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송하고 A가 다시 ACK으로 응답하기를 기다린다. 이때 B서버는 SYN_RECEIVED 상태가 된다.
[STEP 3]
A클라이언트는 B서버에게 ACK을 보내고 이후로부터는 연결이 이루어지고 데이터가 오가게 되는것이다. 이때의 B서버 상태가 ESTABLISHED 이다.
여기서 SYN은 'synchronize sequence numbers', 그리고 ACK는'acknowledgment' 의 약자이다.
이러한 절차는 TCP 접속을 성공적으로 성립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A Client B Server
(Connect) (Listen,Accept) TCP 제어 플래그
| SYN J | ↓
| -----------------> | : 연결요청 (SYN=1,ACK=0)
| SYN K, ACK J+1 |
| <----------------- | : 연결허락 (SYN=1,ACK=1)
| ACK K+1 |
| -----------------> | : 연결설정 (ACK=1)
| |
| (연결통로 확보) |
| <━━━━━━━━> | : 이후 회선이 작동되며, 통신의 양측 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시작
위와 같은 3단계 연결 설정과정이 지나고 나면 4단계 통신종료 과정을 거치어야 하는데
그것이 위에 그림에서 나오는 [FIN ACK], [ACK] [FIN Seq], [FIN ACK], [ACK]
이것이 4단계 통신종료 과정이다.
두 번째로는 새로운 인터넷 도메인 검색(넷마블)으로 패킷 디테일 영역을 설명하자면
< TCP 분석 > -넷마블-
위의 TCP를 보게 되면 내 컴퓨터와 넷마블의 통신간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나의 포트번호는 2628번이고, 넷마블 포트번호는 80번이다
헤더의 길이는 28바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고, 세그먼트의 최대 사이즈는 146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윈도우 사이즈는 65535인 것을 알 수 있다.
< TCP SEQ 순서번호>
송신자는 자신이 전송하는 패킷에 순서번호를 카운트하여 전송을 하고 수신자는 응답 패킷의 확인 ACK 신호에 상대바에 보낸 SEQ 에 +1을 보내어 상대방에서 정상적으로 수신 하였다고 응답한다.
만일 송신데이터에 길이가 0 이면 SEQ에 1로 ACK값이 증가한다.
< IP 분석> -넷마블-
위에 보게 되면 내 컴퓨터 IP와 넷마블 IP 가 나타 나게 된다.
내 컴퓨터 IP는 (121.142.220.1) 넷마블 IP는 (222.122.135.40) 이다 .
현재 IPV4(version)상태이고, 헤더의 길이는 2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다른 필드의 값까지 합해서 40바이트이고, Identification 62276이다.
프레임 오프셋은 0이고, 체크섬으로 인해 오류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넷마블-
*.*\r\n을 Accept했고,http:// www.netmable.net/\r\n을 언급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로 인식하고, gzip, deflate 방식으로 인코딩한다.
사용자 agent는 모질라 4.0이다. 호스트는 www.netmable.net, 현재 연결 상태 살아있고,
쿠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마블-
UDP 분석을 해보면 해당 DNS를 통해 User Datagram Protocol 을 살펴보면,
길이는 132 이고 나의 포트번호는 domain(53)이라 나오고, 넷마블은 1894이다
<세 번째 인터넷 도메인 국민은행으로 패킷 분석>
위의 TCP를 보게 되면 내 컴퓨터와 국민은행 통신간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나의 포트번호는 1234번이고, 국민은행 포트번호는 80번이다
헤더의 길이는 28바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고, 세그먼트의 최대 사이즈는 146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윈도우 사이즈는 65535인 것을 알 수 있다.
위에 보게 되면 내 컴퓨터 IP와 국민은행 IP 가 나타 나게 된다.
내 컴퓨터 IP는 (121.142.220.1) 국민은행 IP는 (121.129.49.31) 이다 .
현재 IPV4(version)상태이고, 헤더의 길이는 2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다른 필드의 값까지 합해서 40바이트이고, Identification 5674이다.
프레임 오프셋은 0이고, 체크섬으로 인해 오류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UDP 분석을 해보면 해당 DNS를 통해 User Datagram Protocol 을 살펴보면,
길이는 115 이고 나의 포트번호는 domain(53)이라 나오고, 국민은행은 1029이다
[STEP 3]
A클라이언트는 B서버에게 ACK을 보내고 이후로부터는 연결이 이루어지고 데이터가 오가게 되는것이다. 이때의 B서버 상태가 ESTABLISHED 이다.
여기서 SYN은 'synchronize sequence numbers', 그리고 ACK는'acknowledgment' 의 약자이다.
이러한 절차는 TCP 접속을 성공적으로 성립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A Client B Server
(Connect) (Listen,Accept) TCP 제어 플래그
| SYN J | ↓
| -----------------> | : 연결요청 (SYN=1,ACK=0)
| SYN K, ACK J+1 |
| <----------------- | : 연결허락 (SYN=1,ACK=1)
| ACK K+1 |
| -----------------> | : 연결설정 (ACK=1)
| |
| (연결통로 확보) |
| <━━━━━━━━> | : 이후 회선이 작동되며, 통신의 양측 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시작
위와 같은 3단계 연결 설정과정이 지나고 나면 4단계 통신종료 과정을 거치어야 하는데
그것이 위에 그림에서 나오는 [FIN ACK], [ACK] [FIN Seq], [FIN ACK], [ACK]
이것이 4단계 통신종료 과정이다.
두 번째로는 새로운 인터넷 도메인 검색(넷마블)으로 패킷 디테일 영역을 설명하자면
< TCP 분석 > -넷마블-
위의 TCP를 보게 되면 내 컴퓨터와 넷마블의 통신간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나의 포트번호는 2628번이고, 넷마블 포트번호는 80번이다
헤더의 길이는 28바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고, 세그먼트의 최대 사이즈는 146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윈도우 사이즈는 65535인 것을 알 수 있다.
< TCP SEQ 순서번호>
송신자는 자신이 전송하는 패킷에 순서번호를 카운트하여 전송을 하고 수신자는 응답 패킷의 확인 ACK 신호에 상대바에 보낸 SEQ 에 +1을 보내어 상대방에서 정상적으로 수신 하였다고 응답한다.
만일 송신데이터에 길이가 0 이면 SEQ에 1로 ACK값이 증가한다.
< IP 분석> -넷마블-
위에 보게 되면 내 컴퓨터 IP와 넷마블 IP 가 나타 나게 된다.
내 컴퓨터 IP는 (121.142.220.1) 넷마블 IP는 (222.122.135.40) 이다 .
현재 IPV4(version)상태이고, 헤더의 길이는 2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다른 필드의 값까지 합해서 40바이트이고, Identification 62276이다.
프레임 오프셋은 0이고, 체크섬으로 인해 오류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r\n을 Accept했고,http:// www.netmable.net/\r\n을 언급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로 인식하고, gzip, deflate 방식으로 인코딩한다.
사용자 agent는 모질라 4.0이다. 호스트는 www.netmable.net, 현재 연결 상태 살아있고,
쿠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UDP 분석을 해보면 해당 DNS를 통해 User Datagram Protocol 을 살펴보면,
길이는 132 이고 나의 포트번호는 domain(53)이라 나오고, 넷마블은 1894이다
<세 번째 인터넷 도메인 국민은행으로 패킷 분석>
위의 TCP를 보게 되면 내 컴퓨터와 국민은행 통신간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나의 포트번호는 1234번이고, 국민은행 포트번호는 80번이다
헤더의 길이는 28바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고, 세그먼트의 최대 사이즈는 146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윈도우 사이즈는 65535인 것을 알 수 있다.
위에 보게 되면 내 컴퓨터 IP와 국민은행 IP 가 나타 나게 된다.
내 컴퓨터 IP는 (121.142.220.1) 국민은행 IP는 (121.129.49.31) 이다 .
현재 IPV4(version)상태이고, 헤더의 길이는 20바이트임을 알 수 있다.
다른 필드의 값까지 합해서 40바이트이고, Identification 5674이다.
프레임 오프셋은 0이고, 체크섬으로 인해 오류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UDP 분석을 해보면 해당 DNS를 통해 User Datagram Protocol 을 살펴보면,
길이는 115 이고 나의 포트번호는 domain(53)이라 나오고, 국민은행은 1029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음악을 공유한 네트워크인 P2P에서 네트워크 외부적임에 대한 실증분석.
[네트워크 조직] 현대 정부조직관리 부문에서 가장 중심적으로 네트워크 방식을 통한 혁신이 ...
[디지털경제][네트워크경제]디지털경제의 의의, 디지털경제의 특징, 디지털경제 기본이론, 네...
[클러스터][클러스터 유형][산업클러스터 형성요인][클러스터와 네트워크][사회자본]클러스터...
[아리랑TV][방송제도]방송제도의 유형, 방송제도의 특징과 아리랑TV의 글로벌네트워크 구축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개념, 페이스북(Facebook)의 성공요인 및 전략 분석, SWOT 분석
[녹색구매][정부][네트워크][기업][환경거버넌스][녹색구매활성화][녹색소비자][그린슈머]녹...
[디지털키워드, 전략적 제휴, 네트워크, 사이버파워, P2P, 개인간 파일공유]디지털키워드와 ...
[한일자동차산업, 숙련형성시스템, 혁신네트워크, 노동자숙련, 기업간연계]한일자동차산업의 ...
[일본정부, 네트워크, 국가적 정보기반비전, 행정개혁]일본정부의 네트워크, 일본정부의 국가...
[기업][기술][기술개발][기술도입][기술네트워크][기술거래][기술혁신][기술수명주기]기업 기...
[스마트폰 소셜 네트워크]소셜 네트워크 게임,SNG,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기업 사업][네트워크화 사업][전자상거래 사업][브랜드가치향상 사업]기업 네트워크화 사업,...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서비스 중 지역조직화 기능으로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이 주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