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승강장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없다. (5)
4) 승강장이 넓어 이동하기 편리하다. (10)
2. 상대식 승강장을 이용하면서 생각하시는 점은 무엇입니까?
1) 잘못 내려갈 경우가 있다. (70)
2) 비교적 사람이 적은 편이다. (16)
3) 화재시 더 번지기 쉽다. (11)
4) 승강장 좁아 이동하기 불편하다. (3)
3. 섬식 과 상대식 승강장 중에 어떤 것이 더 편리하십니까?
1) 섬식 (71)
2) 상대식 (13)
3) 아무데나 상관없다. (16)
4. 승강장이 넓은 섬식과 승객이 분산되는 상대식 중 어느것이 더 환승할 때 편리하십니까?
1) 섬식 (62)
2) 상대식 (16)
3) 둘다 똑같다. (22)
모든 질문에서 응답한 자료를 통해 보면 사람들은 위험한 상황이나 비상시 보다는
보통 생활시 편리한점 , 가장 자주 겪는 일에 가장 큰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2번 질문에서 보면 가장 우선순위가 승강장을 잘못 올라가는 경우에 가장 많은
설문자들이 응답을 했다. 2번 질문에서서 70명이나 되는 것을 보고 몇몇
설문자들에게 질문을 해보았는데 대부분이 잘못 내려가서 다시 오르고 내려가야하는
불편함을 겪었다고 답했다.
3,4번 질문에서는 이용시 편리점과 환승시 편리점 모두 섬식 승강장이 상대식
승강장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응답을 했다.
하지만 설문 조사 결과와는 달리 지하철 개발 역사를 보면 섬식 승강장은 줄어 들고 있다.
승강장 형태
구 분
지하철 1기 개발 역사
지하철 2기 개발 역사
섬식
38
35
상대식
77
106

115
141
지하철 1,2기 개발의 역사 승강장을 통해 보면 섬식의 배율이 2기에 들어 줄어 들게
되고 상대식 형태의 승강장이 많이 계획된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알아본 승강장의
규모에서 보면, 섬식의 경우는 1,2기에 약 10m내외로 변화의 차이가 미비하나,
상대식의 경우는1.3m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승강장의 최소폭에 대해서도
2기의 상대식 승강장이 3.8m터로 최고의 폭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목적지의 방향에 따라 동선을 분리함으로써 이용객에게 좀더 좋은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라 보아진다.
확장에 용이하지 않은 섬식 보다는 상대식 승강장이 많이 지어지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새로운 노선이 많이 생기는데 그에 따라 승강장도 새로 확장해야 하기
때문으로도 보여지는데, 이는 승객들의 전체적인 교통 편의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