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사 및 분석의 목적
Ⅱ. 한국의 출판업계 분석
1) 한국 국민독서실태
2) 한국 순수 창작 소설
3) 한국 번역 문학
Ⅲ. 일본의 출판업계 분석
1) 일본 국민 도서 실태
2) 일본 번역 문학
3) 일본 순수 창작 소설
Ⅳ. 일본의 출판업계 강세 이유
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Ⅱ. 한국의 출판업계 분석
1) 한국 국민독서실태
2) 한국 순수 창작 소설
3) 한국 번역 문학
Ⅲ. 일본의 출판업계 분석
1) 일본 국민 도서 실태
2) 일본 번역 문학
3) 일본 순수 창작 소설
Ⅳ. 일본의 출판업계 강세 이유
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리를 엮어간다. 이것은 우리의 삶과 소설의 삶이 싱크로율이 높아짐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더욱더 깊이 소설로 감정이입을 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는 읽기 쉬운 문체이다. 간결하고도 깔끔한 일본소설의 문체는 소설을 만화책 읽듯 쉽게 읽게 한다. 이것은 일본인들이 딱딱한 문학수업으로서의 독서보다 쉽고 여가로서의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자리 매김 하게끔 한다.
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 일본과 한국 출판 업계를 분석 비교 하여서 일본 출판계의 강세 이유까지 살펴보았다. 그러면 일본 출판계를 벤치마킹하여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우선은 국내 문학의 힘을 키워 나가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평론과 출판계의 보수적인 태도로 인하여 국내 출판계가 죽게 된 것이 사실이다. 문학을 근원적으로 살리기 위해서는 팩션이나 내면소설을 넘어서는 새로운 상상력의 소설들이 자유롭게 시장에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지금 세계 출판계는 웹에서 무엇인가를 '게걸스럽게' 읽어대는 사람들을 문학으로 유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째는 출판 유통구조의 개선으로 거품을 뺀 책값이다. 물가상승률을 웃도는 책값의 상승률은 우리나라의 출판계를 더욱더 얼게 만든다. 책도 소비재임은 틀림없음으로 지나치게 비싼 책값으로 읽고 싶어도 읽을 수 없는 양태를 낳아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각종 일본 출판사들의 전략 등을 도입, 실천하거나 국가적인 지원을 통해서라도 깨끗한 책값으로 돌아와야 국민들은 더욱더 책을 많이 읽게 되고 아울러 출판계 역시도 다시 일어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얼마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라 지적재산권 보호기간이 저작자 사후 50년에서 70년으로 늘어났다. 출판계 여기저기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어네스트 헤밍웨이의 작품을 정식 계약해 출판해 오고 있는 출판사의 경우, 저작권 보호기간이 늘어난 만큼 해당 기간 동안 발생하는 인세를 저작권자에게 더 지불해야 한다. 한마디로 출판계는 더 이상 번역에 치중해서는 힘들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세계 출판시장에서 한국 출판저작물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 출판계 모두가 장기적 비전을 견지하고 지식과 정보를 지적재산으로 전환하여 구축할 수 있는 인재들을 끊임없이 발굴하여 그들이 만들어낸 지적재산을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상상력이 지배한 2004년 출판 시장 (2004, 11 김일희 외)
유통원칙의 붕괴가 출판성장을 가로막았다 (2004 11 계명훈 외)
서점은 정말 문고로 가득찰까 (2004,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일본의 번역출판 사업 연구 (2006, 12 박경희)
대한출판문화협회 (http://www.kpa21.or.kr)
한국문학번역원 (http://www.klti.or.kr/)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http://www.kpm21.co.kr/)
KOPUS-한국출판인회의 (http://www.kopus.org)
한겨례신문 (http://www.hani.co.kr)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마지막으로는 읽기 쉬운 문체이다. 간결하고도 깔끔한 일본소설의 문체는 소설을 만화책 읽듯 쉽게 읽게 한다. 이것은 일본인들이 딱딱한 문학수업으로서의 독서보다 쉽고 여가로서의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자리 매김 하게끔 한다.
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 일본과 한국 출판 업계를 분석 비교 하여서 일본 출판계의 강세 이유까지 살펴보았다. 그러면 일본 출판계를 벤치마킹하여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우선은 국내 문학의 힘을 키워 나가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평론과 출판계의 보수적인 태도로 인하여 국내 출판계가 죽게 된 것이 사실이다. 문학을 근원적으로 살리기 위해서는 팩션이나 내면소설을 넘어서는 새로운 상상력의 소설들이 자유롭게 시장에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지금 세계 출판계는 웹에서 무엇인가를 '게걸스럽게' 읽어대는 사람들을 문학으로 유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째는 출판 유통구조의 개선으로 거품을 뺀 책값이다. 물가상승률을 웃도는 책값의 상승률은 우리나라의 출판계를 더욱더 얼게 만든다. 책도 소비재임은 틀림없음으로 지나치게 비싼 책값으로 읽고 싶어도 읽을 수 없는 양태를 낳아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각종 일본 출판사들의 전략 등을 도입, 실천하거나 국가적인 지원을 통해서라도 깨끗한 책값으로 돌아와야 국민들은 더욱더 책을 많이 읽게 되고 아울러 출판계 역시도 다시 일어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얼마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라 지적재산권 보호기간이 저작자 사후 50년에서 70년으로 늘어났다. 출판계 여기저기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어네스트 헤밍웨이의 작품을 정식 계약해 출판해 오고 있는 출판사의 경우, 저작권 보호기간이 늘어난 만큼 해당 기간 동안 발생하는 인세를 저작권자에게 더 지불해야 한다. 한마디로 출판계는 더 이상 번역에 치중해서는 힘들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세계 출판시장에서 한국 출판저작물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 출판계 모두가 장기적 비전을 견지하고 지식과 정보를 지적재산으로 전환하여 구축할 수 있는 인재들을 끊임없이 발굴하여 그들이 만들어낸 지적재산을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상상력이 지배한 2004년 출판 시장 (2004, 11 김일희 외)
유통원칙의 붕괴가 출판성장을 가로막았다 (2004 11 계명훈 외)
서점은 정말 문고로 가득찰까 (2004,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일본의 번역출판 사업 연구 (2006, 12 박경희)
대한출판문화협회 (http://www.kpa21.or.kr)
한국문학번역원 (http://www.klti.or.kr/)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http://www.kpm21.co.kr/)
KOPUS-한국출판인회의 (http://www.kopus.org)
한겨례신문 (http://www.hani.co.kr)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추천자료
[신화][일본 신화][이집트 신화][인도 신화][중국 신화][한국 신화][신화 사례]일본의 신화, ...
[기모노][일본전통의상][일본문화][일본전통의복][기모노의 역사][기모노의 유래][기모노의 ...
[군사력][군사전략][러시아 군사전략][일본 군사전략][미국 군사전략]군사력과 군사전략 고찰...
[방송환경][방송제도][프랑스][독일][일본][중국][북한]프랑스방송환경(프랑스방송제도), 독...
서평 : 일본, 일본인, 일본의 힘
[음악산업][대중음악][한국음악][미국음악][일본음악][음악][한국의 음악][미국의 음악][일본...
[한국 미술][일본 미술][아잔타 미술][아프리카 미술][발리노바 미술][에트루리아 미술]한국 ...
NHN 일본시장진출 성공전략분석과 NHN 향후전망 (NHN 일본시장 진출배경, 일본 진출방식, 성...
[독후감·서평·요약] 한국인이 읽어야 할 일본헌법을 읽고 - 일본헌법과 한국헌법 제정의 배경...
주신구라(忠臣藏) 47인 사무라이의 복수극(일본의 대표적인 고전, 줄거리, 주신구라와 일본정...
2000년대 일본 영화와 애니메이션 (시대적 배경, 일본 영화의 현재, 동아시아에서 일본영화가...
[비교행정론 E형] 일본의 행정체제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 - 일본 행정체제의 구조, 일본 관...
[일본정치론][일본내각의 조직과 기능 그리고 수상의 리더십과 내각조직 개편으로 본 일본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