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동기주의 윤리설
1) 목적론
2) 절대론
3) 성선설
4) 동기주의 윤리설의 요약
Ⅱ.결과주의 윤리설
1)정의
① 흄
② 벤담
③ 페리
2)성악설
3)결과주의 윤리설의 요약
Ⅲ . 절충주의 윤리설
1) 정의
2) 성무성악설
Ⅳ. 의무론적 윤리설과 목적론적 윤리설 비교
1) 목적론
2) 절대론
3) 성선설
4) 동기주의 윤리설의 요약
Ⅱ.결과주의 윤리설
1)정의
① 흄
② 벤담
③ 페리
2)성악설
3)결과주의 윤리설의 요약
Ⅲ . 절충주의 윤리설
1) 정의
2) 성무성악설
Ⅳ. 의무론적 윤리설과 목적론적 윤리설 비교
본문내용
선악이 없고, 그 환경과의 상호접촉으로 선해질 수도 악해질 수도 있다고 하였다
의무론적 윤리(칸트)
목적론적 윤리설(쾌락주의공리주의)
가치 판단 기준
보편적 도덕 법칙(동기) 중시
행위의 결과 중시
(쾌락= 선, 불쾌=악)
설령 결과가 나쁘다 할지라도 보편적 도덕 법칙에 따라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
언제나 최선의 결과(가급적많은이에게 쾌락을 가져다 줌)를가져오는 행위를 해야하며, 도덕법칙의 준수여부는 부차적인 문제임. 도덕 법칙의 예외성 인정
가치판단
옳은행위
도덕 법칙에 일치함.
최선의 결과 도출(다수의 쾌락)
그른행위
도덕 법칙에 어긋남.
나쁜 결과 도출(다수의 불쾌)
다른 표현
법칙론적 윤리설
절대주의 윤리설
동기론 , 비결과주의 윤리설
쾌락주의 윤리설
상대주의 윤리설
결과론 , 결과주의 윤리
의무론적 윤리(칸트)
목적론적 윤리설(쾌락주의공리주의)
가치 판단 기준
보편적 도덕 법칙(동기) 중시
행위의 결과 중시
(쾌락= 선, 불쾌=악)
설령 결과가 나쁘다 할지라도 보편적 도덕 법칙에 따라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
언제나 최선의 결과(가급적많은이에게 쾌락을 가져다 줌)를가져오는 행위를 해야하며, 도덕법칙의 준수여부는 부차적인 문제임. 도덕 법칙의 예외성 인정
가치판단
옳은행위
도덕 법칙에 일치함.
최선의 결과 도출(다수의 쾌락)
그른행위
도덕 법칙에 어긋남.
나쁜 결과 도출(다수의 불쾌)
다른 표현
법칙론적 윤리설
절대주의 윤리설
동기론 , 비결과주의 윤리설
쾌락주의 윤리설
상대주의 윤리설
결과론 , 결과주의 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