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조명
1. 빛의 개념
2. 조명용어의 정의
3. 인공조명
4. 광원의 종류 및 특성
5. 조명기구의 종류 및 특성
6. 조명방식의 분류 및 특성
Ⅱ. 조명계획
1.조명계획의 요소
2.조명계획의 단계
Ⅲ. 조명환경평가
1. 국내・외의 조도기준
2. 조도측정법
참고문헌
1. 빛의 개념
2. 조명용어의 정의
3. 인공조명
4. 광원의 종류 및 특성
5. 조명기구의 종류 및 특성
6. 조명방식의 분류 및 특성
Ⅱ. 조명계획
1.조명계획의 요소
2.조명계획의 단계
Ⅲ. 조명환경평가
1. 국내・외의 조도기준
2. 조도측정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tained by
a combination
of general and
local
(supplementary
lighting)
Performance of very
prolonged and exacting visual
task
H
5000-7500-10000
500-750-1000
Performance of very special
visual tasks of extremely low
contrast and small size
I
10000-15000-20000
1000-155-2000
(3) 국제조명표준 CIE조도기준
CIE(국제조명위원회)는 작업종류에 따라 조도기준을 분류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3개의 대분류와 9개의 중분류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CIE조도기준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용자가 구체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분류
추천조도(㏓)
작업의 형태
A
별로 사용하지 않는 장소
혹은 단순한 모양이 필요한
장소의 전반조명
20
30
50
75
100
150
200
① 주변이 어둔 공공장소
② 단시간에 출입할 때의 방향 조명
③연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작업실
창구 입구홀
B
작업실의 전반조명
300
500
750
1000
1500
2000
① 한정된 조건의 시작업
예: 강의실, 거친 기계작업
② 보통의 시작업
예: 사무소, 보통의 기계작업
③ 특별한 시작업
예: 조각, 직물공자의 검사
C
정밀한 시작업의 부가조명
3000
5000
7500
10000
15000
20000
① 극히 장시간의 정밀 시작업
예: 세밀한 회로나 시계조립
② 예외적인 정밀 시작업
예: 극미 전자부품 조립
③ 극히 특별한 시작업
예: 외과수술
2. 조도측정법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조도기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조도측정법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정확한 조도측정을 통해 조도기준에 적합되고 있는지 여부의 기초데이터를 얻고, 조명의 보수개선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자 한다. 그리고 측정된 각 점에서의 조도값를 바탕으로 정확한 평균조도를 산출하여 조도기준과의 비교 평가를 수행한다.
(1) KS 조도측정법
전반 조명의 경우 조도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수평면 조도를 측정한다. 조도측정면의 높이는 바닥면 위 80± 5cm를, 거실의 경우에 바닥 위 40± 5cm를, 복도나 옥외인 경우는 바닥 위 15cm이하로 한다. 그리고 실내에 책상이나 작업대 등의 작업 대상면이 있는 경우는 그 윗면 또는 윗면에서 5cm 이내의 가상면으로 한다.
1) KS평균조도 산출법 - 5점법(KS C 7612)
5점법은 중앙집중식조명 평면의 조도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식에서 Eg는 조명기구 직하부에서 측정한 조도 값을, Emi는 벽으로부터 50cm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한 조도값을 나타낸다. 조명기구 직하부의 측정점을 두 번 고려하여 모두 6개의 값을 산술 평균하는 것으로 다음의 5점법에 의한 조도측정 위치와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식이다.
조도측정위치
평균조도 산출식
2) KS 평균조도 산출법 - 다점법
KS 다점법은 5점법과 함께 단위구역이 다수 연속할 때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는 조명기구의 위치가 공간의 중간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때 일정한 간격의 측정점들의 산술적인 평균값으로 평균조도를 산출한다.
조도측정위치
평균조도 산출식
(2) IES 조도측정법
1) IES 평균조도 산출법 - 4점법
4점법은 북미조명학회인 IES에서 제시된 측정방법으로 조명기구를 중심으로 4구역의 중심점인 P1, P2, P3, P4의 조도를 측정하고, 총 4값의 평균인 E가 평균조도로 산출된다.
조도측정법
특 징
KS 5점법
- 조명기구의 직하부 조도를 최대한 고려하여 공간과 기구와의 특성을 표현
- 국부조도를 고려한 방법으로 공간에서 발생하는 작업활동의 특징을 부각
KS 다점법
- 공간의 일정 간격별로 모든 포인트의 조도값을 평균하는 방식으로 세밀한 조도 분석에 유리
- 넓은 공간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많은 포인트를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 소요와 작업량 증가
IES 4점법
- 다점법의 약산 개념으로 간단하게 평균조도 측정이 가능
- 균제도 측정시 가장 우수한 방법
- 중앙배치형 조명기구의 평균조도 측정이 용이
앞에서 언급한 평균조도 측정법인 KS 5점법과 다점법, IES 4점법으로 측정한 값들은 서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므로 각 측정법의 특성 및 공간에서 발생하는 활동의 종류와 설계의 주안점을 고려하여 측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공간들은 명시성 위주의 중앙집중식 조명평면으로 계획된다. 조명기구 직하부 조도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공간의 조도측정 결과가 달라지므로 균일하게 분산된 조명평면에 비해 조도측정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공간 및 활동종류를 고려해야 한다.
참고문헌
백열조명 대체 에너지절감형 LED 조명기구의 열적, 광학적 특성
장하균 저 | 서울산업대 에너지환경대학원 발행, 신에너지 전공
무대조명의 연극적 상상력 표현에 관한 연구
이주환 저 | 세종대 공연예술대학원 발행, 조명디자인 전공
발광다이오드(LED)조명에 관한 연구
이인호 저 | 서울산업대 IT디자인대학원 발행, 생활환경디자인학 전공
조명기구 상세도
대한주택공사 저 | 대한주택공사 발행
조명기구용 프리즘의 광학 설계법에 관한 연구
석대일 저 | 강원대 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2007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검출
조치영 저 |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발행, 전자컴퓨터공학 전공
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 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신호 저 | 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발행, 무대미술 전공
도로조명 측정을 위한 2분할 측정시스템에 대한 연구
조덕수 저 | 강원대 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경관조명 설계 시 유지관리비 절감 방안 검토
윤재문 저 |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을 위한 개선된 전처리 방법
楊明 저 | 한국과학기술원 발행, 전산학 전공
조명 환경에 따른 LCD에서의 컬러 매칭
김경태 저 | 인하대 대학원 발행, 정보통신공학 전공
조명용 고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기술 개발
공공기술연구회 저 | 공공기술연구회 발행
a combination
of general and
local
(supplementary
lighting)
Performance of very
prolonged and exacting visual
task
H
5000-7500-10000
500-750-1000
Performance of very special
visual tasks of extremely low
contrast and small size
I
10000-15000-20000
1000-155-2000
(3) 국제조명표준 CIE조도기준
CIE(국제조명위원회)는 작업종류에 따라 조도기준을 분류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3개의 대분류와 9개의 중분류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CIE조도기준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용자가 구체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분류
추천조도(㏓)
작업의 형태
A
별로 사용하지 않는 장소
혹은 단순한 모양이 필요한
장소의 전반조명
20
30
50
75
100
150
200
① 주변이 어둔 공공장소
② 단시간에 출입할 때의 방향 조명
③연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작업실
창구 입구홀
B
작업실의 전반조명
300
500
750
1000
1500
2000
① 한정된 조건의 시작업
예: 강의실, 거친 기계작업
② 보통의 시작업
예: 사무소, 보통의 기계작업
③ 특별한 시작업
예: 조각, 직물공자의 검사
C
정밀한 시작업의 부가조명
3000
5000
7500
10000
15000
20000
① 극히 장시간의 정밀 시작업
예: 세밀한 회로나 시계조립
② 예외적인 정밀 시작업
예: 극미 전자부품 조립
③ 극히 특별한 시작업
예: 외과수술
2. 조도측정법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조도기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조도측정법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정확한 조도측정을 통해 조도기준에 적합되고 있는지 여부의 기초데이터를 얻고, 조명의 보수개선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자 한다. 그리고 측정된 각 점에서의 조도값를 바탕으로 정확한 평균조도를 산출하여 조도기준과의 비교 평가를 수행한다.
(1) KS 조도측정법
전반 조명의 경우 조도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수평면 조도를 측정한다. 조도측정면의 높이는 바닥면 위 80± 5cm를, 거실의 경우에 바닥 위 40± 5cm를, 복도나 옥외인 경우는 바닥 위 15cm이하로 한다. 그리고 실내에 책상이나 작업대 등의 작업 대상면이 있는 경우는 그 윗면 또는 윗면에서 5cm 이내의 가상면으로 한다.
1) KS평균조도 산출법 - 5점법(KS C 7612)
5점법은 중앙집중식조명 평면의 조도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식에서 Eg는 조명기구 직하부에서 측정한 조도 값을, Emi는 벽으로부터 50cm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한 조도값을 나타낸다. 조명기구 직하부의 측정점을 두 번 고려하여 모두 6개의 값을 산술 평균하는 것으로 다음의 5점법에 의한 조도측정 위치와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식이다.
조도측정위치
평균조도 산출식
2) KS 평균조도 산출법 - 다점법
KS 다점법은 5점법과 함께 단위구역이 다수 연속할 때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는 조명기구의 위치가 공간의 중간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때 일정한 간격의 측정점들의 산술적인 평균값으로 평균조도를 산출한다.
조도측정위치
평균조도 산출식
(2) IES 조도측정법
1) IES 평균조도 산출법 - 4점법
4점법은 북미조명학회인 IES에서 제시된 측정방법으로 조명기구를 중심으로 4구역의 중심점인 P1, P2, P3, P4의 조도를 측정하고, 총 4값의 평균인 E가 평균조도로 산출된다.
조도측정법
특 징
KS 5점법
- 조명기구의 직하부 조도를 최대한 고려하여 공간과 기구와의 특성을 표현
- 국부조도를 고려한 방법으로 공간에서 발생하는 작업활동의 특징을 부각
KS 다점법
- 공간의 일정 간격별로 모든 포인트의 조도값을 평균하는 방식으로 세밀한 조도 분석에 유리
- 넓은 공간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많은 포인트를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 소요와 작업량 증가
IES 4점법
- 다점법의 약산 개념으로 간단하게 평균조도 측정이 가능
- 균제도 측정시 가장 우수한 방법
- 중앙배치형 조명기구의 평균조도 측정이 용이
앞에서 언급한 평균조도 측정법인 KS 5점법과 다점법, IES 4점법으로 측정한 값들은 서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므로 각 측정법의 특성 및 공간에서 발생하는 활동의 종류와 설계의 주안점을 고려하여 측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공간들은 명시성 위주의 중앙집중식 조명평면으로 계획된다. 조명기구 직하부 조도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공간의 조도측정 결과가 달라지므로 균일하게 분산된 조명평면에 비해 조도측정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공간 및 활동종류를 고려해야 한다.
참고문헌
백열조명 대체 에너지절감형 LED 조명기구의 열적, 광학적 특성
장하균 저 | 서울산업대 에너지환경대학원 발행, 신에너지 전공
무대조명의 연극적 상상력 표현에 관한 연구
이주환 저 | 세종대 공연예술대학원 발행, 조명디자인 전공
발광다이오드(LED)조명에 관한 연구
이인호 저 | 서울산업대 IT디자인대학원 발행, 생활환경디자인학 전공
조명기구 상세도
대한주택공사 저 | 대한주택공사 발행
조명기구용 프리즘의 광학 설계법에 관한 연구
석대일 저 | 강원대 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2007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검출
조치영 저 |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발행, 전자컴퓨터공학 전공
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 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신호 저 | 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발행, 무대미술 전공
도로조명 측정을 위한 2분할 측정시스템에 대한 연구
조덕수 저 | 강원대 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경관조명 설계 시 유지관리비 절감 방안 검토
윤재문 저 |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발행, 전기공학 전공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을 위한 개선된 전처리 방법
楊明 저 | 한국과학기술원 발행, 전산학 전공
조명 환경에 따른 LCD에서의 컬러 매칭
김경태 저 | 인하대 대학원 발행, 정보통신공학 전공
조명용 고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기술 개발
공공기술연구회 저 | 공공기술연구회 발행
추천자료
할로겐 램프에 대해서
촬영기자가 만든 영상취재 길라잡이.
LED 구동회로
LED 기초지식
LED 측정시술
LED 전광판 기술
빛과 그림자 개념과 각 활동 - 유아 과학 교육
LED의 작동원리 / 간단소개 / 용도 / 제품 / 시장동향
[LED] LED의 기본원리와 LED산업의 전망
신체를 훈련시키는 권력 장치로써 감시, 제제, 검사 (푸꼬 철학)
전압 인가시 LED 발광 시점 측정
일반생물학 - 현미경에 대해서
LED(Light-Emitting Diode) (LED의 특징, 종류, 전압, 전류특성, 발광다이오드 반도체)
[농학과 D형] 채소재배를 위한 도시농업형 식물공장에 대하여 조사하고 앞으로의 전망 및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