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배경 : 사상의 흐름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2) 사회민주주의
(3) 서구 복지국가
3. 영국
(1) 1970년 이전
(2) 복지의 쇠퇴시대(1974-1979, 제3차 노동당)
(3) 대처리즘(1979-1990, 보수당, 대처)
(3) 제3의길(1997-, 신노동당, 토니 블레어)
4. 한국의 제3의길
5. 맺음말
6. 참고문헌
2. 배경 : 사상의 흐름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2) 사회민주주의
(3) 서구 복지국가
3. 영국
(1) 1970년 이전
(2) 복지의 쇠퇴시대(1974-1979, 제3차 노동당)
(3) 대처리즘(1979-1990, 보수당, 대처)
(3) 제3의길(1997-, 신노동당, 토니 블레어)
4. 한국의 제3의길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깊다.
자기 사상이 없는 나라, 자기 철학이 없는 나라는 정치, 경제, 사회, 교육의 각 분야가 제대로 돌아갈 수 없다. 위기에 처한 오늘의 한국이 어려움을 떨치고 일어나기 위해서는 새 시대를 이끌어갈 새로운 사상이 나와야 한다. 분단된 남북을 하나로 통일하고 새로운 21세기를 희망으로 열어 갈 수 있는 새로운 한국철학, 새로운 한국사상을 출현시키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시대적 과제이다.
지금 영국은 제3의 길을 주창하고 있다. 이 제3의 길은 고질적인 좌우이념 대립의 극복이 필요하고 상호공존의 대화 관계가 열려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알맞는 사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구 중심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제3의 길에 대해 무지한 우리를 되돌아보고 서구의 경험을 참고는 하되 우리나라의 환경과 문화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5. 맺음말
제3의 길이 새 천년을 이끌어 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오늘날 인류의 당면과제로 대두되어 있는 인간소외, 양심상실, 도덕타락, 빈부격차, 환경파괴와 같은 문제들에 대하여 명확한 해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지금은 제3의 길을 완성하는 단계가 아니고 논의를 시작하여 그 첫선을 보이는 시기이므로 제3의 길이 우리의 과제를 헤쳐나가는 데에 최선의 대안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겠다.
6.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위기와 신보수주의적 재편, 현외성외, 대학출판사 1992
선진국 사회복지 발달사, 함세남외, 홍익제 2000
제3의 길, 앤서니 기든스(한상진, 박찬욱 옮김), 생각의 나무 1998
제3의 사상, 심백강, 청년사, 2000
자기 사상이 없는 나라, 자기 철학이 없는 나라는 정치, 경제, 사회, 교육의 각 분야가 제대로 돌아갈 수 없다. 위기에 처한 오늘의 한국이 어려움을 떨치고 일어나기 위해서는 새 시대를 이끌어갈 새로운 사상이 나와야 한다. 분단된 남북을 하나로 통일하고 새로운 21세기를 희망으로 열어 갈 수 있는 새로운 한국철학, 새로운 한국사상을 출현시키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시대적 과제이다.
지금 영국은 제3의 길을 주창하고 있다. 이 제3의 길은 고질적인 좌우이념 대립의 극복이 필요하고 상호공존의 대화 관계가 열려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알맞는 사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구 중심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제3의 길에 대해 무지한 우리를 되돌아보고 서구의 경험을 참고는 하되 우리나라의 환경과 문화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5. 맺음말
제3의 길이 새 천년을 이끌어 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오늘날 인류의 당면과제로 대두되어 있는 인간소외, 양심상실, 도덕타락, 빈부격차, 환경파괴와 같은 문제들에 대하여 명확한 해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지금은 제3의 길을 완성하는 단계가 아니고 논의를 시작하여 그 첫선을 보이는 시기이므로 제3의 길이 우리의 과제를 헤쳐나가는 데에 최선의 대안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겠다.
6.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위기와 신보수주의적 재편, 현외성외, 대학출판사 1992
선진국 사회복지 발달사, 함세남외, 홍익제 2000
제3의 길, 앤서니 기든스(한상진, 박찬욱 옮김), 생각의 나무 1998
제3의 사상, 심백강, 청년사, 2000
추천자료
사회적이고 생태학적인 경제민주주의를 향하여
'베른슈타인의 맑스에 대한 도전'을 통해 알아본 사회 민주주의
제 3의 길
한국사회의 비민주주의적 요소의 개선방안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 사회국가원리
[신자유주의][민주주의]신자유주의 분석(신자유주의의 탄생, 서구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신자...
나의 이상적인 교육원리 - 바람직한 교육을 실현시킬 수 있는 사회체제로써의 창조적 민주주의
[독후감] 스무살에 선택하는 학문의 길 - 사회과학
정보사회의 정의, 정보 기술의 민주주의적, 이용가능성, 낙관적 전망, 비관적 전망, 사이버 ...
제3세계에 민주주의에 관한 비교연구
신자유주의 혹은 제3의길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속성, 김대중정부(국민의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박정희정권(제3공화국, 박정희정부)의 경제성장, 박정희정권(제3공화국, 박정희정부)의 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