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 문헌고찰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 문헌고찰 **
본문내용
, 무과립구증, 복통, 소화불량
④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 치료 등) 현황이나 계획
식이
저염식이.
염분은 조직 내에 수분을 저류시켜 순환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심부전을 악화시킨다.
Reguler Diet 식사하시며, 식사상태는 Mild 하다.
V/S
q 8hr.
Lasix 투여로 인하여, 혈압의 변화를 잘 관찰.
날짜
V/S
날짜
V/S
6/8
6/9
6/10
6/11
T
P
R
BP
6/12
6/13
6/15
6/16
T
P
R
BP
36.4
37.5
36.6
37.2
37.0
36.7
37.6
37.0
36.7
72
84
76
90
90
76
70
76
80
16
17
15
20
25
21
16
20
21
100/60
100/60
110/60
120/60
110/70
100/60
110/60
110/70
110/70
36.8
36.7
37.0
36.6
37.8
37.4
36.9
80
80
80
76
63
84
72
16
21
20
17
18
21
18
110/70
110/70
110/60
100/70
110/60
110/70
120/60
운동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
심부전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로 안정이 필요. 정신적신체적 안정으로 신체활동에 필요한 조직의 산소요구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심장의 보담을 덜어주고 이차적으로는 이뇨작용과 호흡의 증진, 정맥환류의 감소, 혈압저하, 심박수 감소로 심장의 확장기를 연장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증강시킨다.
(여기서 안정이란, 침상안정과 침상 주변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을 허용하는 정도이다.)
I/O check
& Body weight
daily로 몸무게를 check하여, 체중변화를 관찰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check하여 I/O가 적절한지 check한다.
월/일
6/8
6/10
6/12
6/13
6/14
6/15
6/16
6/17
Intake Total
150
1270
1700
1430
1400
1950
1270
1800
Output Total
300
1700
2100
1980
2050
1500
1700
1600
Difference
- 150
- 430
- 400
- 550
- 650
450
- 430
200
B.W
.
49kg
48.4kg
48.4kg
48.2kg
48kg
48kg
48.6kg
2.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진단명
S : " 가슴이 아리고 , 쑤시고, 답답하네.
심장이 아픈 것 같아. 숨쉬기도 힘들어.“
O : 가슴에 손을 대고 있으며, 쌕쌕거리고 힘든 양상 보인다고
챠팅 되어 있음.
가슴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 : " 옆구리 쪽이 아프고 몸이 나른하네, 요새 땀이 많이나 "
O : v/s 시 T가 37도 사이 재어짐, Chest tube 에 oozing +
감염과 관련된
체온상승
S : "돌아다니고 싶은데 다리가 많이 붓네, "
O : 다리와 손쪽에 부종이 있음.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음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된
체액 과다
* 기타 진단
잘못된 의료행위 이해와 관련된 불안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부종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적 장애 위험성
3.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간호진단
가슴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목표
▷ 비정상적 호흡음이 없다.
▷ 호흡이 편안해졌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
호
계
획
▷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환자의 행동 양상, 산소화 상태를 체크한다.
▷ 폐음을 청진 한다.
▷ 호흡 시 대칭적인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환자 통증 호소여부를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 필요시 O2를 투여한다.
▷ 편안한 자세를 유지해 준다.
간
호
수
행
▷ 매 V/S시마다 호흡횟수, 리듬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환자의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심호흡, 기침 권장한다.
▷ 체위변경을 격려한다.(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자세.)
▷ SaO2를 하루 4~5회 check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 환자의 통증여부를 묻고, 힘들 시 행동을 관찰한다.
▷ 안정하도록 격려한다.
▷ 의사 order에 따라 O2 2L투여한다.
▷ 이동시 휠체어로 이동하도록 설명한다.
평 가
안정된 호흡음을 들리며, 현재 chest pain없다고 말씀하셨다.
O2 remove 하고, R.A. SaO2 상 94~97% check되고 있다.
III. 결론
흉부외과에서 실습하면서 힘든 일이 더 많이 생각나지만 그만큼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많은 것을 배우고 가는것 같다. 역시 많이 듣기만 하는 것 보다 한번 몸으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더 기억에 남는다. 첫 날에는 적응도 못하고 선생님들이 하시는 말씀을 못 알아들을 때도 있었고, 이리저리 쫓아다니기 바빴고, v/s을 재는데도 시간을 끌고 했는데, 계속 하다보니까 인수인계 들을 때도 들리는 단어들이 더 많아지고 이해하는 부분도 많아졌다. 솔직히 흉부외과병동이라고 말을 딱 들었을 때는 힘들고 고된 실습일거 같았는데 몸으로 느끼면서 행동해보니까 왠지 모르게 끌리는 부분이 더 많았다. 이 병동에서 행해지는 의료행위들이나 간호사선생님들이 하시는 일들을 보면서 내가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이였을 때와 학생간호사에 입장에서 똑같은 상황을 봤을 때의 생각과 보는 시각이 달랐다. 막연하게 스쳐지나 볼 것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assign 환자들과 rapport를 형성하면서 내가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거나 인사를 할 때 고맙다고 하거나 반갑게 웃으면 인사를 받아 주실 때는 왠지 기분이 좋고 이 일을 더 하고 싶다는 매력을 느꼈다. 그리고 52병동 실습을 하면서 의사와 간호사가 생사를 오가는 사람들을 여러 가지 의료처치를 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사람을 살리는 일이 얼마나 힘들고 값진 일인지 새삼 깨달았다. 가끔은 환자들과 충돌이 일어나는 일들이 생기고 난감한 상황들도 있었지만, 52병동에서 실습했던 날들은 헛되지 않고 뜻 깊은 실습이였다.
** 문헌고찰 **
기본간호학 2권 / 정담미디어
성인 간호학 / 서문자 외 / 수문사 /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 고금자 외 / 도서출판 정담 /
for nurse REVIEW BOOK / 김조자 외 / 메디시언
④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 치료 등) 현황이나 계획
식이
저염식이.
염분은 조직 내에 수분을 저류시켜 순환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심부전을 악화시킨다.
Reguler Diet 식사하시며, 식사상태는 Mild 하다.
V/S
q 8hr.
Lasix 투여로 인하여, 혈압의 변화를 잘 관찰.
날짜
V/S
날짜
V/S
6/8
6/9
6/10
6/11
T
P
R
BP
6/12
6/13
6/15
6/16
T
P
R
BP
36.4
37.5
36.6
37.2
37.0
36.7
37.6
37.0
36.7
72
84
76
90
90
76
70
76
80
16
17
15
20
25
21
16
20
21
100/60
100/60
110/60
120/60
110/70
100/60
110/60
110/70
110/70
36.8
36.7
37.0
36.6
37.8
37.4
36.9
80
80
80
76
63
84
72
16
21
20
17
18
21
18
110/70
110/70
110/60
100/70
110/60
110/70
120/60
운동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
심부전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로 안정이 필요. 정신적신체적 안정으로 신체활동에 필요한 조직의 산소요구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심장의 보담을 덜어주고 이차적으로는 이뇨작용과 호흡의 증진, 정맥환류의 감소, 혈압저하, 심박수 감소로 심장의 확장기를 연장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증강시킨다.
(여기서 안정이란, 침상안정과 침상 주변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을 허용하는 정도이다.)
I/O check
& Body weight
daily로 몸무게를 check하여, 체중변화를 관찰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check하여 I/O가 적절한지 check한다.
월/일
6/8
6/10
6/12
6/13
6/14
6/15
6/16
6/17
Intake Total
150
1270
1700
1430
1400
1950
1270
1800
Output Total
300
1700
2100
1980
2050
1500
1700
1600
Difference
- 150
- 430
- 400
- 550
- 650
450
- 430
200
B.W
.
49kg
48.4kg
48.4kg
48.2kg
48kg
48kg
48.6kg
2.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진단명
S : " 가슴이 아리고 , 쑤시고, 답답하네.
심장이 아픈 것 같아. 숨쉬기도 힘들어.“
O : 가슴에 손을 대고 있으며, 쌕쌕거리고 힘든 양상 보인다고
챠팅 되어 있음.
가슴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 : " 옆구리 쪽이 아프고 몸이 나른하네, 요새 땀이 많이나 "
O : v/s 시 T가 37도 사이 재어짐, Chest tube 에 oozing +
감염과 관련된
체온상승
S : "돌아다니고 싶은데 다리가 많이 붓네, "
O : 다리와 손쪽에 부종이 있음.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음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된
체액 과다
* 기타 진단
잘못된 의료행위 이해와 관련된 불안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부종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적 장애 위험성
3.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간호진단
가슴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목표
▷ 비정상적 호흡음이 없다.
▷ 호흡이 편안해졌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
호
계
획
▷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환자의 행동 양상, 산소화 상태를 체크한다.
▷ 폐음을 청진 한다.
▷ 호흡 시 대칭적인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환자 통증 호소여부를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 필요시 O2를 투여한다.
▷ 편안한 자세를 유지해 준다.
간
호
수
행
▷ 매 V/S시마다 호흡횟수, 리듬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환자의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심호흡, 기침 권장한다.
▷ 체위변경을 격려한다.(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자세.)
▷ SaO2를 하루 4~5회 check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 환자의 통증여부를 묻고, 힘들 시 행동을 관찰한다.
▷ 안정하도록 격려한다.
▷ 의사 order에 따라 O2 2L투여한다.
▷ 이동시 휠체어로 이동하도록 설명한다.
평 가
안정된 호흡음을 들리며, 현재 chest pain없다고 말씀하셨다.
O2 remove 하고, R.A. SaO2 상 94~97% check되고 있다.
III. 결론
흉부외과에서 실습하면서 힘든 일이 더 많이 생각나지만 그만큼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많은 것을 배우고 가는것 같다. 역시 많이 듣기만 하는 것 보다 한번 몸으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더 기억에 남는다. 첫 날에는 적응도 못하고 선생님들이 하시는 말씀을 못 알아들을 때도 있었고, 이리저리 쫓아다니기 바빴고, v/s을 재는데도 시간을 끌고 했는데, 계속 하다보니까 인수인계 들을 때도 들리는 단어들이 더 많아지고 이해하는 부분도 많아졌다. 솔직히 흉부외과병동이라고 말을 딱 들었을 때는 힘들고 고된 실습일거 같았는데 몸으로 느끼면서 행동해보니까 왠지 모르게 끌리는 부분이 더 많았다. 이 병동에서 행해지는 의료행위들이나 간호사선생님들이 하시는 일들을 보면서 내가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이였을 때와 학생간호사에 입장에서 똑같은 상황을 봤을 때의 생각과 보는 시각이 달랐다. 막연하게 스쳐지나 볼 것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assign 환자들과 rapport를 형성하면서 내가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거나 인사를 할 때 고맙다고 하거나 반갑게 웃으면 인사를 받아 주실 때는 왠지 기분이 좋고 이 일을 더 하고 싶다는 매력을 느꼈다. 그리고 52병동 실습을 하면서 의사와 간호사가 생사를 오가는 사람들을 여러 가지 의료처치를 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사람을 살리는 일이 얼마나 힘들고 값진 일인지 새삼 깨달았다. 가끔은 환자들과 충돌이 일어나는 일들이 생기고 난감한 상황들도 있었지만, 52병동에서 실습했던 날들은 헛되지 않고 뜻 깊은 실습이였다.
** 문헌고찰 **
기본간호학 2권 / 정담미디어
성인 간호학 / 서문자 외 / 수문사 /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 고금자 외 / 도서출판 정담 /
for nurse REVIEW BOOK / 김조자 외 / 메디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