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행동주의의 태동
2, 행동주의 심리학의 기본가정
3. 행동주의 이론
2. Guthrie의 근접설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4. Thorndike의 시행착오설
5. Hull의 체계적 행동설
86. 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
결론
본론
1. 행동주의의 태동
2, 행동주의 심리학의 기본가정
3. 행동주의 이론
2. Guthrie의 근접설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4. Thorndike의 시행착오설
5. Hull의 체계적 행동설
86. 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
결론
본문내용
찰하고 모방할 때 일어나는 효과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새로운 반응의 학습
이 효과는 어떤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여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 형태를 학습할 때 일어난다. 우리가 학습하지 못한 새로운 행동을 모델이 할 때 우리는 그 행동을 모방한다.
억제
관찰되는 모델이 어떤 행동을 함으로써 처벌되거나 의도한 것과는 다른 일이 일어나는 것을 봄으로써 행동을 억제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교사가 많은 아동들 앞에서 한 아동을 벌함으로써 이를 지켜보는 다른 아동들이 그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해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모델이 하는데도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 교내의 담을 넘어 도망치는 아이가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을 본 학생이 그행동을 따라할 수도있다.
촉진
이 효과는 동기 유발이 충분하지 못하여 행동하지 않는 어떤 행동을 하도록 촉진될 때 일어난다. 즉, 어떤 행동을 하는 능력이 있으면서도 하지 않다가 다른 사람이 그러한 행동을 하면 따라하는 경우가 있다. 여광응조인수문태영 『교육심리학의 이해』 한국학술정보(2001) p.102~106
행동주의 이론의 교수-학습적용
조건형성의 원리를 실제 학습장면에 적용한 대표적인 예는 프로그램 수업(programmed instruction: PI), 컴퓨터 보조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혹은 Computer based Learning : CBI), 그리고 ‘keller Plan'이라고 알려진 개별화 교수체제(personalized assisted instruction)는 도구조건학습의 원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교육공학의 한 예이다.
1)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학습의 창시자는 Skinner(1961)로서 자신이 도구조건 형성의 실험절차와 그 결과를 보통의 책이 아닌 자신의 이론에 적합하게 프로그램 학습자료로 개발하였다.
Skinner 식의 프로그램은 강화이론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직선형 프로그램(linear programing)이라고 한다. 직선형 프로그램에서 학생은 답을 써넣게 되어 있고, 낮은 개념의 수준에서 점차 높은 수준의 개념으로 가급적 실패하지 않고 넘어가도록 구성된 계열적인 프레임(frame)을 따라 학습이 진행된다. 또한 모든 프레임은 학생들이 정답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단서나 암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는 반애로, Crowder의 분지형 프로그래밍(banching programing)은 학생들에게 선택지를 주고 정답을 찾게 한다. 학생이 정답을 한 경우는 다음 프레임을 해결하도록 안내하지만, 오답인 경우 이를 교정해 주는 보충적인 프레임을 학습하고 나서 다시 프레임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2) 컴퓨터 보조수업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은 학생들이 컴퓨터를 교과학습에 활용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이다. CAI에서는 학습자가 모니터에 나타나는 학습내용을 읽거나 음성정보를 들으면서 학습을 진행해 나간다.
3) 개별화 교수체제
Keller(1968)는 Keller Plan 혹은 개별화 교수체제(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PSI)라고 하는 새로운 교수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는 종래의 강의법을 대신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하였다. 교수자는 학생에게 가르치려고 하는 내용을 분명히 알려주기 위해 학과목을 여러 개의 작은 단원으로 분할하고, 그것을 이수한 정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평가방법을 고안한다. 김희수 『신교육심리학』 한올출판사(2003) p.147~148
결론
Skinner는 1950년대 초에 이르러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학교의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것에 관심을 돌렸다. 그는 그의 조작적 조건 이론을 효율적으로 적용하면 교수법의 발달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여, 교실에서 아동들이 언어반응을 증가시키는 프로그램에 조작적 이론을 적용시켰고, 이 프로그램에서는 teaching machine과 같은 기계가 이용되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20세기 전반 거의 50여 년간 학습연구에 관한 하나의 지배적인 관점으로 지지를 받아왔고, 그 영향은 아직까지도 학습과 사고에 관한 연구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남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행동주의 이론이 교육에 미친 영향 중 긍정적인 것으로는 우선 개별화 수업모형의 발달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수업, 완전학습, 개별처방수업(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등은 모두 개별화된 수업모형들이다. 이들은 모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기초로 해서, 그들에게 맞는 내용을 가지고, 그들의 학습 속도에 따라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개별화 수업이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증거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 학습 단위의 세분화-구체화,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 여러 가지이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일정한 수업의 도달 지점에서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행동’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하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이다. 행동수정이론의 발달 또한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긍정적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는데, 많은 인지 심리학자들이 지적하듯이 행동주의 이론이 관찰 가능한 외현적 행동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중시하였기에, 상대적으로 내면적 사고과정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고차적 사고과정에 대해 이해를 힘들게 만들며, 따라서 사고 기능의 계발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교육적 필요에 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지식의 능동적 구성과정을 중요시하는 구성주의 교육의 입장에서 보면, 개개인의 내면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는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제조건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 환경요인의 통제에 지나치게 역점을 두고 있다는 것도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하는 이들의 지적 대상이다. 사람들은 외적 통제보다는 주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새로운 반응의 학습
이 효과는 어떤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여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 형태를 학습할 때 일어난다. 우리가 학습하지 못한 새로운 행동을 모델이 할 때 우리는 그 행동을 모방한다.
억제
관찰되는 모델이 어떤 행동을 함으로써 처벌되거나 의도한 것과는 다른 일이 일어나는 것을 봄으로써 행동을 억제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교사가 많은 아동들 앞에서 한 아동을 벌함으로써 이를 지켜보는 다른 아동들이 그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해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모델이 하는데도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 교내의 담을 넘어 도망치는 아이가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을 본 학생이 그행동을 따라할 수도있다.
촉진
이 효과는 동기 유발이 충분하지 못하여 행동하지 않는 어떤 행동을 하도록 촉진될 때 일어난다. 즉, 어떤 행동을 하는 능력이 있으면서도 하지 않다가 다른 사람이 그러한 행동을 하면 따라하는 경우가 있다. 여광응조인수문태영 『교육심리학의 이해』 한국학술정보(2001) p.102~106
행동주의 이론의 교수-학습적용
조건형성의 원리를 실제 학습장면에 적용한 대표적인 예는 프로그램 수업(programmed instruction: PI), 컴퓨터 보조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혹은 Computer based Learning : CBI), 그리고 ‘keller Plan'이라고 알려진 개별화 교수체제(personalized assisted instruction)는 도구조건학습의 원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교육공학의 한 예이다.
1)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학습의 창시자는 Skinner(1961)로서 자신이 도구조건 형성의 실험절차와 그 결과를 보통의 책이 아닌 자신의 이론에 적합하게 프로그램 학습자료로 개발하였다.
Skinner 식의 프로그램은 강화이론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직선형 프로그램(linear programing)이라고 한다. 직선형 프로그램에서 학생은 답을 써넣게 되어 있고, 낮은 개념의 수준에서 점차 높은 수준의 개념으로 가급적 실패하지 않고 넘어가도록 구성된 계열적인 프레임(frame)을 따라 학습이 진행된다. 또한 모든 프레임은 학생들이 정답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단서나 암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는 반애로, Crowder의 분지형 프로그래밍(banching programing)은 학생들에게 선택지를 주고 정답을 찾게 한다. 학생이 정답을 한 경우는 다음 프레임을 해결하도록 안내하지만, 오답인 경우 이를 교정해 주는 보충적인 프레임을 학습하고 나서 다시 프레임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2) 컴퓨터 보조수업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은 학생들이 컴퓨터를 교과학습에 활용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이다. CAI에서는 학습자가 모니터에 나타나는 학습내용을 읽거나 음성정보를 들으면서 학습을 진행해 나간다.
3) 개별화 교수체제
Keller(1968)는 Keller Plan 혹은 개별화 교수체제(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PSI)라고 하는 새로운 교수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는 종래의 강의법을 대신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하였다. 교수자는 학생에게 가르치려고 하는 내용을 분명히 알려주기 위해 학과목을 여러 개의 작은 단원으로 분할하고, 그것을 이수한 정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평가방법을 고안한다. 김희수 『신교육심리학』 한올출판사(2003) p.147~148
결론
Skinner는 1950년대 초에 이르러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학교의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것에 관심을 돌렸다. 그는 그의 조작적 조건 이론을 효율적으로 적용하면 교수법의 발달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여, 교실에서 아동들이 언어반응을 증가시키는 프로그램에 조작적 이론을 적용시켰고, 이 프로그램에서는 teaching machine과 같은 기계가 이용되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20세기 전반 거의 50여 년간 학습연구에 관한 하나의 지배적인 관점으로 지지를 받아왔고, 그 영향은 아직까지도 학습과 사고에 관한 연구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남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행동주의 이론이 교육에 미친 영향 중 긍정적인 것으로는 우선 개별화 수업모형의 발달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수업, 완전학습, 개별처방수업(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등은 모두 개별화된 수업모형들이다. 이들은 모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기초로 해서, 그들에게 맞는 내용을 가지고, 그들의 학습 속도에 따라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개별화 수업이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증거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 학습 단위의 세분화-구체화,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 여러 가지이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일정한 수업의 도달 지점에서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행동’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하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이다. 행동수정이론의 발달 또한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긍정적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는데, 많은 인지 심리학자들이 지적하듯이 행동주의 이론이 관찰 가능한 외현적 행동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중시하였기에, 상대적으로 내면적 사고과정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고차적 사고과정에 대해 이해를 힘들게 만들며, 따라서 사고 기능의 계발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교육적 필요에 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지식의 능동적 구성과정을 중요시하는 구성주의 교육의 입장에서 보면, 개개인의 내면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는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 전제조건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 환경요인의 통제에 지나치게 역점을 두고 있다는 것도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하는 이들의 지적 대상이다. 사람들은 외적 통제보다는 주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인지주의 학습이론 교육적 시사점 - 신교육의 이해,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좋은교사의 조건과 교육심리학의 목적과 기능, 교육심리학에서의 학습이론(인지, 구성, 행동...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발달과정이론과 성취동기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소거이론과 ...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분류와 배경,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인지적 특성, 교육심리(교육심...
교육심리이론 행동주의
교육심리이론 -행동주의-
교육심리학 - 행동주의이론의 적용, 발달에 따른 피아제 관점 적용
교육심리 프로젝트 (문제, 해결책, 행동주의이론, 상반반응법,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행동...
[교육심리학] 동기이론(動機理論) - 동기이론이란 무엇인가, 행동주의 동기이론, 인본주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