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또는 유발요인
4. 주증상 및 주요 검사소견
5. 진단방법
6.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7. 치료
8. 간호
9. 합병증 및 예후
*간호정보 조사 ( 일반 정보 )
*간호정보 조사 ( 신체검진 )
*간호진단
*간호과정

본문내용

나타나고, 호흡성 산증이 자주 나타난다. 이기간 이후 환자는 아주 빨리 호전되어 수일내 완전히 회복된다.
치명률은 1%이하이고 prolonged apneic spell, severe uncompensated, respiratory cidosis, profound dehydration이 주 사인이다.
congenital heat disease나 cystic fibrosis등을 지니고 있는 환아는 사망률이 더 높으며, bronchopneumonia나 중이염등의 합병증은 드물다.
<급성호흡기감염의 주요 병원체>
Virus
세균
Myxovirus
Influenza A
Influenza B
Influenza C
Parainfluenza 1,2,3,4,
Respiratory syncytial
Hemolytic streptococci
Pneumococci
Staphylococci
H. influenzae
H. pertusses
Adenovirus군(45형이상)
1~7형, 7, 14, 21형
Enterovirus군
Coxsackie A(1~24)
Coxsackie B(1~6)
ECHO virus(1~34)
Rhinovirus군(100형 이상)
Mycoplasma pneumoniae
간호정보 조사 ( 일반 정보 )
성 명
원**
성 별
M
나 이
12
정보제공

입원날짜
06년 5월 18일
입원경로
외래
입원방법
도보
종 교
기독교
과거병력
수술명
asthma.pneumonia
맹장 수술
알레르기
없음
진단명
Acute Bronchitis ( 급성 기관지염 )
.
입원동기
및 주증상
지난 금요일(5월 12일 )부터 기침과 열이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해져 5월 18일 월요일 외래 통해 입원함
발병일
2006년 5월 12일
< 5월 12일 처음 기침과 열이 났으며 집금처 소아과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이 되지 않아 외래를 통해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동생이 asthma가 있고 환아 두차례 pneumonia와 asth ma로 입원 치료하여서 천식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깊게 보살핌 >
간호정보 조사 ( 신체검진 )
기형
없음
동통
있음 ( 복부 )
식욕
좋음
수면상태
기침 때문에 자주깸
대변
정상 ( 하루 1회 )
소변
정상 ( 하루 4회 )
활동상태
자유로움
피부상태
정상
피부색깔
정상
소화기장애
정상
순환기장애
있음( 흉통 )
부종
없음
호흡기장애
있음 ( 가래, 기침 )
시력장애
정상
청력장애
정상
신경근육
이상없음
마비
없음
의식
명료
정성상태
안정
보조기구
없음
신장
체중
p
(pulse:맥박)
100
RR
(respiratory rate:호흡률)
28
BT
(Body Temperature:체온)
36.9
BP
(Blood Pressure:혈압)
110/80
간호진단
비효율적인 기침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 호 과 정
주관적 자료
“기침이 자주나 목이 아파요”
“말을 잘 못하겠어요”
객관적
자료
가슴을 자주 주어쥔다
기침 때문에 얼굴이 붉어 진다

단기목표
추위를 제거해준다.
장기목표
환아는 발열의 증상이 없으며 체온을 36.5~37.2도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① 가벼운 옷을 입히고 얇은 이블을 덮어 준다.
② 서늘한 환경을 유지한다.
③ 방온도를 22.2~23.9도를 유지한다.
④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⑤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상승을 사정한다.
미지근한 수건으로 마사지를 해준다.
간호수행
① 가벼운 옷을 입히고 얇은 이블을 덮어 준다. ( O )
② 서늘한 환경을 유지한다. ( O )
③ 방온도를 22.2~23.9도를 유지한다. ( X )
④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 O )_
⑤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상승을 사정한다.( O )
미지근한 수건으로 마사지를 해준다. ( O )
평 가
환아에게 가벼운 옷을 입히고 얇은 아기포만 덮어 주었고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여 방의 온도를 낮추었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하였고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였고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간 호 과 정
주관적 자료
“추위요,”
“아퍼”
객관적
자료
① 환아의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체크된다.
② 환아의 호흡수가 28회 이상으로 빠르다.
③ 환아의 맥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빠르다.
④ 몸 떨림이 관찰된다.
단기목표
추위를 제거해준다.
장기목표
환아는 발열의 증상이 없으며 체온을 36.5~37.2도로 유지된다
간호수행
① 가벼운 옷을 입히고 얇은 이블을 덮어 준다.
② 서늘한 환경을 유지한다.
③ 방온도를 22.2~23.9도를 유지한다.
④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⑤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상승을 사정한다.
미지근한 수건으로 마사지를 해준다.
평 가
환아에게 가벼운 옷을 입히고 얇은 아기포만 덮어 주었고 서늘한 환경을 유지하여 방의 온도를 낮추었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하였고 1~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였고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 점액 분비증가와 과련된 가스교환 장애 ♥
간 호 과 정
주관적 자료
“ 답답해”
“잠와, 코막혀서 밤에 잠 제대로 못잤어”
객관적
자료
① 코를 벌렁거린다.
② 호흡수가 많다.
③ 쌕쌕거리는 소리를 낸다.
④ 잠이 와서 힘들어하는 모습이다.
단기목표
잠을 편히 자도록 한다
장기목표
호흡을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간호수행
① 차가운 고습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가습기 사용을 격려한다.
② 목은 약간 신전시키고 머리와 목을 상승시킨 자세로 누워 있도록 한다.
③ 처방에 따라 하루 3번 nebulizer를 해준다.
④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⑤ 밤에 수면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소음과 빛을 감소시키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판컵을 이용하여 등과 복부 부위를 두둘겨 준다
평 가
수면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소음과 빛을 감소시키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였고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 결과 좀 더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평소에 고습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였고 nebulizer를 규칙적으로 해 준 결과 쌕쌕거림이 많이 완화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