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 한진해운 선정 이유 ------------------------------- 2
2. 한진해운 기업 소개
(1) 회사소개 ------------------------------------ 3
(2) 발전과정 ------------------------------------ 4
(3) 역사/연혁 ------------------------------------- 5
<본 론>
1. 한진해운의 현황 --------------------------------- 7
2. 한진해운의 해외진출방식 -------------------------- 9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추진전략 ------------------------ 10
(1) 비즈니스 솔루션
(2) 지식 경영 시스템
(3) 전자공유시스템 i플라자 구축
(4) Exchange 2000 server구축
(5) 지식경영 관점 분석에서 비전 및 전략분석
<결 론>
1. 해운산업의 전망 -------------------------------- 12
2. 한진해운의 SWOT분석 ----------------------------- 18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전략 제안 ------------------------ 19
<참고문헌> --------------------------------------- 20
1. 한진해운 선정 이유 ------------------------------- 2
2. 한진해운 기업 소개
(1) 회사소개 ------------------------------------ 3
(2) 발전과정 ------------------------------------ 4
(3) 역사/연혁 ------------------------------------- 5
<본 론>
1. 한진해운의 현황 --------------------------------- 7
2. 한진해운의 해외진출방식 -------------------------- 9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추진전략 ------------------------ 10
(1) 비즈니스 솔루션
(2) 지식 경영 시스템
(3) 전자공유시스템 i플라자 구축
(4) Exchange 2000 server구축
(5) 지식경영 관점 분석에서 비전 및 전략분석
<결 론>
1. 해운산업의 전망 -------------------------------- 12
2. 한진해운의 SWOT분석 ----------------------------- 18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전략 제안 ------------------------ 19
<참고문헌> --------------------------------------- 20
본문내용
능성이 크고, 올해와 같이 선박 연료유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경우 운항원가가 상승되어 선사의 이윤이 크게 잠식당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이다.
실제로 2005년도 한진해운의 영업이익이 전년에 비해 감소한 이유로 연료유의 가격 상승을 한 이유로 꼽았다. 또한 각 항로별로 투입 선박량이 늘어남에 따라 선사가 운임 덤핑에 나서고, 화주의 입김이 세지는 이른바 ‘화주 주도 시장’으로 변할 경우 선사의 입지가 그만큼 좁아질 우려도 있음
2. 한진해운의 SWOT분석
강 점
약 점
-조선산업의 발달로 자사선 보유가 용이
-물류거점으로서의한반도의 좋은 지정학적 위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정책으로 수송물량확보가 용이
-고급해기사의 보유
-중추항만을 보유
-수출주도형으로 인해 경기에 많은 영향
-석유수입국가로서 원유의 가격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좌우
-선박운임의 하락으로 수익성 악화(최근에는 점점 회복추세)
-선박취득시의 소요비용이 크기 때문에 이자비용이 큼
-선원수급이 불안정
기 회
위 협
-복합운송의 확대
-대형선박의 제조로 인해 1회 수송량 증가 가능
-중국등의 동남아 지역 경제의 성장으로 인해 해운산업의 부가가치가 증가
-해상보험, 선박보험, 해사중재, 해사정보, 운송거래 중개, 선주상호보험(P&I), 선박금융 등의 발전 잠재력이 높음
-인터넷을 활용한 매출증가(E-biz)
-WTO협상을 통한 각 국가간 무역장벽의 완화
-여타 운송수단의 대형화로 인해 시장잠식 우려(예:대형항공기의 제작)
-세계경기의 악화와 국제정세의 불안으로 수송량이 감소할지도 모름
-우리나라 경기의 침체가 지속될 우려
-동남아와 세계를 연결하는 중추항로를 겨냥한 다른 나라와의 경쟁(예:일본/북중국)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전략 제안
한진 해운은 독자적인 경영전략으로는 현재의 경쟁상황에서 어렵다고 판단, CKYHS의 전략적 제휴를 더욱 강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CKYHS와의 공동운항계약으로 인해, 2005년 현재 유럽-아시아 구간에서 큰 이익을 보고 있으며 새롭게 확장하고 있는 아시아-중동 구간에서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는 한진해운의 주 수익원인 아시아-미국 구간에서 계약 해운사의 수익을 보장하고, 머스크 시랜드 사가 점유율을 높인 아시아-유럽 시장에서 안정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인 것이다.
CKYHS의 다른 제휴 사들도 한진해운과 마찬가지로 막강한 독점 선사인 머스크 시랜드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막기 위해 이와 같은 공동운항계약과 상호 선복 교환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CKYHS를 통해 한진해운은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진 해운은 또한 CKYHS의 공동 운항 전략뿐만 아니라 이들 제휴사간의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주 지역은 중국과 유럽, 중남미 지역으로, 기존의 북미노선을 유지한 채로 다른 원양 노선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에 개발될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해운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한진해운의 기존 북미 터미널과 연계할 수 있는 중남미의 터미널이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기존의 대형선사들이 8000TEU급 이상의 대형선을 이용할 것을 대비해서 소규모 터미널 보다는 로테르담과 같은 대형항만의 대형 터미널을 제휴사들과 공동 이용하는 방향으로 선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진 해운은 현재 제휴 동맹사인 CKYHS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존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전략을 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원양선사로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함이나,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머스크 시랜드사와 같은 대형선사의 아시아 지역의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 한진 해운은 동아시아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위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세계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변화 추이를 보면, 태평양 항로의 경우 동항 항로의 소석률과 서항항로의 소석률의 차이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유럽 항로의 경우에 서항 항로의 소석률과 동항 항로의 소석률의 차이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 결국 아시아 시장에서 빠져 나가는 물동량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한진해운의 주요 경쟁력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물류중심지’ 정책을 통한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로의 발전 계획은 향후 한진해운의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특히 물류기지 개발은 이러한 국가 정책에 가장 선행되어야할 과제이므로 이러한 국가정책과 연계하여 한진해운의 종합물류업체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한진 해운은 3월 31일 부산 신항 2-1단계 터미널 운영사로 선정되었으며, 부산 신항 2-1단계 터미널은 총 20만평 규모에 선석 길이 1.1km로 5만톤급 3개 선석이 건설될 예정이고, 감만 터미널과 동일하게 임대차 계약을 통해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로 개발/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해운업체의 입장에서 터미널을 확보하는 것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추진예정인 동북아 물류중심지의 전략과 연계하여 현재의 대한항공과의 SKYBRIDGE 서비스뿐만 아니라 TKR(TRANS KOREAN RAILWAY)과 같은 항공복합 운송 및 내륙운송과도 연계하여 경쟁력 있는 아시아의 종합 물류기업으로 성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현재의 한진해운의 정기 선사로의 입지를 유지하고, (주)한진해운의 3PL의 역량을 결합하여 동아시아에서 경쟁력 있는 종합물류업체로 성장한다면, 역으로 동아시아 종합물류업체의 경쟁력으로 정기선사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업체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한진 그룹의 역량 결집과 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의 정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한진 그룹의 우수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또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자료>
글로벌 기업경영론(강태구 저)
글로벌 기업경영(이덕훈 저)
www.hanjin.com (한진해운공식홈페이지)
bada.ebn.co.kr (EBN바다뉴스)
www.port.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겨례신문
운송신문사
제 14회 2006년 한국물류혁신 컨퍼런스 자료집
2006 국제 교통 물류 박람회 한진해운 홍보집
실제로 2005년도 한진해운의 영업이익이 전년에 비해 감소한 이유로 연료유의 가격 상승을 한 이유로 꼽았다. 또한 각 항로별로 투입 선박량이 늘어남에 따라 선사가 운임 덤핑에 나서고, 화주의 입김이 세지는 이른바 ‘화주 주도 시장’으로 변할 경우 선사의 입지가 그만큼 좁아질 우려도 있음
2. 한진해운의 SWOT분석
강 점
약 점
-조선산업의 발달로 자사선 보유가 용이
-물류거점으로서의한반도의 좋은 지정학적 위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정책으로 수송물량확보가 용이
-고급해기사의 보유
-중추항만을 보유
-수출주도형으로 인해 경기에 많은 영향
-석유수입국가로서 원유의 가격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좌우
-선박운임의 하락으로 수익성 악화(최근에는 점점 회복추세)
-선박취득시의 소요비용이 크기 때문에 이자비용이 큼
-선원수급이 불안정
기 회
위 협
-복합운송의 확대
-대형선박의 제조로 인해 1회 수송량 증가 가능
-중국등의 동남아 지역 경제의 성장으로 인해 해운산업의 부가가치가 증가
-해상보험, 선박보험, 해사중재, 해사정보, 운송거래 중개, 선주상호보험(P&I), 선박금융 등의 발전 잠재력이 높음
-인터넷을 활용한 매출증가(E-biz)
-WTO협상을 통한 각 국가간 무역장벽의 완화
-여타 운송수단의 대형화로 인해 시장잠식 우려(예:대형항공기의 제작)
-세계경기의 악화와 국제정세의 불안으로 수송량이 감소할지도 모름
-우리나라 경기의 침체가 지속될 우려
-동남아와 세계를 연결하는 중추항로를 겨냥한 다른 나라와의 경쟁(예:일본/북중국)
3. 한진해운의 글로벌 전략 제안
한진 해운은 독자적인 경영전략으로는 현재의 경쟁상황에서 어렵다고 판단, CKYHS의 전략적 제휴를 더욱 강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CKYHS와의 공동운항계약으로 인해, 2005년 현재 유럽-아시아 구간에서 큰 이익을 보고 있으며 새롭게 확장하고 있는 아시아-중동 구간에서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는 한진해운의 주 수익원인 아시아-미국 구간에서 계약 해운사의 수익을 보장하고, 머스크 시랜드 사가 점유율을 높인 아시아-유럽 시장에서 안정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인 것이다.
CKYHS의 다른 제휴 사들도 한진해운과 마찬가지로 막강한 독점 선사인 머스크 시랜드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막기 위해 이와 같은 공동운항계약과 상호 선복 교환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CKYHS를 통해 한진해운은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진 해운은 또한 CKYHS의 공동 운항 전략뿐만 아니라 이들 제휴사간의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주 지역은 중국과 유럽, 중남미 지역으로, 기존의 북미노선을 유지한 채로 다른 원양 노선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에 개발될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해운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한진해운의 기존 북미 터미널과 연계할 수 있는 중남미의 터미널이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기존의 대형선사들이 8000TEU급 이상의 대형선을 이용할 것을 대비해서 소규모 터미널 보다는 로테르담과 같은 대형항만의 대형 터미널을 제휴사들과 공동 이용하는 방향으로 선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진 해운은 현재 제휴 동맹사인 CKYHS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존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전략을 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원양선사로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함이나,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머스크 시랜드사와 같은 대형선사의 아시아 지역의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 한진 해운은 동아시아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위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세계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변화 추이를 보면, 태평양 항로의 경우 동항 항로의 소석률과 서항항로의 소석률의 차이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유럽 항로의 경우에 서항 항로의 소석률과 동항 항로의 소석률의 차이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 결국 아시아 시장에서 빠져 나가는 물동량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한진해운의 주요 경쟁력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물류중심지’ 정책을 통한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로의 발전 계획은 향후 한진해운의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특히 물류기지 개발은 이러한 국가 정책에 가장 선행되어야할 과제이므로 이러한 국가정책과 연계하여 한진해운의 종합물류업체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한진 해운은 3월 31일 부산 신항 2-1단계 터미널 운영사로 선정되었으며, 부산 신항 2-1단계 터미널은 총 20만평 규모에 선석 길이 1.1km로 5만톤급 3개 선석이 건설될 예정이고, 감만 터미널과 동일하게 임대차 계약을 통해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로 개발/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해운업체의 입장에서 터미널을 확보하는 것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추진예정인 동북아 물류중심지의 전략과 연계하여 현재의 대한항공과의 SKYBRIDGE 서비스뿐만 아니라 TKR(TRANS KOREAN RAILWAY)과 같은 항공복합 운송 및 내륙운송과도 연계하여 경쟁력 있는 아시아의 종합 물류기업으로 성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현재의 한진해운의 정기 선사로의 입지를 유지하고, (주)한진해운의 3PL의 역량을 결합하여 동아시아에서 경쟁력 있는 종합물류업체로 성장한다면, 역으로 동아시아 종합물류업체의 경쟁력으로 정기선사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업체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한진 그룹의 역량 결집과 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의 정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한진 그룹의 우수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또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자료>
글로벌 기업경영론(강태구 저)
글로벌 기업경영(이덕훈 저)
www.hanjin.com (한진해운공식홈페이지)
bada.ebn.co.kr (EBN바다뉴스)
www.port.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겨례신문
운송신문사
제 14회 2006년 한국물류혁신 컨퍼런스 자료집
2006 국제 교통 물류 박람회 한진해운 홍보집
추천자료
(인적자원관리)ABB의 글로벌과 매트릭스조직에 대하여 (세계화 기업경영 글로벌기업
[국제경영]CSR의 개념과 국내 글로벌기업의 사례분석
글로벌경영_대구중소기업중 아프리카나 남미에 진출한 기업 사례연구
글로벌기업의 의의 및 출현배경과 영향, 글로벌기업 활동과 전망
(기업의 글로벌화) 기업글로벌화의 의미와 글로벌 기업의 동기
쾌적한 주거문화를 선도하는 글로벌기업 (주) 경동
기아자동차 (KIA Motors) 기업분석,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위한 개선점, 기아자동차 위기극...
글로벌기업 도약을 위한 롯데쇼핑의 마케팅전략 - 롯데쇼핑(롯데백화점,롯데마트) 기업분석.P...
[국제기업의 통제와 보고] 통제의 개념과 의의 & 통제과정과 통제방법 & 국제기업(글...
[국제기업경영환경] 국제기업(글로벌기업)의 환경특성 (국경선상의 환경특성, 현지국내의 환...
[국제화기업]글로벌전략성공기업사례,기업의현지화전략사례,TESCO 홈플러스,코스트코사례,월...
진로- 일본시장 진출,진로일본진출,글로벌기업 해외진출성공전략,소주일본진출,일본소주시장
[경영] J&J. 존슨앤존슨. 글로벌경영/기업 사례 및 진입방식, 전략
M & A Mergers and Acquisitions - 기업인수합병 (M&A) 개념분석과 글로벌기업들의 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