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공학은 외과 분야에 어떻게 응용되나?
2. 임상공학은 건강관리 시스템에 어떻게 응용되나?
3. 임상병리 장비 개요 및 응용
4. 바이오 산업의 응용 분야
5. 병원의료 정보 시스템이란?
6. 병원 의료 정보 시스템 이론은 병원 진료에 어떻게 응용되는가 ?
7. 의공학은 이빈인후과 분야에의 어떻게 응용하나? (응용의 실제)
8. Ultra sound, CT, MRI 의 임상 응용의 실제( 무슨질환을 진단하고 어떻게 사용되는지)
9. 산업장 보건관리 관련 장비의 응용
10. 정형외과에의 응용 (즉,관절경 및 정형외과 분야 신소재의 응용) 에 관하여
2. 임상공학은 건강관리 시스템에 어떻게 응용되나?
3. 임상병리 장비 개요 및 응용
4. 바이오 산업의 응용 분야
5. 병원의료 정보 시스템이란?
6. 병원 의료 정보 시스템 이론은 병원 진료에 어떻게 응용되는가 ?
7. 의공학은 이빈인후과 분야에의 어떻게 응용하나? (응용의 실제)
8. Ultra sound, CT, MRI 의 임상 응용의 실제( 무슨질환을 진단하고 어떻게 사용되는지)
9. 산업장 보건관리 관련 장비의 응용
10. 정형외과에의 응용 (즉,관절경 및 정형외과 분야 신소재의 응용) 에 관하여
본문내용
비스 수준에 따른 분류
가) 병원
나) 1차 보건의료시설
: 의원, 한의원, 치과의사, 조산원, 약국,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
2. 보건의료시설의 특성
가. 의료시설은 건립에 막대한 자금이 소요
- 건립 후에는 수십 년간 고정적으로 위치하여 기능함
- 건립된 후에는 확장, 변경, 수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듬 ; 설계시공시
장기적 계획과 최대한의 융통성이 부여되어야 함
나. 의료인력 및 다른 관련 자원을 유치하는 전제 자원임
- 인력분포와 의료제공체계의 운영효과에 영향을 미침
- 시설의 위치, 규모, 설비투자 등이 지역 전체 의료체계의 운영과
균형되게 계획
다. 의료시설은 주민의 의료이용과 의료이용행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
-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환경, 사회간접자본의 수준, 질병의 종류와 양,
관련 의료기관의 서비스의 종류와 양 등에 관한 현재와 미래가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함
라. 의료시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이들간의 독자성을 보장하고, 연계 및 조정이 용이해야 함
마. 의사를 비롯한 다양한 의료인의 작업장으로서
- 진료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각종 표준기준과 인간공학적 설계에
근거해서 건립
- 발전하는 신기술의 수용이 용이해야함
바. 의료시설의 내부환경적 수준이 의료서비스의 한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야 함
- 진료실, 대기실, 식당, 전화기 등이 환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므로
- 환자의 만족도는 의사-환자관계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의료
의 질향상에 도움이 됨
사. 의료시설은 그 지역사회의 자부심의 표현이고 지역의 대표적 시설로 인식됨
- 그 지역의 전반적 기술수준, 인력수준, 사회문화적 특성과 관습을 반영
10. 정형외과에의 응용 (즉,관절경 및 정형외과 분야 신소재의 응용) 에 관하여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Treatment)
퇴행성 슬 관절염에서 관절경 수술은 크게 절개하지 않고 0.5cm가량의 작은 상처를 내고 그구멍을 통해 기구(관절경)를 넣어 관절 속의 손상된 부위를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고식적인 관절 절개술보다 절개길이가 작고, 치유 및 회복이 빠르며, 흉터도 거의 생기지 않아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 당일 퇴원이 가능하며 MRI 사진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병변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절경 수술은 이상과 같은 장점으로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무릎 관절 수술의 95%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절경을 이용한 시술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무릎 관절 안에는 관절 연골, 물렁뼈와 같은 2개의 반월상 연골, 그리고 관절의 앞,뒤로 전방십자 인대 후방십자 인대가 있어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관절을 싸고 있는 활액막 등이 또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시 관절경 시술은 매우 효과적인 시술이 될 수 있다. 몇 가지 질환을 예로 들면 퇴행성 관절염에 의하여 연골이나 물렁뼈가 상하였을 시 관절경을 이용하여 상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깨끗하게 청소하여 주면 통증이 없어지며, 류마치스 관절염에 의하여 통증이 있을 시 관절경을 이용하여 비후 된 활액막을 제거하여 주면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경기 중에 손상된 인대의 재건술도 관절경을 이용하여 시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농성 관절염, 관절 안의 이물질 제거, 관절 주위의 골절 등 많은 질환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절경 수술은 환부를 절개하지 않고 조그만 구멍을 통해 소형카메라가 달린 관절경을 관절강 내에 삽입하여 TV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동시에 수술을 할 수 있다. 수술 장면을 녹화 할 수 있고 관절경으로 보면서 바로 마모되고 소실되어 생긴 군뼈나 상한 조직을 관절경을 통해 깎고 다듬는 미세 천공 수술로 새로운 연골이 자라날 수 있게 한다.
1) 관절경적 관절 변연 절제술(Arthroscopic Debridement
슬관절에서는 절제술은 다양한 세척, 부분 반월판 절제술, 부분 활액막 제거, 골극 제거, 연골성형술 등이 포함되며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기계적 자극 산물 등의 제거가 증상완화와 질병진행을 막는 것으로 추청된다. 또한 분리 조각들의 제거, 세척액의 염소이온으로 인한 동통전달의 차단 등도 다른 원인으로 생각된다. 급성 또는 단기간의 증상 (6개월 내), 정상적 사지 배열(정열), 그리고 중등도의 퇴행성 변화를 가진 상태에서 비 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적응증이 된다. 관절경적 부분 반월판 연골 절제술은 급성의 잘 국한된 관절선 통증이나 지속되는 관절 삼출액, 관절 잠김 현상등이 명백한 증상이 있으면서 방사선적으로 중등도의 퇴행성 변화의 관찰 시에 적응증이 된다.
2) 관절경적 미세 골절술(Subchondral Drilling / Microfracture)
관절경적 미세 골절술은 퇴행성 관절염에서 국한된 지역에 연골 결손 시 이용되어왔다. 혈종이 섬유연골로 전환되어 관절면의 형태를 부분적 회복시켜 증상호전과 인공 관절 치환술 시기를 연기시켜준다.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미세 골절술에 의해 연골 하골의 노출 시 전 층에 걸친 연골 결손부위에 섬유연골 성장을 촉진시킨다. 섬유연골 성장시 관절면의 모양과 단기간의 증상호전은 있으나 재생된 섬유연골의 지속성에는 아직 결론이 나있지 않다. 구멍뚫기와 미세 골절술은 국한된 단독의 전 층에 걸친 연골결손이 있는 경우에 정상 사지배열이 있고 퇴행성 변화가 적은 환자에게서 적응증이 된다.
3) 소파 관절 성형술(Abrasion Arthroplasty)
관절경적
소파 관절 성형술(Arthroscopic abrasion arthroplasty)은 연골생성을 자극하는 수술 방법이다. 표층의 괴사조직의 제거가 혈관 네트워크를 노출시키고 그로 인해 표면에 혈전이 부착되며, 섬유조직의 형성 후 섬유연골을 형성하게 된다. 염증성 관절염이 있거나 관절강직, 변형, 불안정성이 있을 때는 금기이고 2달 동안의 비 체중부하 치료기간을 받을 수 없는 경우도 금기이다.
(그림1)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적 치료
정형외과용 수술장비 ==>
가) 병원
나) 1차 보건의료시설
: 의원, 한의원, 치과의사, 조산원, 약국,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
2. 보건의료시설의 특성
가. 의료시설은 건립에 막대한 자금이 소요
- 건립 후에는 수십 년간 고정적으로 위치하여 기능함
- 건립된 후에는 확장, 변경, 수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듬 ; 설계시공시
장기적 계획과 최대한의 융통성이 부여되어야 함
나. 의료인력 및 다른 관련 자원을 유치하는 전제 자원임
- 인력분포와 의료제공체계의 운영효과에 영향을 미침
- 시설의 위치, 규모, 설비투자 등이 지역 전체 의료체계의 운영과
균형되게 계획
다. 의료시설은 주민의 의료이용과 의료이용행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
-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환경, 사회간접자본의 수준, 질병의 종류와 양,
관련 의료기관의 서비스의 종류와 양 등에 관한 현재와 미래가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함
라. 의료시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이들간의 독자성을 보장하고, 연계 및 조정이 용이해야 함
마. 의사를 비롯한 다양한 의료인의 작업장으로서
- 진료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각종 표준기준과 인간공학적 설계에
근거해서 건립
- 발전하는 신기술의 수용이 용이해야함
바. 의료시설의 내부환경적 수준이 의료서비스의 한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야 함
- 진료실, 대기실, 식당, 전화기 등이 환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므로
- 환자의 만족도는 의사-환자관계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의료
의 질향상에 도움이 됨
사. 의료시설은 그 지역사회의 자부심의 표현이고 지역의 대표적 시설로 인식됨
- 그 지역의 전반적 기술수준, 인력수준, 사회문화적 특성과 관습을 반영
10. 정형외과에의 응용 (즉,관절경 및 정형외과 분야 신소재의 응용) 에 관하여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Treatment)
퇴행성 슬 관절염에서 관절경 수술은 크게 절개하지 않고 0.5cm가량의 작은 상처를 내고 그구멍을 통해 기구(관절경)를 넣어 관절 속의 손상된 부위를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고식적인 관절 절개술보다 절개길이가 작고, 치유 및 회복이 빠르며, 흉터도 거의 생기지 않아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 당일 퇴원이 가능하며 MRI 사진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병변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절경 수술은 이상과 같은 장점으로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무릎 관절 수술의 95%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절경을 이용한 시술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무릎 관절 안에는 관절 연골, 물렁뼈와 같은 2개의 반월상 연골, 그리고 관절의 앞,뒤로 전방십자 인대 후방십자 인대가 있어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관절을 싸고 있는 활액막 등이 또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 이상이 있을 시 관절경 시술은 매우 효과적인 시술이 될 수 있다. 몇 가지 질환을 예로 들면 퇴행성 관절염에 의하여 연골이나 물렁뼈가 상하였을 시 관절경을 이용하여 상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깨끗하게 청소하여 주면 통증이 없어지며, 류마치스 관절염에 의하여 통증이 있을 시 관절경을 이용하여 비후 된 활액막을 제거하여 주면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경기 중에 손상된 인대의 재건술도 관절경을 이용하여 시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농성 관절염, 관절 안의 이물질 제거, 관절 주위의 골절 등 많은 질환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절경 수술은 환부를 절개하지 않고 조그만 구멍을 통해 소형카메라가 달린 관절경을 관절강 내에 삽입하여 TV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동시에 수술을 할 수 있다. 수술 장면을 녹화 할 수 있고 관절경으로 보면서 바로 마모되고 소실되어 생긴 군뼈나 상한 조직을 관절경을 통해 깎고 다듬는 미세 천공 수술로 새로운 연골이 자라날 수 있게 한다.
1) 관절경적 관절 변연 절제술(Arthroscopic Debridement
슬관절에서는 절제술은 다양한 세척, 부분 반월판 절제술, 부분 활액막 제거, 골극 제거, 연골성형술 등이 포함되며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기계적 자극 산물 등의 제거가 증상완화와 질병진행을 막는 것으로 추청된다. 또한 분리 조각들의 제거, 세척액의 염소이온으로 인한 동통전달의 차단 등도 다른 원인으로 생각된다. 급성 또는 단기간의 증상 (6개월 내), 정상적 사지 배열(정열), 그리고 중등도의 퇴행성 변화를 가진 상태에서 비 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적응증이 된다. 관절경적 부분 반월판 연골 절제술은 급성의 잘 국한된 관절선 통증이나 지속되는 관절 삼출액, 관절 잠김 현상등이 명백한 증상이 있으면서 방사선적으로 중등도의 퇴행성 변화의 관찰 시에 적응증이 된다.
2) 관절경적 미세 골절술(Subchondral Drilling / Microfracture)
관절경적 미세 골절술은 퇴행성 관절염에서 국한된 지역에 연골 결손 시 이용되어왔다. 혈종이 섬유연골로 전환되어 관절면의 형태를 부분적 회복시켜 증상호전과 인공 관절 치환술 시기를 연기시켜준다.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미세 골절술에 의해 연골 하골의 노출 시 전 층에 걸친 연골 결손부위에 섬유연골 성장을 촉진시킨다. 섬유연골 성장시 관절면의 모양과 단기간의 증상호전은 있으나 재생된 섬유연골의 지속성에는 아직 결론이 나있지 않다. 구멍뚫기와 미세 골절술은 국한된 단독의 전 층에 걸친 연골결손이 있는 경우에 정상 사지배열이 있고 퇴행성 변화가 적은 환자에게서 적응증이 된다.
3) 소파 관절 성형술(Abrasion Arthroplasty)
관절경적
소파 관절 성형술(Arthroscopic abrasion arthroplasty)은 연골생성을 자극하는 수술 방법이다. 표층의 괴사조직의 제거가 혈관 네트워크를 노출시키고 그로 인해 표면에 혈전이 부착되며, 섬유조직의 형성 후 섬유연골을 형성하게 된다. 염증성 관절염이 있거나 관절강직, 변형, 불안정성이 있을 때는 금기이고 2달 동안의 비 체중부하 치료기간을 받을 수 없는 경우도 금기이다.
(그림1)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적 치료
정형외과용 수술장비 ==>
추천자료
반월상 연골손상과 퇴행성 슬관절염
척수손상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case 파워포인트
무증상적 갑상선 우연종에 대한 진단및 처치
[정신건강론] 정신분열증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 발달과정, 개념, 치료목표, 치료과정, 치료기법, 치료이론, 평가, ...
가족치료의 모델 -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 치료
[Solution Focused Therapy] 문제해결치료 과정, 문제해결치료 방법, 문제해결치료 공헌점, ...
EKG A-Line 에이라인 [성인간호]
내과, 신경내과에서 기본적으로 주로 시행하는 각종검사
아동간호학 실습 열성경련 간호과정
해결중심적 가족치료모델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실습 난소 낭종 (ovarian cystic tumor) + 복강내 출혈 케이스 스터디
노인 파킨슨병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