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의 역사 - 한국 인쇄, 인쇄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쇄의 역사 - 한국 인쇄, 인쇄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쇄의 역사


1. 인쇄란?

2. 한국의 인쇄사
1)신라시대의 인쇄
2)고려시대의 인쇄
3)조선시대의 인쇄

3.세계의 인쇄사

4.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수분을 오래지녀 지방성인 인쇄잉크를 받지않는 점에 착안하여 석판인쇄의 원리를 발견하
였다. 이것이 평판인쇄의 시초가 되었다.
이리하여 18세기 말까지 볼록판, 오목판, 평판인쇄의 기본적인 인쇄법이 고안되었으나 19세기 까지는 볼록판 인쇄가 평판인쇄에 비하여 우월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으며, 평판인쇄로는 미술품이나 포스터정도의 극히 제한된 인쇄에만 사용하였다.
19세기가 되면서 프랑스의 니에프스와 다게르에 의해 사진술이 발명되고 1839년 영국의 폰턴에 의해서 중크롬산 젤라틴액의 감광성 내산물이 발견됨으로서 사진제판이 고안되어 마침내 1867년에 독일의 알버트에 의해서 콜로타이프 인쇄로서 실용화되었다. 또한 망목 스크린과 감광제 등의 발명으로 사진판,원색판,그라비어 인쇄, 옵셋인쇄등의 인쇄방법이 계속 고안되었다.
또한 근대에 이르러 출판물 생산의 증대와 신속성의 요구는 인쇄기계의 개량을 촉진하게 되었는데 1868년에 영국에서 발명된 두루마리용 활판윤전기는 계속 개량 연구되어 점차 정밀, 고속화 하였다.대량의 인쇄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인쇄기의 판을 부착시킨 부분과 종이를 사이에 두고 위로부터 압력을 주는 부분이 원통형으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 절대적인 필요 조건으로 되었다. 그 때문에 볼록판에서는 지형이 발명되고 지형에서 원통형 원판이 만들어졌다.그리고 평판의 경우에도 아연판에 제판해서 이것을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아 판을 만들며,오목판에서도 구리 원통판을 부식해서 판을 만들어 윤전기에 의해 대량인쇄를 할수있게 되었다.근래에 사진공학,전자공학,합성수지 공학의 발달로 인쇄는 계속 새로운 기술이 생겨나서 입체사진인쇄,전자사진인쇄,직물용 날염인쇄와 비닐,폴리에틸렌에 복제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또한 제판에서부터 인쇄까지 통합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DTP가 생겨났으며, 원고를 제판을 뜨지않고 직접 인쇄하는 E-PRINT 등의 인쇄기도 선보이고 있다. 현재에는 그 발전정도가 더욱 가속화 하여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인쇄 즉 e-ink나 e-book으로의 전환을 눈앞에 두고 있다.
4. 현재와 미래
현대 인쇄술이 개발되기 전에는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었으며, 그 정보에 접근할수 있는 사람들도 매우 제한 적이었으나 인쇄술이 고속 ,정밀화 되면서 급증하는 정보를 수용하는 폭도 넓어졌으며 이에 대한 정보매체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쇄업계는 17000개 이상, 연간 인쇄물량은 3조원을 상회할만큼 인쇄의 규모가 커졌다. 이와함께 5백년동안 인류문명을 주도해온 활자문화는 이제 멀티미디어라는 통신기술과의 만남으로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제 인쇄도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통합 시스템 즉,프리프레스, 인쇄용지,잉크,인쇄기계운용 등이 통합되어 동시 인쇄시스템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이에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은 물론 단납기 대응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지고, 전자상거래로부터 생산, 납품까지 모든 과정을 컴퓨터가 주도하게 됨으로서 인쇄문화도 역시 컴퓨터를 이용한 멀티 통합 시스템으로 변화하게 될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2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