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연구-마사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지연구-마사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마사다 개요
2. 마사다 형성 초기
3. 마사다 유적 발굴 작업
4. 마사다 유적 발굴 내용
(1) 헤롯 시대의 유적
(2) 반란기 시대의 유적
(3) 비잔틴 시대의 유적
5. 마사다 항쟁
(1) 기원전 1세기의 요동치는 이스라엘
(2) 최후의 항쟁과 마사다 요새 함락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결국 개전 당시 60만명이었던 예루살렘 인구 중 3개월 동안 죽은 자가 약 11만6000명이었고 포로가 약 9만7000명이었다. 그러나 열심당원을 비롯한 열렬한 민족주의자들은 마사다(Masada) 요새로 후퇴해 저항을 계속했다.
(2) 최후의 항쟁과 마사다 요새 함락
주후 70년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난 후 일단의 유대 열심당원들이 마사다를 점령했다. 엘리사 벤 야이르의 인도 하에 960명의 남자, 여자, 아이들이 그곳에 들어갔다. 이들은 이곳 헤롯의 요새에서 안전하게 머물면서 주후 73년 봄까지 로마 군대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았다.
유대 총독 플래비우스 실바 장군이 5,000명의 군인을 이끌고 마사다를 포위했다. 그들은 아무도 마사다에서 도망칠 수 없도록 마사다 주위에 이스라엘 노예들을 이용해 침략용 경사로를 만들었다. 경사로가 완성되자 로마군대는 전차를 경사로의 망대로 옮기고 타격대로 성벽에 구멍을 냈다.
그날 밤 지도자 엘리사는 사람들을 회당에 불러 모아 적에게 형벌을 받거나 강간당하고 노예로 끌려가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하자고 역설했다. 집들을 불 지르고 각자 자기 부인과 자녀들에게 마지막 눈물의 작별을 고한 후 칼로 죽였다. 고고학자들은 그 사람들의 신발과 열심당원 부인들의 땋은 머리등을 발견하였다.
그 후 10명의 열심당원이 자기 동료들을 모두 죽이고 누가 나머지 아홉 명을 죽일 것인지 제비 뽑아 결정 한 후 최후의 한 사람은 자기 칼에 엎드려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 고고학자들은 그들이 제비뽑기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도자기를 발견했다. 각 각 자기마다 그들의 이름이 쓰여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에는 그들의 지도자 야이엘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다음날 아침 로마군대가 그 성읍 함락했을 때 치열한 저항이 있을 줄 알았는데 노예가 되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한 960명의 주검을 보았다. 요세푸스는 로마군대가 그들의 용기에 전율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1960년대에 이가엘 야딘이 이 마사다를 발굴할 때 여인들을 비롯해 열심당원들의 시신을 찾았다. 그 시신들은 지금 로마 군대가 세운 망대 아래 기념 묘지에 안치되어 있다.
3. 결론
이스라엘인으로서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요셉 슬람 박사는 마사다가 이스라엘에 두 가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다. 하나는 자유를 위해 로마 군대의 포로가 되지 않기 위해 끝까지 저항한 열심당원 전사들의 투쟁정신이고, 두 번째는 유대인의 죄 때문에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고 전쟁에 졌다는 생각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사다가 두 개의 메시지는, 하나는 용기와 불굴의 정신, 하나는 죄악은 언제나 고난을 가져온다는 사실이라고 하였다.
오늘날 마사다가 이스라엘 민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하다. 빌 헬름박사의 말을 빌리면, 오늘날 마사다는 이스라엘 사람에게 있어 국가 정신과 애국심의 상징이라고 말한다. 이스라엘 군대 장교들이 밤에 마사다에 찾아와 다음과 같은 서약을 한다고 한다. 마사다는 결코 다시는 무너지지 않는다. 이것을 요셉 슬람 박사는 마사다는 지금도 이스라엘 모든 사람들에게 결코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고 하였다. Bill Humble, ph D 저, 양상용, 원정철 공역, 「고고학과 성서」, pp.43-44에서 인용.
참고문헌
1. 「기독교대백과사전」, (서울: 서울기독교문사, 1982)
2.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7권」,(2000)
3. 「성서백과대사전, 3권」,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0)
4. Bill Humble, ph D 저, 양상용, 원정철 공역, 「고고학과 성서」(성경통신 교육원. BCC 제작). 빌 헬름 박사의 고고학과 성서 비디오 강의 원고를 한글로 번역하여 기록한 것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