부를 보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패널이 앞쪽으로 쓰러져 타박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패널을 쌓아 둔 위치가 창고 앞 임을 고려해 볼 때 문을 열어야 할 일이 생길 경우 그 위치를 임시로 변경하기 위해 왼쪽의 벽을 택하게 되고 그곳에 쌓아 놓을 경우 2차 재해가 생길 우려도 있다.
- 위험 방지 : 패널의 위치를 창고 또한 목적한 위치에 안전하게 위치시켜야 한다. 이동의 경우 2인 이상의 인원이 하며 한 장씩 이동시키되 뒤의 패널이 쓰러지지 않도록 유의를 한다. 만약 임시로 패널의 위치를 그대로 두어야 할 경우 패널 부분의 아래에 무거운 물체로 고정을 하거나 패널이 미끄러지는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경계표시를 하여 인원의 접근을 막는 간접적인 방법도 강구해 볼 수 있다.
위치 : 디자인 조형센터 1층(캠퍼스 지도12번 위치)
- 위험 요인 : 빨간 색으로 칠해진 벽이 기울어져 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벽에 연결된 부위의 구조물의 높이가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높이는 여성의 키 정도인 160cm 정도이다. 이 높이는 잘 부딪히지 않는 높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160cm가 넘는 여학생들뿐 아니라 남학생들의 경우, 부딛힐 수 있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더구나 오른쪽 사진을 보면 게시판에 게시물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게시물을 보고 바로 오른쪽 공간(열린 설계실)으로 가는 도중 부딪힐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 모서리 부분이 사람의 눈높이기 때문에 그 상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
- 위험 방지 : 벽 부분에 연결된 기울어진 구조물을 할석(돌을 깎아내는 방법)등의 방법을 통해 깎아내어 그 높이를 높여야 한다. 하지만 구조물이기 때문에 깎아낼 경우 그 응력분포를 정확히 판단해서 공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2. 벽에 기대어 놓은 3장의 목재 패널
위치 : 도시 설계원 방향 계단 옆 창고 앞
(디자인 조형센터 1층)
- 위험 요인 : 영구적 보관이 아닌 임시로 두기 위해 문을 열 일이 빈번하지 않은 창고 앞을 선정하여 전시에 쓰일 패널 세 장을 겹쳐 기울여 놓았다. 이 위치는 계단 바로 옆이기 때문에 일단 접근하는 인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으로 패널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어 이거 쓸만한 패널인데 왜 여기에 두었지?”하며 쓰는 것인가 버리는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앞면의 전시물 부착여부를 보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패널이 앞쪽으로 쓰러져 타박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패널을 쌓아 둔 위치가 창고 앞 임을 고려해 볼 때 문을 열어야 할 일이 생길 경우 그 위치를 임시로 변경하기 위해 왼쪽의 벽을 택하게 되고 그곳에 쌓아 놓을 경우 2차 재해가 생길 우려도 있다.
- 위험 방지 : 패널의 위치를 창고 또한 목적한 위치에 안전하게 위치시켜야 한다. 이동의 경우 2인 이상의 인원이 하며 한 장씩 이동시키되 뒤의 패널이 쓰러지지 않도록 유의를 한다. 만약 임시로 패널의 위치를 그대로 두어야 할 경우 패널 부분의 아래에 무거운 물체로 고정을 하거나 패널이 미끄러지는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경계표시를 하여 인원의 접근을 막는 간접적인 방법도 강구해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가정의 각종 위험내용들을 찾아보시고이에 대한 위험관리방법들을 서술하시요
[가격제한][가격제한폭제도][옵션][주가변동성][VaR(위험가치)추정]가격제한과 가격제한폭제...
[공모주][저가발행현상][공모][위험기피가설][공모주평가방법][저가발행][재무관리][신규공모...
[금융시스템]금융시스템과 위험관리시스템, 금융시스템과 환위험관리시스템, 금융시스템과 리...
[금리][금리변동위험][은행내부금리][장단기금리격차][미국정책금리][금리인상][요구불예금금...
[기업 평가][기업][평가][기업가치평가][기업신용위험평가][기업지배구조평가][기업수익구조...
[중소기업][중소기업 환율][중소기업 경제][중소기업 환위험][중소기업 신용]중소기업 금융, ...
[기업 기법][원가추정기법][위험관리기법][기업설명회 기법][경영분석기법][고객만족경영기법...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고위험모아간호학 과제물]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위험과 아사히맥주를 통해 살펴본 전사적 위험관리의 의...
투자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수익률과 위험이 있다. 두 개념을 설명하고, 본인은 수익...
감상문][영화감상문][감상평]위험한 관계, 위험한 관계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