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목차
1. 단열의 정의 및 목적
2. 단열재의 종류 및 특성
2.1 단열재의 종류
2.2 단열재료의 특성
3. 단열공법
3.1 단열공법의 종류
4. 시공
4.1 시공 일반
4.2 최하층 바닥의 단열공사
4.3 벽체의 단열공사
4.4 천장의 단열공사
4.5 방습재의 설치
4.6 양생
5. 주요 결함 내용
5.1 세대 현관 주위 결로
5.2 외부에 면한 문틀 및 창틀 주위 결로
5.3 복도형 세대 연도 내부 결로
6. 건축법규사항
7. 외단열공법
7.1 외단열 공법이란
7.2 외단열 공법의 탄생
7.3 외단열 공법의 특성
8. (부록) 에네지 절약 계획서. 각종 기준 표
9. 참고 문헌
1. 단열의 정의 및 목적
2. 단열재의 종류 및 특성
2.1 단열재의 종류
2.2 단열재료의 특성
3. 단열공법
3.1 단열공법의 종류
4. 시공
4.1 시공 일반
4.2 최하층 바닥의 단열공사
4.3 벽체의 단열공사
4.4 천장의 단열공사
4.5 방습재의 설치
4.6 양생
5. 주요 결함 내용
5.1 세대 현관 주위 결로
5.2 외부에 면한 문틀 및 창틀 주위 결로
5.3 복도형 세대 연도 내부 결로
6. 건축법규사항
7. 외단열공법
7.1 외단열 공법이란
7.2 외단열 공법의 탄생
7.3 외단열 공법의 특성
8. (부록) 에네지 절약 계획서. 각종 기준 표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및 문틀의 종류별 열관류율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
열교차단재1)
미적용
열교차단재 적용
유리의 공기층 두께[mm]
6
12
6
12
6
12
6
12
창
복층유리2)
4.19
(3.60)
3.80
(3.27)
3.60
(3.10)
3.30
(2.84)
3.30
(2.84)
3.00
(2.58)
3.30
(2.84)
3.00
(2.58)
복층유리
(low-E)
3.70
(3.18)
3.20
(2.75)
3.10
(2.67)
2.60
(2.24)
2.90
(2.49)
2.40
(2.06)
2.90
(2.49)
2.40
(2.06)
복층유리,
(아르곤 주입)
4.00
(3.44)
3.70
(3.18)
3.37
(2.90)
3.20
(2.75)
3.10
(2.67)
2.90
(2.49)
3.10
(2.67)
2.90
(2.49)
복층유리
(low-E, 아르곤 주입)
3.37
(2.90)
2.90
(2.49)
2.80
(2.41)
2.40
(2.06)
2.60
(2.24)
2.20
(1.89)
2.60
(2.24)
2.20
(1.89)
삼중창
(복층+단창)
3.37
(2.90)
3.20
(2.75)
2.90
(2.49)
2.60
(2.24)
2.60
(2.24)
2.40
(2.06)
2.60
(2.24)
2.40
(2.06)
단창
6.6 (5.68)
6.10 (5.25)
5.30 (4.56)
5.30 (4.56)
문3)
일
반
문
단열 두께 20㎜ 미만
2.70 (2.32)
2.60 (2.24)
2.40 (2.06)
2.40 (2.06)
단열 두께 20㎜ 이상
1.80 (1.55)
1.70 (1.46)
1.60 (1.38)
1.60 (1.38)
유
리
문
단창문
유리비율4)
50%미만
4.20 (3.60)
4.00 (3.44)
3.70 (3.18)
3.70 (3.18)
유리비율
50%이상
5.50 (4.73)
5.20 (4.47)
4.70 (4.04)
4.70 (4.04)
복층창문
유리비율 50%미만
3.20
(2.75)
3.10
(2.67)
3.00
(2.58)
2.90
(2.49)
2.70
(3.32)
2.60
(2.24)
2.70
(2.32)
2.60
(2.24)
유리비율 50%이상
3.80
(3.27)
3.50
(3.01)
3.30
(2.84)
3.10
(2.67)
3.00
(2.58)
2.80
(2.41)
3.00
(2.58)
2.80
(2.41)
방풍구조문
3.80 (3.27)
[단위 : W/㎡·K (괄호안은 : kcal/㎡·h·℃)]
주1) 열교차단재 : 열교 차단재라 함은 창호의 금속프레임 외부 및 내부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염화비닐 등 단열성을 가진 재료로서 외부로의 열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주2) 복층유리는 이중창(단창+단창)을 포함한다.
주3) 문의 유리비율은 문 및 문틀을 포함한 면적에 대한 유리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열전달저항
건물 부위
실내표면열전달저항Ri
[단위:㎡·K/W]
(괄호안은 ㎡·h·℃/kcal)
실외표면열전달저항Ro
[단위:㎡·K/W]
(괄호안은 ㎡·h·℃/kcal)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거실의 외벽
(측벽 및 창, 문 포함)
0.11(0.13)
0.11(0.13)
0.043(0.050)
최하층에 있는 거실 바닥
0.086(0.10)
0.15(0.17)
0.043(0.050)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0.086(0.10)
0.086(0.10)
0.043(0.050)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0.086(0.10)
-
-
[별표4] 열관류율 계산시 적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표면 열전달저항
[별표5] 열관류율 계산시 적용되는 중공층의 열저항
공기층의 종류
공기층의 두께 da
(cm)
공기층의 열저항 Ra
[단위:㎡·K/W]
(괄호안은 ㎡·h·℃/kcal)
(1) 공장생산된 기밀제품
2 cm 이하
0.086×da(cm)
(0.10×da(cm))
2 cm 초과
0.17
(0.20)
(2) 현장시공 등
1 cm 이하
0.086×da(cm)
(0.10×da(cm))
1 cm 초과
0.086
(0.10)
(3) 중공층 내부에 방사율이 0.5이하의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경우
(1) 또는 (2)에서 계산된 열저항의 1.5배
[별표6]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 외기온습도
구 분
도시명
냉 방
난 방
건구온도(℃)
습구온도(℃)
건구온도(℃)
상대습도(%)
서 울
인 천
수 원
춘 천
강 릉
대 전
청 주
전 주
서 산
광 주
대 구
부 산
진 주
울 산
포 항
목 포
제 주
31.2
30.1
31.2
31.6
31.6
32.3
32.5
32.4
31.1
31.8
33.3
30.7
31.6
32.2
32.5
31.1
30.9
25.5
25.0
25.5
25.2
25.1
25.5
25.8
25.8
25.8
26.0
25.8
26.2
26.3
26.8
26.0
26.3
26.3
-11.3
-10.4
-12.4
-14.7
-7.9
-10.3
-12.1
- 8.7
- 9.6
- 6.6
- 7.6
- 5.3
- 8.4
- 7.0
- 6.4
- 4.7
0.1
63
58
70
77
42
71
76
72
78
70
61
46
76
70
41
75
70
[별표7]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실내 온습도 기준
구 분
지 역
난 방
냉 방
건구온도(℃)
건구온도(℃)
상대습도(%)
공동주택
20~22
26~28
50~60
학교(교실)
20~22
26~28
50~60
병원(병실)
21~23
26~28
50~60
관람집회시설(객석)
20~22
26~28
50~60
숙박시설(객실)
20~24
26~28
50~60
판매시설
18~21
26~28
50~60
사무소
20~23
26~28
50~60
목욕장
26~29
26~29
50~75
수영장
27~30
27~30
50~70
9. 참고문헌
> 건축재료, 성안당, 정세환저 (2004)
> 건축환경공학, 기문당, 김재수저 (2008)
> 건축재료학, 기문당, 조준현저 (2003)
> 건축기술지침서, 공간예술사, 정성철저 (2006)
> http://www.kccworld.co.kr/
> http://www.ondori.com
> http://www.byucksan.com/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
열교차단재1)
미적용
열교차단재 적용
유리의 공기층 두께[mm]
6
12
6
12
6
12
6
12
창
복층유리2)
4.19
(3.60)
3.80
(3.27)
3.60
(3.10)
3.30
(2.84)
3.30
(2.84)
3.00
(2.58)
3.30
(2.84)
3.00
(2.58)
복층유리
(low-E)
3.70
(3.18)
3.20
(2.75)
3.10
(2.67)
2.60
(2.24)
2.90
(2.49)
2.40
(2.06)
2.90
(2.49)
2.40
(2.06)
복층유리,
(아르곤 주입)
4.00
(3.44)
3.70
(3.18)
3.37
(2.90)
3.20
(2.75)
3.10
(2.67)
2.90
(2.49)
3.10
(2.67)
2.90
(2.49)
복층유리
(low-E, 아르곤 주입)
3.37
(2.90)
2.90
(2.49)
2.80
(2.41)
2.40
(2.06)
2.60
(2.24)
2.20
(1.89)
2.60
(2.24)
2.20
(1.89)
삼중창
(복층+단창)
3.37
(2.90)
3.20
(2.75)
2.90
(2.49)
2.60
(2.24)
2.60
(2.24)
2.40
(2.06)
2.60
(2.24)
2.40
(2.06)
단창
6.6 (5.68)
6.10 (5.25)
5.30 (4.56)
5.30 (4.56)
문3)
일
반
문
단열 두께 20㎜ 미만
2.70 (2.32)
2.60 (2.24)
2.40 (2.06)
2.40 (2.06)
단열 두께 20㎜ 이상
1.80 (1.55)
1.70 (1.46)
1.60 (1.38)
1.60 (1.38)
유
리
문
단창문
유리비율4)
50%미만
4.20 (3.60)
4.00 (3.44)
3.70 (3.18)
3.70 (3.18)
유리비율
50%이상
5.50 (4.73)
5.20 (4.47)
4.70 (4.04)
4.70 (4.04)
복층창문
유리비율 50%미만
3.20
(2.75)
3.10
(2.67)
3.00
(2.58)
2.90
(2.49)
2.70
(3.32)
2.60
(2.24)
2.70
(2.32)
2.60
(2.24)
유리비율 50%이상
3.80
(3.27)
3.50
(3.01)
3.30
(2.84)
3.10
(2.67)
3.00
(2.58)
2.80
(2.41)
3.00
(2.58)
2.80
(2.41)
방풍구조문
3.80 (3.27)
[단위 : W/㎡·K (괄호안은 : kcal/㎡·h·℃)]
주1) 열교차단재 : 열교 차단재라 함은 창호의 금속프레임 외부 및 내부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염화비닐 등 단열성을 가진 재료로서 외부로의 열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주2) 복층유리는 이중창(단창+단창)을 포함한다.
주3) 문의 유리비율은 문 및 문틀을 포함한 면적에 대한 유리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열전달저항
건물 부위
실내표면열전달저항Ri
[단위:㎡·K/W]
(괄호안은 ㎡·h·℃/kcal)
실외표면열전달저항Ro
[단위:㎡·K/W]
(괄호안은 ㎡·h·℃/kcal)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거실의 외벽
(측벽 및 창, 문 포함)
0.11(0.13)
0.11(0.13)
0.043(0.050)
최하층에 있는 거실 바닥
0.086(0.10)
0.15(0.17)
0.043(0.050)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0.086(0.10)
0.086(0.10)
0.043(0.050)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0.086(0.10)
-
-
[별표4] 열관류율 계산시 적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표면 열전달저항
[별표5] 열관류율 계산시 적용되는 중공층의 열저항
공기층의 종류
공기층의 두께 da
(cm)
공기층의 열저항 Ra
[단위:㎡·K/W]
(괄호안은 ㎡·h·℃/kcal)
(1) 공장생산된 기밀제품
2 cm 이하
0.086×da(cm)
(0.10×da(cm))
2 cm 초과
0.17
(0.20)
(2) 현장시공 등
1 cm 이하
0.086×da(cm)
(0.10×da(cm))
1 cm 초과
0.086
(0.10)
(3) 중공층 내부에 방사율이 0.5이하의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경우
(1) 또는 (2)에서 계산된 열저항의 1.5배
[별표6]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 외기온습도
구 분
도시명
냉 방
난 방
건구온도(℃)
습구온도(℃)
건구온도(℃)
상대습도(%)
서 울
인 천
수 원
춘 천
강 릉
대 전
청 주
전 주
서 산
광 주
대 구
부 산
진 주
울 산
포 항
목 포
제 주
31.2
30.1
31.2
31.6
31.6
32.3
32.5
32.4
31.1
31.8
33.3
30.7
31.6
32.2
32.5
31.1
30.9
25.5
25.0
25.5
25.2
25.1
25.5
25.8
25.8
25.8
26.0
25.8
26.2
26.3
26.8
26.0
26.3
26.3
-11.3
-10.4
-12.4
-14.7
-7.9
-10.3
-12.1
- 8.7
- 9.6
- 6.6
- 7.6
- 5.3
- 8.4
- 7.0
- 6.4
- 4.7
0.1
63
58
70
77
42
71
76
72
78
70
61
46
76
70
41
75
70
[별표7]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실내 온습도 기준
구 분
지 역
난 방
냉 방
건구온도(℃)
건구온도(℃)
상대습도(%)
공동주택
20~22
26~28
50~60
학교(교실)
20~22
26~28
50~60
병원(병실)
21~23
26~28
50~60
관람집회시설(객석)
20~22
26~28
50~60
숙박시설(객실)
20~24
26~28
50~60
판매시설
18~21
26~28
50~60
사무소
20~23
26~28
50~60
목욕장
26~29
26~29
50~75
수영장
27~30
27~30
50~70
9. 참고문헌
> 건축재료, 성안당, 정세환저 (2004)
> 건축환경공학, 기문당, 김재수저 (2008)
> 건축재료학, 기문당, 조준현저 (2003)
> 건축기술지침서, 공간예술사, 정성철저 (2006)
> http://www.kccworld.co.kr/
> http://www.ondori.com
> http://www.byucksan.com/
키워드
추천자료
산업폐기물의 재활용
유아특수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폐암환자 간호사례 연구
독일의 공무원제도
[영양과건강]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체내 대사과정과 영양적 기능(역할)에 대해
하이브리드 건축
[건물][건축물]건물(건축물)의 건축연구, 건물(건축물)의 균열, 건물(건축물)의 금연구역, 건...
[건물][건축물]건물(건축물)의 유지관리, 건물(건축물)의 소화설비, 건물(건축물)의 마감재, ...
[시설물][안전점검][관리아웃소싱][시설물의 유지보수체제][시설물의 감리제도]시설물의 관련...
OS 추간판탈출증 척추분리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케이스 스터디
[건축환경실험] 결로 측정 실험
[기술개발]기술개발과 공동기술개발, 대체프레온기술개발, 기술개발과 트랩도어탐지기술개발,...
[냉장고][김치냉장고][디오스][김장독]냉장고의 역사, 냉장고의 보관상식, 냉장고와 김치냉장...
2. 순수 분리 및 배양(도말평판법, 주입평판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