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번역 초창기의 발췌 번역 (The Early Versions)
2. 낱권 번역에서 완역본에 이르기 까지 (The Complete Versions)
3. 국한문 역본들 (The Mixed Script Versions)
4. 관주성서 (The Reference Bible)
5. 개정 역본들 (The Revised Versions)
6. 새롭게 번역된 역본들 (The New Translations)
7. 점자성서 (The Braille Bible)
8. 멀티미디어 성서 (The MultiMedia Bible)
2. 낱권 번역에서 완역본에 이르기 까지 (The Complete Versions)
3. 국한문 역본들 (The Mixed Script Versions)
4. 관주성서 (The Reference Bible)
5. 개정 역본들 (The Revised Versions)
6. 새롭게 번역된 역본들 (The New Translations)
7. 점자성서 (The Braille Bible)
8. 멀티미디어 성서 (The MultiMedia Bible)
본문내용
번역 어투를 없애고 아주 자연스러운 우리말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문의 뜻을 올바로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7. 점자성서 (The Braille Bible)
「마태복음 (구역)」(1931)부터 나오기 시작하여, 「사복음서와 사도행전(구역)」(1935), 「신약전서 (마태복음에서 고린도후서까지는 구역, 디도서에서 계시록까지는 개역)」(1940), 「성경전서 개역」(1957), 「공동번역 신약」(1973), 「공동번역 성서」(1979),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1982)까지 나와 있다.
8. 멀티미디어 성서 (The MultiMedia Bible)
카세트에 녹음된 성서가 지금 유포되고 있다. 모두 다 대한성서공회의 「개역」 본문을 녹음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성서는 독서 능력에 제한을 받는 환자나 맹인이나 또 여러 가지 이유에서 전혀 글을 읽을 수 없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역」(1961), 「공동번역」(1977), 「표준 새번역」(1993) 등의 본문이 모두 전자 매체인 디스켓에 입력되어 활용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시디롬(CD-Rom) 성서도 국내에서 유포되고 있다. 인터넷(Internet)에도 우리말 번역 본문이 올라가 있다.
7. 점자성서 (The Braille Bible)
「마태복음 (구역)」(1931)부터 나오기 시작하여, 「사복음서와 사도행전(구역)」(1935), 「신약전서 (마태복음에서 고린도후서까지는 구역, 디도서에서 계시록까지는 개역)」(1940), 「성경전서 개역」(1957), 「공동번역 신약」(1973), 「공동번역 성서」(1979),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1982)까지 나와 있다.
8. 멀티미디어 성서 (The MultiMedia Bible)
카세트에 녹음된 성서가 지금 유포되고 있다. 모두 다 대한성서공회의 「개역」 본문을 녹음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성서는 독서 능력에 제한을 받는 환자나 맹인이나 또 여러 가지 이유에서 전혀 글을 읽을 수 없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역」(1961), 「공동번역」(1977), 「표준 새번역」(1993) 등의 본문이 모두 전자 매체인 디스켓에 입력되어 활용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시디롬(CD-Rom) 성서도 국내에서 유포되고 있다. 인터넷(Internet)에도 우리말 번역 본문이 올라가 있다.
추천자료
괴테가 쓴작품(파우스트는 어떤인간인가?)
문익환 평전을 읽고 서평을 제출하시오.
독일문학에 관한 모든 것
목회사역과 행정
구상 시인의 작품이 안고있는 문제성과 시적 상상력의 근저
[교회][예배][세례][죄][인간 구원][교회개혁][사회개혁][한국교회]교회란 무엇인가, 교회의 ...
개척교회 교회학교 활성화 방안
산상수훈의 수사법과 수사학적 요소의 의미 분석
[감리교회][종교강령][교리적 선언][청년운동][연합사업][교육사업]감리교회 유래, 감리교회 ...
영적전쟁! 에 관한 모든 것! (총정리)
기독교교육과 여성관
한국 교회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
[흐름]계약사상의 흐름, 평화사상의 흐름,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여성해방론의 흐름, 교육의 ...
루터 최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