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스트림 스포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람의 앞에 있는 사람에게 가슴이 보이게 돌면 프론트 사이드(front side)라 하고 등이 보이게 돌면 백 사이드(back side)
알리 쓰리식스티- (Ollie 360) 알리(Ollie)를 하여 360도(한바퀴) 도는 기술.
에어(Air)- 네 개의 휠이 모두 다 바닥에 닿지 않고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는상태. 에어리얼(Aerial)의 약자.
슬라이드(Slide)- 스케이트보드의 의 바닥면을 이용하여 미끄러지는 기술. 노즈(nose)으로 미끄러지면 노즈 슬라이드(Nose slide), 테일(Tail)으로 미끄러지면 테일 슬라이드(tail slide)
그라인드(Grind)- 스케이트 보드의 트럭(truck)을 이용하여 난간이나 레일을 미끄러지는 기술. 양쪽 트럭으로 그란이드 하면 50-50(fifty-fifty) 앞쪽(Nose)을 이용하면 노즈 그라인드(nose grind), 뒤쪽(Tail)을 이용하면 테일 그라인드(tail grind)
크룩키드 그라인드(Crooked Grind)- 슬라이딩 기술중에 앞쪽 트럭만을 비틀어지게 대고 그라인딩하는 것.
화이브 제로 그라인드(5-0 Grind)- 뒤쪽 트럭만으로 그라인딩 하는 것.
스위치(Switch)- 모든 기술들을 반대 발로 행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레귤러(regular)인 사람이 구피(goofy)로 알리(ollie)를 하면 스위치 알리(sitch ollie)
페이키(Fakie)- 자신의 스텐스 자세에서 진행 방향이 반대 인것. 스위치와 혼동하기 쉬운데 스위치는 자신의 스텐스가 아닌 반대 스텐스로 타는 것.
프론트사이드(Frontside)- 보딩 기술을 할때 기술을 걸 물체나 스케이터의 회전방향이 스케이터 가슴쪽 일때.
백사이드(Backside)- 보딩기술을 걸때 기술을 걸 물체나 스케이터의 회전방향이 스케이터 등쪽 일때.
엘리베이션(Elevation)- 주행중 보드를 그만타고 싶어 보드를 발로 튕겨서 손으로 잡는것의 통칭.
스트리트 스케이팅(Street skating)- 거리, 연석(차도와 보도, 또는 가로수 사이의 경계가 되는 돌), 의자(Bench), 핸드레일(계단등에서 손잡고 올라가게 만들어 놓은 것)등 도시와 지방의 거리에 있는 모든 요소들을 이용하여 스케이팅하는 것.
버트 스케이팅(Vert Skating)- 램프나 기타 스케이팅을 위해 특수 제작된 수직구조물등에서 스케이팅하는 것
버트 램프(Vert Ramp)- 하프 파이프로서, 최소 8피트(1.6미터) 이상이며 윗 부분은 완전수직임.
카발레리얼(Caballerial)- 페이키(반대방향으로 타는 것)로 가다가 램프의 정점에서 공중 회전한후 램프를 향해 머리를 뒤로하며 내려오는 기술. (스티브 카발레로(Steve Caballero)가 시초.)
카브(Carve)- 스케이팅시 길게 곡선을 그리며 타는 것.
코핑(Coping)- 램프나 장애물 상단의 원형 모서리로 쇠나 시멘트, PVC 파이프로 되어있음.
다이얼드(Dialed)- 스케이터가 그의 모든 기술을 다 성공했을 경우를 지칭.
드롭 인(Drop in)- 램프나 장애물의 꼭대기에서 출발하는 것
펀 박스(Fun Box)- 스트리트 코스에 이용. 사(4)면 점프 박스
게이 트위스트(Gay Twist)- 페이키(반대방향으로 타는 것)로 가다가 보드를 손으로 잡고 램프의 정점에서 공중 회전한후 램프를 향해 머리를 뒤로하며 내려오는 기술.
그라인드(Grind)- 트럭으로 장애물이나 코핑에 기술을 걸어 미끄러지는 것
핸드 플랜트(Hand plant)- 램프나 장애물에서 한팔로 서있으면서, 한손으로 보드를 잡고 하는 기술.
핫 도그(Hot Dog)- 스릴을 즐기거나 겁없는 사람.
인버트(Invert)- 핸드 플랜트(Hand Plant)의 다른 이름.
립(Lip)- 램프나 장애물의 제일 위쪽 모서리
립 슬라이드(Lipslide)- 테일부분은 립을 지나가게 한후, 램프 재진입 전 바닥면에 슬라이드 하는 것.
맥 트위스트(McTwist)- 램프에서 공중 한바퀴 반 도는 것. (마이크 맥길(Mike McGill)이 시초.)
내추럴(Natural)- 스케이터의 왼발이 앞에 가거나, 오른발이 앞에 가거나 기술이 잘 된다고 느끼는 방향.
쿼터 파이프(Quarter Pipe)- 스트리트 대회에서 사용함. 버트 램프나 하프파이프의 반쪽면. 원통을 네 조각으로 나누어서 쿼터 파이프로 불림.
레일 슬라이드(Rail slide)- 핸드레일(Hand Rail)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
록 앤 롤(Rock and roll)- 램프에 재 진입하기 전 립(Lip)에서 보드의 바닥면이이 툭툭 쳐지는 기술.
세션(Session)- 한번의 스케이팅(Skating) 또는 라이딩(Riding) 기간.
스파인 램프(Spine ramp)- 두개의 하프파이프가 UU모양으로 붙어있는것
스트리트(Street)- 다른 모양과 형태의 램프로 경기장 구성하여 여러 방법으로 기술을 걸수 있도록 한 대회. (선수들은 이 램프들을 이용하여 개인의 스타일에 따라 여러 기술과 램프특성을 잘 이용하여 가능한 가장 인상깊은 경기를 펼친다. 스트리트 기술은 크게 에어리얼(Aerial)과 립(Lip)기술 두가지로 분류된다.)
트랜지션(Transition)- 램프등에서 0도와 90도 사이의 곡면 부분.
배리얼(Varial)- 보드가 발 밑에서 반대방향으로 돌다가 정상방향으로 도는 공중 기술.
버트(Vert)- 90도 램프, 풀(Pool), 벽을 의미하는 버티컬(Vertical)의 약자. 하프파이프 시합, 양쪽에 트랜지션(Transition)을 갖고 양 끝에는 수직 벽을 붙인 큰 U 자 처럼 생긴 하프파이프로 중간부분은 평편한 바닥으로 나누어져 있다. 하프 파이프는 반대편에 도달하기 위한 속도를 얻기 위해 한쪽 상단의 플랫폼에서 출발한다. 라이더가 잘 탈수록, 높이 올라갈수 있다. 라이더는 트랜지션(Transition)부분이나 평편한 바닥에 멈추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잘못하면 끝이죠. 버트 기술은 크게 에어리얼(Aerial)과 립(Lip)기술 두가지로 분류된다
익스트림스포츠(EXTREME SPORTS)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