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주거 의 결합방식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합 주거 의 결합방식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명적 결합방식에 따른 분류
1) 계단실형
2) 복도형
① 중복도형
②편복도형
③양복도형
3) 중앙형(홀형)

2. 단면 결합방식
1)메조네트형
2) 스킵플로어형

본문내용

같은 용적율을 적용할 경우 단위 면적당 상주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
⑥ 르 꼬르뷔제의 유니떼는 3개 층마다 나타나는 중 복도를 통해 출입하는 복층주택들을 서로 얽히게 구성하는 방식으로 계획
⑦ 넓고 시원해 보이는 개방적 실내공간구성을 선호하는 우리나라 특유의 주택공간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구조.
⑧ 공용복도 면적의 감소
⑨ 각 세대의 외기로 면하는 면적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내 공간 환경의 쾌적성 향상
⑩ 획일적인 주택 구성에서 탈피하려는 형태적인 의도
⑪ 사례1
분당 전람회 주택 -보람 빌라
설계 ; 김인철 대지위치 ; 분당 C11-7-6 블록 건축주 ; (주)건영
- 지하층, 1층과 2, 3층이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2, 3층은 각 층마다 테라스가 있어 같은 가족구성원이라고 하더라도 서로 프라이버시가
매우 양호하며, 2-3대가 같이 불편함 없이 생활 할 수 있는 복층구조이다.
- 지하층과 1층은 마당의 시선이 서로 공유하는 공간으로 처리 되었다.
- 나눔과 결합의 공간적인 구성
⑫사례 2
->분당
석류빌라
평면도
분당 석류빌라
단면도->
대지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61-1번지
설계; 원정수 +지순
건폐율 ; 28.29% 용적율 ; 89.53% 건축주 ; (주)건영
- 2층의 잠자는 침실 공간은 안정된 네모공간을 두었지만 1층의 거실, 부엌, 식당은 상대적으로 비스듬하게 구성하여 외부공간과 접하는 부분의 면적을 확대하여 두 공간의 기능적인 면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였다.
- 사적인 공간의 이동 동선이 짧게 되어 있다.
- 복층의 이동 동선의 길게 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침실을 현관과 가깝게 배치하였으나 자칫 현관에서 소음이라든지 프라이버시의 침해에 노출 될 우려가 있다.
- 1층의 세대에서 다음 층의 세대까지의 이동 동선 뿐 아니라 계단의 길이도 길어짐으로 인해 개인의 주거성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축비용적인 면에서의 고비용화 되는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2) 스킵플로어형
① 건물 각 층의 바닥 높이를 일반적인 건물과 같이 1층 분의 높이만큼씩 높이지 않고, 계단의 각 층계참마다 반 층 차(半層差) 높이로 설계하는 방식
② 각 층 상호간의 연락을 쉽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③ 하나의 가호(家戶)를 2층에 걸쳐서 배치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지장소를 줄이고, 공용복도면적을 절약하는 메이저넷식 고층아파트의 개량형으로 고안된 것이다.
④ 각호의 프라이버시면에서 우수하다.
⑤ 반층차씩 올라가는 공간 때문에 시공 상의 어려움이 다소 있다.
⑥ 주출입구를 찾아 가기가 곤란하다.
⑦ 낮은 경사지에 사용이 용이
⑧ 외기에 접하는 면적이 다소 낮으며 통풍에서 현관에 계단이 있어 통풍상의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⑨ 계단실형 주택의 프라이버시 보호
⑩ 복도에서의 보행 및 유아 놀이의 제약
⑪ 복도의 보행소음 문제 발생
⑫사례1
->분당
아름빌라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60-6
- 각 세대 간의 프라이버시를 중시하여 입구에 반 층 차를 둠
- 대지가 낮은 언덕으로 구성되어 계단의 층 차를 이용하여 진입
- 세대는 다시 복층으로 구성하여 외기에 접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높임
- 방문객의 혼란이 생길 수 있다.
- 입구에서 세대 2층까지 올라가는 이동 동선이 매우 복잡하며 길게 형성 되어있다.
⑬사례2
⇒ 수서 도개공아파트
1,7단지
건설시기 ; 1992
용적율 ; 203.2%
⇒수서
도개공
아파트 1,7단지
- 엘리베이터 정지 층수 감소로 관리비 절감 - 계단실형 주택의 프라이버시 보호
- 공용면적 절감효과 - 복도보행 및 활동의 제약
- 방문객의 혼란을 가져옴 - 공용면적비가 크다
주택에 맞는 결합방식은 따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비용 및 재원의 상황과 사회 상황에 맞추어서 결정지어진다. 프라이버시라든지 부수적인 고려 사항은 최근에 와서 주택의 획일화적인 형태에서 탈피함과 동시에 주거의 쾌적성과 주호의 주거 성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반층 씩 입구를 준다든지 계단실적인 형태를 띠게 하는 식의 결합방식이 사용되어 진다. 또한, 한 가지 결합방식만을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메조넷과 스킵플로어를 결합한 형태라든지 중복도와 메조넷의 결합한 등 다양한 결합형태의 혼합적인 사용으로 공간의 단점을 보완과 공간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참고>
『도시 집합주택의 계획 11+44』 발언사 1997년판
『분당전람회주택』no.38 capress
『건축계획론』 지문당
『건축학개론』 서우 출판사 2003년판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2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