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향가(신라) 풍요의 작품배경
Ⅱ. 향가(신라) 풍요의 원문과 풀이
Ⅲ. 향가(신라) 풍요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풍요의 작품해석
참고문헌
Ⅱ. 향가(신라) 풍요의 원문과 풀이
Ⅲ. 향가(신라) 풍요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Ⅳ. 향가(신라) 풍요의 작품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럽다여 / 서럽다 우리들이여 / 功德 닦으러 오다\"이다. 이 노래는 영묘사의 장륙존상을 만들 때 성중의 남녀 등이 부른 노래로 내용은 공덕을 닦으러 오는 선남선녀의 행렬을 통해 한없는 열(列)을 상상할 수 있는 훌륭한 비유다. \'온다\'는 말의 연속적인 반복은 꿈에 공덕을 닦으러 온다는 말로 결론을 맺고 있다. 이런 형태는 민요의 원형으로서 후대에 이와 같은 민요형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송영적(頌詠的) 성격을 지녀 음악성을 느끼게 한다. 노래 가운데 \'서럽더러\'는 믿음이 없는 현세에서의 삶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노래는 현존 향가의 민요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준 형태의 노래(서동요)나 (헌화가)와 같이 신라의 향가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불려졌고 또한 그 속에는 불교의 포교적인 교리가 은연중 내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1979
-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 윤영옥, 신라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1
- 윤영옥,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2
- 최학선, 향가연구, 우주, 1990
- 홍기문, 향가해석, 마강출판사
참고문헌
-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1979
-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 윤영옥, 신라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1
- 윤영옥,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2
- 최학선, 향가연구, 우주, 1990
- 홍기문, 향가해석, 마강출판사
추천자료
통일 문제의 문명사적 인식
열대림파괴와 생물다양성
사회복지개론
유치진의 작품연구
페기맥콜의 '19장의 백지수표'에 대한 독후감
현대인과 정신건강 경험일지
[A+레포트] 행복의 경제학, 쓰지 신이치, 독후감, 요약, 감상문, 후기, 서평
사회복지의 개념 기능 목적
[서양복식사 직물사] 1950년대 서양복식 뉴룩(NEWLOOK) (사회,문화적 배경, 패션의 전반적 특...
책은도끼다 독후감
[원서번역]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Chapter 5 A New Social contract for the Elde...
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