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국어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합적 국어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통합적 관점의 중요성
1) 국어과에서 통합 강조의 필요성
2) 통합 학습의 기능(機能)
3) 국어과 교육에서 통합이 필요한 이유

2. 통합적 국어과 수업의 범위
1) 국어과 외적 통합
ⅰ) 교과 통합의 배경
ⅱ) 교과 간 통합의 예
ⅲ) 교과 간 통합의 단점
2) 국어과 내적 통합
① 언어기능간의 통합
ⅰ) 읽기/쓰기 통합
ⅱ) 듣기/읽기 통합
ⅲ)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② 언어 기능 내에서의 통합

3. 통합적 국어과 수업의 방식
<읽기와 쓰기의 통합>
①부수형 통합형
② 목적형 통합형

4. 통합적 교육의 유의점

Ⅱ. 통합 교육의 접목
󰊱 읽기와 쓰기의 통합
1. 통합지도의 필요성
2.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
1) 지식의 공유
2) 언어 처리 과정
3) 사고 작용의 개입

3.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 방안
1)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 원칙
2) 순서적 방법
3) 동시적 방법

󰊲 듣기와 읽기의 통합
1. 듣기(구어)와 읽기(문어)의 통합에 대한 접근 방법
2. 듣기와 읽기의 공통점
1) 사고 작용
2) 언어 처리 과정
3) 언어 처리 단위
4) 이해 기능

3. 듣기와 읽기 통합의 교육적 시사점

󰊴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통합
1.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까닭
2. 통합적 국어 교육에서의 신문 활용 방안
1) 신문의 교육적 기능
2) 신문 활용의 유의점
3) 신문 활용의 방법
① 말하기․ 듣기 영역
② 읽기 영역
③ 쓰기 영역
4) 신문 활용상의 유의점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태도와 능력을 기른다.
다른 사람에 대한 고려, 협동, 자신의 역할,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한다.
③ 정의적 측면
- 책을 적극적으로 읽는 태도를 기른다.
토의를 하기 위해 책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한다.
④ 기타
- 토의는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 통합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토의의 과정에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과정 속에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짐
3) 토의 수업에서의 유의점
① 가급적 학생 중심의 토의가 진행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② 한 두 사람에 의해 토의가 주도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③ 토의의 주제는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④ 학생들이 토의를 통해 해야 할 일을 분명히 정해 주어야 한다.
⑤ 토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교사의 적절한 중재).
⑥ 토의를 하는 방법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마련해야 한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통합
1.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까닭
① 본질적으로 언어 기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들은 서로 보완적인 것으로, 서로가 서로를 위한 수단이 된다. 우 리는 말을 함으로써 쓰기를 배울 수 있고, 듣기를 함으로써 읽기를, 읽기를 함으로써 말하기를 배우게 된다.
② 언어의 각 기능은 근본적으로 서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각 기능은 필수적으로 균형 있게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2. 통합적 국어 교육에서의 신문 활용 방안
1) 신문의 교육적 기능
- 학생들의 언어 사용 능력, 즉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신장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문에 나오는 기사 를 가지고 토론을 하거나 드라마로 꾸며 보고, 교사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말하기, 듣기 능력을 증진할 수 있다. 신문에 나오는 기사에 적절한 제목을 붙이거나 기사의 중심내용을 찾아서 그 내용을 요약하는 등의 활 동을 통해 읽기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편집자에게 편지를 보내거나 기사의 내용을 비판하는 글을 쓰거나 자 신이 직접 기사를 써 보는 등의 활동을 통해 쓰기 능력을 증진 할 수 있다.
2) 신문 활용의 유의점
① 국어과에서 신문을 활용할 때에는 신문을 왜 활용할 필요가 있는지, 신문을 활용하는 목적부터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목적의식을 가지고 신문을 읽으면 학습목표와 관련지을 수 있게 된다. 신문의 교육적 가치와 신문 읽기의 목적을 분명히 한 후, 학습과 관련지어 신문을 읽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그리고 신문 기사를 접할 때, 그것 을 읽는 순서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② 신문을 읽게 할 때에는 소집단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신문은 대체로 개별로 읽지만 처음 신문매체를 도입 할 때에는 어떤 문제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거나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게 함으로써 신문에 친숙해 지게 하고 그 내용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신문 활용의 방법
- NIE Newspaper In Education, 신문 활용 교육
중, 국어과에서 신문을 활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하나는 신문 자체를 학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어과 수업과 관련하여 신문을 하나의 보충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① 말하기 듣기 영역
- 신문에 기재된 이야기를 드라마로 꾸며 보게 한다.
- 신문에 나올 만한 쟁점을 뽑아 소집단 별로 토론을 시켜본다.
- 선택한 신문 기사를 예로 들어 자신이 아나운서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그 기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게 한 다.
- 신문에 실린 광고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해서 자신이 이 광고회사의 사장이라 생각하고 PR한다.
② 읽기 영역
- 어휘지도와 관련하여 글자놀이 형태로 신문을 활용할 수 있다.
- 외래어나 속담, 격언, 고사 성어 등을 찾아보고 그 말의 뜻을 생각해 보게 한다.
- 신문에 나오는 낱말 중에 뜻을 모르는 단어를 몇 개 골라내어 문맥을 통해 뜻을 유추해보고, 사전을 찾아 그 낱말의 뜻을 명확히 파악하도록 한다.
- 독해력을 신장하기 위한 활동으로 어떤 기사의 중심내용(중심 단어, 문장, 문단)을 찾게 한다.
- 기사의 표제를 달리 붙여 보게 한다.
- 기사의 내용에 대한 사실과 느낌, 의견을 구별해 보게 한다.
- 기사 글에서 생략해도 되는 내용을 추려 내거나 보충해야 할 부분을 찾아보게 한다.
- 읽기를 통한 고등 정신 기능을 신장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보고 그 이후에 일어날 수 있는 결과를 추론해 보 게 하는 활동을 한다.
- 주어진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하여 비판적 수용 능력을 기르게 한다.
- 기사의 어색한 내용을 찾아보게 하거나 잘못된 주장이 들어가 있는 부분을 찾게 한다.
③ 쓰기 영역
- 편집자나 기자에게 어떤 문제에 대해 편지를 쓰게 한다.
- 만화를 이야기 형태로 풀어 쓰는 활동을 한다.
- 학생이 기자가 되어 주위에서 접한 일을 소재로 한 편의 기사를 써 보게 한다.
- 기사를 읽고 그 기사를 보충하는 글을 쓰게 한다.
- 신문에는 생략된 문구가 많은데 이를 완전한 형태로 바꾸어 보게 한다.
- 어떤 기사에 대한 그 중심내용은 살려두고 다시 써 보게 할 수도 있다.
- 쟁점이 되고 있는 시사문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간단히 써 보게 한다.
- 신문에 실린 이야기의 주인공에게 편지를 쓰게 한다.
- 칼럼의 주제를 요약 하고 그 글의 잘된 점과 부족한 점에 대해 간략한 비평문을 써보게 한다.
4) 신문 활용상의 유의점
- 학생이 학습활동 시 여러 종류의 신문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 신문의 높은 활용 가치를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신문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 교실 사정이나 수업 내용에 맞게 신문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한다.
- 교사는 시의 적절하게 신문이 가진 매체의 특성을 잘 살려 활용 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
신헌재 외(1994),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방안, 서광학술자료사.
이재승 외(1997), 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과정중심의 국어교육, 박이정.
  • 가격2,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