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담당 구역
2. 조사 목적
Ⅱ. 본론
● 정신과
● 정형외과
● 소아과
Ⅲ. 결론
1. 담당 구역
2. 조사 목적
Ⅱ. 본론
● 정신과
● 정형외과
● 소아과
Ⅲ. 결론
본문내용
.
ⅱ 침대와 간이침대
여의도 성모병원의 병실침대 크기는 90cm x 203cm (가로,세로순)이었으며 간이침대의 크기는 58cm x120cm 이었고 강남성모병원의 침대 크기는 76cm x 182cm 이었고 간이침대의 경우 61cm x 140cm 으로 환자 침대의 경우 여의도 성모병원의 침대가 다소 컸으며, 간이침대의 경우는 강남성모병원의 침대가 더 컸다. 하지만 두 병원의 간이침대의 세로길이가 평균성인신장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보호자들이 잠을잘 때 몸을 굽혀서 잠을 자야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ⅲ 환자와 보호자의 수납공간및 기타공간
여의도 성모병원의 경우 병실내 개인 사물함과 수납장이 침대 당 1개씩 비치되어 있었으며 강남성모병원의 경우 침대옆 긴 사물함 하나가 비치되어 있었다. 여의도 성모병원의 경우 긴옷을 걸어놓을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비해 강남성모병원은 그러한 공간이 부족하다.
ⅳ편의및 오락시설
강남성모병원의 다인용 병실에 TV1대가 놓여 있었으나 TVinch 수가 작아서 맨 끝(문쪽)의 침대를 쓰는 환자는 TV를 편하게 시청하는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손을 씻을수 있는 세면대는 문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방송을 위한 스피커는 세면대 기준으로 왼쪽벽위에 붙어있었다. 여의도 성모병원역시 다인용 병실에 TV나 전화가 각각 1대씩 비치되어 부족한 상황이었다.
● 소아과
* 환아 가족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다. 보호자들이 병실에 살면서 아이들을 돌봐주고 밥을 먹여주고 있었다. 보호자들은 환아들 침대 옆에 좁고 낮은 보조침대 위에서만 생활할 수 있어서 무척 생활공간이 좁아 보였다.
* 소아과라서 그런지 병실이 남녀 구별이 없었다. 환아들도 주로 백혈병 환아들이 많아서 대부분 머리카락이 없어서 남녀구별이 어려웠다.
* 주로 혈액종양 질환을 앓는 아이들이 있는 곳이라 무균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곳은 아예 엔젤병동이라는 이름으로 병동이 따로 있어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엔젤병동에 들어가는 간호사들도 다 머리에 비닐을 뒤집어써야 들어갈 수 있는 것 같아서 우리는 들어가지 않았다.
* 간호사들이 색색의 그림 그려진 앞치마를 하고 있었다. (다는 아니고 앞치마를 한 것은 일부만이었는데 아마도 지위가 다르거나 하는 일이 다른 간호사인 것 같았다.)
* 침대의 높이나 복도에 있는 안전바의 높이, 화장실과 병실에 있는 세면대의 높이는 아이들용이니까 더 낮을 것 이라고 생각했지만 다른 병동과 거의 같았다.
* 기타생활시설
벽에 그림이 곳곳에 그려져 있어 분위기를 좀 더 밝게 만들고 있었음. 아이들이 만든 건지 어떤 건지는 몰라도 풍선 작품이 많이 놓여 있었음.
책장에 책 2백여 권, 만화책 등이 있었음.
* 아이들을 위한 수업
영어교실, 풍선 만들기 등등의 수업...
< 강남과 여의도 소아과 병동 비교 >
* 강남은 병원에 컴퓨터가 있다고 돼있는데 여의도성모병원은 컴퓨터가 없었음.(물론 환자 개인이 가져온 것은 쓸 수 있음.)
* 강남은 5층이고 여의도는 11층
Ⅲ. 결론
이번 조사는 몇 개 병동의 2~3명으로 구성된 강남성모병원 실습 그룹들과, 여의도성모병원 실습 그룹들이 각각 배정된 병동에 실습을 다녀온 후에, 함께 모여 토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본간호학 C조는 정신과, 정형외과, 소아과를 실습해본 5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함께 문헌 및 여러 가지 자료들을 찾아보고, 익힘으로서 실제 실습에 대비했다. 환경조사 실습을 나가기 전에 함께 모여 이야기 해보고, 찾아본 자료들은 실제로 조사와 토의과정에 있어서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함께 예상했었던 부분들도 많이 보였고, 전혀 생각도 못했던 부분도 보여 모두들 적극적인 자세로 조사에 임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생각한 것보다, 각 병동들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많이 다를거라고 생각되지 않았던 성모병원들간(강남 성모병원과 여의도 성모병원)의 차이점도 많이 보였다. 또한, 실제 병원들의 전반적인 환경이 모두 교과서 이론대로 운영되지 않음과 그 병동만의 독자적인 환경이 매우 다양함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 C조 구성원 모두가 이 조사를 통해서 병원에 나가는 간호학과 3학년이 되기 전에 뜻 깊은 경험을 한 것 같다. 간호학과에서 많이 진출하게 되는 병원의 환경을 직접 조사해 보니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병동 모습과 분위기에는 감탄을, 여전히 환자 중심적 환경이 되기엔 낙후된 환경에는 안타까움을 느꼈다. 우리 모두가 이 실습을 통해 미래를 위한 뜻 깊은 경험을 한 것 같다.
ⅱ 침대와 간이침대
여의도 성모병원의 병실침대 크기는 90cm x 203cm (가로,세로순)이었으며 간이침대의 크기는 58cm x120cm 이었고 강남성모병원의 침대 크기는 76cm x 182cm 이었고 간이침대의 경우 61cm x 140cm 으로 환자 침대의 경우 여의도 성모병원의 침대가 다소 컸으며, 간이침대의 경우는 강남성모병원의 침대가 더 컸다. 하지만 두 병원의 간이침대의 세로길이가 평균성인신장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보호자들이 잠을잘 때 몸을 굽혀서 잠을 자야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ⅲ 환자와 보호자의 수납공간및 기타공간
여의도 성모병원의 경우 병실내 개인 사물함과 수납장이 침대 당 1개씩 비치되어 있었으며 강남성모병원의 경우 침대옆 긴 사물함 하나가 비치되어 있었다. 여의도 성모병원의 경우 긴옷을 걸어놓을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비해 강남성모병원은 그러한 공간이 부족하다.
ⅳ편의및 오락시설
강남성모병원의 다인용 병실에 TV1대가 놓여 있었으나 TVinch 수가 작아서 맨 끝(문쪽)의 침대를 쓰는 환자는 TV를 편하게 시청하는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손을 씻을수 있는 세면대는 문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방송을 위한 스피커는 세면대 기준으로 왼쪽벽위에 붙어있었다. 여의도 성모병원역시 다인용 병실에 TV나 전화가 각각 1대씩 비치되어 부족한 상황이었다.
● 소아과
* 환아 가족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다. 보호자들이 병실에 살면서 아이들을 돌봐주고 밥을 먹여주고 있었다. 보호자들은 환아들 침대 옆에 좁고 낮은 보조침대 위에서만 생활할 수 있어서 무척 생활공간이 좁아 보였다.
* 소아과라서 그런지 병실이 남녀 구별이 없었다. 환아들도 주로 백혈병 환아들이 많아서 대부분 머리카락이 없어서 남녀구별이 어려웠다.
* 주로 혈액종양 질환을 앓는 아이들이 있는 곳이라 무균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곳은 아예 엔젤병동이라는 이름으로 병동이 따로 있어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엔젤병동에 들어가는 간호사들도 다 머리에 비닐을 뒤집어써야 들어갈 수 있는 것 같아서 우리는 들어가지 않았다.
* 간호사들이 색색의 그림 그려진 앞치마를 하고 있었다. (다는 아니고 앞치마를 한 것은 일부만이었는데 아마도 지위가 다르거나 하는 일이 다른 간호사인 것 같았다.)
* 침대의 높이나 복도에 있는 안전바의 높이, 화장실과 병실에 있는 세면대의 높이는 아이들용이니까 더 낮을 것 이라고 생각했지만 다른 병동과 거의 같았다.
* 기타생활시설
벽에 그림이 곳곳에 그려져 있어 분위기를 좀 더 밝게 만들고 있었음. 아이들이 만든 건지 어떤 건지는 몰라도 풍선 작품이 많이 놓여 있었음.
책장에 책 2백여 권, 만화책 등이 있었음.
* 아이들을 위한 수업
영어교실, 풍선 만들기 등등의 수업...
< 강남과 여의도 소아과 병동 비교 >
* 강남은 병원에 컴퓨터가 있다고 돼있는데 여의도성모병원은 컴퓨터가 없었음.(물론 환자 개인이 가져온 것은 쓸 수 있음.)
* 강남은 5층이고 여의도는 11층
Ⅲ. 결론
이번 조사는 몇 개 병동의 2~3명으로 구성된 강남성모병원 실습 그룹들과, 여의도성모병원 실습 그룹들이 각각 배정된 병동에 실습을 다녀온 후에, 함께 모여 토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본간호학 C조는 정신과, 정형외과, 소아과를 실습해본 5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함께 문헌 및 여러 가지 자료들을 찾아보고, 익힘으로서 실제 실습에 대비했다. 환경조사 실습을 나가기 전에 함께 모여 이야기 해보고, 찾아본 자료들은 실제로 조사와 토의과정에 있어서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함께 예상했었던 부분들도 많이 보였고, 전혀 생각도 못했던 부분도 보여 모두들 적극적인 자세로 조사에 임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생각한 것보다, 각 병동들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많이 다를거라고 생각되지 않았던 성모병원들간(강남 성모병원과 여의도 성모병원)의 차이점도 많이 보였다. 또한, 실제 병원들의 전반적인 환경이 모두 교과서 이론대로 운영되지 않음과 그 병동만의 독자적인 환경이 매우 다양함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 C조 구성원 모두가 이 조사를 통해서 병원에 나가는 간호학과 3학년이 되기 전에 뜻 깊은 경험을 한 것 같다. 간호학과에서 많이 진출하게 되는 병원의 환경을 직접 조사해 보니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병동 모습과 분위기에는 감탄을, 여전히 환자 중심적 환경이 되기엔 낙후된 환경에는 안타까움을 느꼈다. 우리 모두가 이 실습을 통해 미래를 위한 뜻 깊은 경험을 한 것 같다.
추천자료
[실습]정신간호 보고서-의사소통과정, 치료요법, 이상행동양상 관찰 등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담관낭종
소아과 실습
신경외과 실습 case study 간호과정 포함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정신간호학 실습 레포트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case study)- 폐암 (lung cancer)
[간호관리실습]팀간호 종류,장단점,개선안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조현병간호, 정신간호, 간호진단, 계획,수행, 평가 포함. 조현병)
성인간호학 실습-타박상
아동간호학 실습-기관지염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 중독 (alcoholism)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