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공황과 뉴딜정책
Ⅰ 서론 - 대공황의 원인
Ⅱ 본론
1. 대공황
2. 루스벨트와 뉴딜정책
1) 뉴딜의 경과
2) 반뉴딜 운동
3) 2차 뉴딜정책
4) 뉴딜 연합
Ⅲ 결론
※ 참고자료
Ⅰ 서론 - 대공황의 원인
Ⅱ 본론
1. 대공황
2. 루스벨트와 뉴딜정책
1) 뉴딜의 경과
2) 반뉴딜 운동
3) 2차 뉴딜정책
4) 뉴딜 연합
Ⅲ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농 중에는 뉴딜의 농업정책 덕에 쥐꼬리만했던 임금이 얼마간 오른 사람도 있었다. 또한 공공사업 계획에 따라 흑인 노동자가 이전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새로운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산업별 노동조합회의(CIO)가 결성되었다. 이는 조직화가 진행되지 않았던 산업에 노동조합의 결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흑인의 가입도 고려한 최초의 조직이었다.
이와 같이 민주당은 뉴딜 정책으로 보수적인 백인정치가ㆍ유권자뿐만 아니라 대다수 흑인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도 성공했다. 실제로 흑인 유권자의 힘은 훗날 민주당의 중요한 지지기반이 된다.
연방정부가 남부의 ‘정신’에 미친 영향은 좀처럼 헤아릴 수가 없다. 남부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 덕분에 그때까지 남부인이 품고 있던 불안이 제거되어 갔다. 거의 모든 주가 뉴딜의 기분 좋은 혜택을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부는 나아가 차별적인 화물운임에 대한 남부의 불만에도 유의했다. 남부에서 생산된 원재료를 북부의 공장으로 운반하는 데는 유리하고, 남부에 제조공장을 도입하는 데는 불리했던 기존의 운임 체계에 대해서 남부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불만을 토로했다. TVA에 따라 제출된 보고서 가운데는 남부가 이 운임 체계로 인해 경제적인 식민지 취급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 있었다. 그 때문에 주간통상위원회의 조사가 이루어졌고, 결국은 1945년에 남부의 산업력을 끌어올리는 통일적인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Ⅲ 결론
1930년대의 일련의 뉴딜 정책이 즉각 남부를 변모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2차대전과 연방정부가 시행하는 정책의 영향을 다각도로 받으면서, 또 기술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남부의 농업경제는 혁명적인 시기를 경험하게 되었다.
나아가 남부의 산업화와 농업의 기계화라는 새로운 방향을 명확히 해 나갔다. 연방정부는 자금원으로서, 또 금융, 운수, 사업의 ‘동맹자’로서 남부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내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정부는 또한 남부의 고립된 노동시장에도 돌파구를 열어 주었다. 최저임금을 보장하고 주당 노동시간의 국가 기준을 만들었던 것이다. 2차대전의 개시와 함께 남부가 대규모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모를 이룩하는 토대는 여기서 완성되었다.
※ 참고자료
두 개의 미국사 (남부인이 말하는 미국의 진실) - 제임스 M. 바더맨 / 심산문화
한국인을 위한 미국사 - 양재열 / 혜안
미국의 역사 - 프란시스 휘트니 외 /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과
이와 같이 민주당은 뉴딜 정책으로 보수적인 백인정치가ㆍ유권자뿐만 아니라 대다수 흑인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도 성공했다. 실제로 흑인 유권자의 힘은 훗날 민주당의 중요한 지지기반이 된다.
연방정부가 남부의 ‘정신’에 미친 영향은 좀처럼 헤아릴 수가 없다. 남부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 덕분에 그때까지 남부인이 품고 있던 불안이 제거되어 갔다. 거의 모든 주가 뉴딜의 기분 좋은 혜택을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부는 나아가 차별적인 화물운임에 대한 남부의 불만에도 유의했다. 남부에서 생산된 원재료를 북부의 공장으로 운반하는 데는 유리하고, 남부에 제조공장을 도입하는 데는 불리했던 기존의 운임 체계에 대해서 남부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불만을 토로했다. TVA에 따라 제출된 보고서 가운데는 남부가 이 운임 체계로 인해 경제적인 식민지 취급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 있었다. 그 때문에 주간통상위원회의 조사가 이루어졌고, 결국은 1945년에 남부의 산업력을 끌어올리는 통일적인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Ⅲ 결론
1930년대의 일련의 뉴딜 정책이 즉각 남부를 변모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2차대전과 연방정부가 시행하는 정책의 영향을 다각도로 받으면서, 또 기술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남부의 농업경제는 혁명적인 시기를 경험하게 되었다.
나아가 남부의 산업화와 농업의 기계화라는 새로운 방향을 명확히 해 나갔다. 연방정부는 자금원으로서, 또 금융, 운수, 사업의 ‘동맹자’로서 남부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내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정부는 또한 남부의 고립된 노동시장에도 돌파구를 열어 주었다. 최저임금을 보장하고 주당 노동시간의 국가 기준을 만들었던 것이다. 2차대전의 개시와 함께 남부가 대규모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모를 이룩하는 토대는 여기서 완성되었다.
※ 참고자료
두 개의 미국사 (남부인이 말하는 미국의 진실) - 제임스 M. 바더맨 / 심산문화
한국인을 위한 미국사 - 양재열 / 혜안
미국의 역사 - 프란시스 휘트니 외 /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