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 요
1. 1 계획의 목적 ..........................................3
1. 2 계획의 범위 ..........................................3
1.2.1 공간적 범위
1.2.2 이용적 범위
1. 3 계획의 기준 .....................................3
1.3.1 설계 개념
1.3.2 설계 목표
Ⅱ. 계획의 구상 및 내용
2. 1 이용인구 산정 .........................................4
2. 2 토지이용계획 ........................................4
2. 3 계획의 방향 ........................................5
2. 4 공간배분 ............................................5
Ⅲ. 부문별 계획
3. 1 급수계획 ............................................6
3.1.1 상수
3.1.1.1이용인구 및 상주인원에 따른 급수량 산정
3.1.1.2 급수방법
3.1.1.3 관경이 표기된 급수 관망도
3. 2 오수계획 ..........................................10
3.2.1 오수계획
3.2.1.1 오수량 산정
3.2.1.2 오수처리방법
3.2.1.3 오수관망도
1. 1 계획의 목적 ..........................................3
1. 2 계획의 범위 ..........................................3
1.2.1 공간적 범위
1.2.2 이용적 범위
1. 3 계획의 기준 .....................................3
1.3.1 설계 개념
1.3.2 설계 목표
Ⅱ. 계획의 구상 및 내용
2. 1 이용인구 산정 .........................................4
2. 2 토지이용계획 ........................................4
2. 3 계획의 방향 ........................................5
2. 4 공간배분 ............................................5
Ⅲ. 부문별 계획
3. 1 급수계획 ............................................6
3.1.1 상수
3.1.1.1이용인구 및 상주인원에 따른 급수량 산정
3.1.1.2 급수방법
3.1.1.3 관경이 표기된 급수 관망도
3. 2 오수계획 ..........................................10
3.2.1 오수계획
3.2.1.1 오수량 산정
3.2.1.2 오수처리방법
3.2.1.3 오수관망도
본문내용
(ℓ/㎡)
일최대급수량
(㎡/일)
비고
계
4,259.36
195
123.319
관리안내동
2,032.87
30
60.986
매표소
28.8
20
0.576
매점
546.0
20
10.920
동물관리소
1,099.68
30
32.990
퇴비사, 소각장
184.0
20
3.680
동물사식당
257.45
40
10.298
화장실
110.56
35
3.869
3.1.1.3 급수방법
1) 급수관 관경 결정
본 사업지구의 생활용수 공급계획은 기존상수도가 매설되어 있어 본 계획에서 D300으로 분기하여 동물원 진입도로 시점부터 가압펌프장을 설치하여 배수지 에 압송하도록 계획. 건물로 들어가는 관은 D200, 동물에게 필요한 용수로 가 는 관은 D250, D300으로 결정 하였다.
2) 급수방법 결정
펌프직송방식
저수조에 부스터펌프에 의해 각수 또는 위생기구 까지 가압하여 급수하는 방식이다. 기계 장치류가 복잡하지만 자동운전이 용이하고 수질오염이 적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고가수조 미설치로 미관상 건축이 양호하며 건축공사 비가 절감된다.
국내제작이 어려워 수입에 의존하고(국내조립을 하며 최근에는 개발한 회사 도 있음.) 운전비가 많이 소요되며 다수의 펌프를 병렬 운전하여야 하므로 자 동제어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주로 중력식(고가수조방식)이 용이하지 않 는 고층건물과 평균적인 사용량이 다른 경우, 저층으로 부지가 큰 경우에 쓰 인다.
3.1.1.4 관경이 표기된 급수 관망도
3.2 하수계획
3.2.1 오수
- 본 사업지구에 발생한 오수처리계획은 동물사와 오수와 이용객의 오수량으 로 구분 2개 지역으로 관로 계획을 수립 처리토록 계획.
- 동물사의 배설물은 수거 후 퇴비화 처리.
3.2.1.1 오수량 산정
- 계획 오수량의 원단위는 본 사업지구의 상수도 원단위 기준으로 하여 원단 위를 산정하였다.
- 일최대오수량
일최대급수량 x 오수회귀율 (80%) + 지하수유입량
- 계획일 평균 오수량
계획일 최대오수량의 80%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계획일 최대오수량의 1.5배 (1.3~1.8배 표준)
- 지하수 유입량
일최대 오수량의 15% (10~20% 기준)
계획 오수량 산정
구분
일최대
급수량
(㎡/일)
일최대
오수량
(㎡/일)
지하수
유입량
(㎡/일)
계획일최대오수량
(㎡/일)
시간최대
오수량
(㎡/일)
비고
계
400
319.36
47.90
370
550
이용객
81
64.8
9.72
74.52
111.78
상근자
13.5
10.8
1.62
12.42
18.63
동물사
168.7
134.96
20.24
155.20
232.8
기타편익
부대시설
136
108.8
16.32
125.12
187.68
동물원지구 동물사 오수량 산정
동물사명
급수량(l/두.일)
하수량
(㎡/두)
오수량(㎡/두)
식수
연못
청소
계
오수량
청소
오수량
계
원단위
계
호랑이사
1.20
2.5
3,4771
1,249
4,728.50
1.162
0.228
0.652
0.880
곰사
1.15
9.2
10,819
833
11,661.22
7.997
3.2
0.652
3.852
원숭이사
0.185
3.16
3,329
833
4,165.16
2.484
1.99
0.435
2.425
악어사
4.75
57.02
57,030
1,249
58,336.02
45.654
-
0.435
0.435
조류사
0.015
0.27
270
-
270.27
0.216
-
-
-
하마사
4.75
57.02
57,030
1,249
58,336.02
45.654
-
0.435
0.435
물새사
0.067
8.2
6,411
83
6,502.20
0.289
-
-
-
타조.낙타사
1.02
4.08
-
145
149.08
1.338
1.354
0.145
1.499
사슴사
0.25
4.5
2,980
486
3,470.50
1.206
3.36
0.218
3.578
코끼리사
0.90
3.6
1,827
833
2,663.60
1.437
0.56
0.435
0.995
아기동물사육
0.12
1.22
1,346
1,249
58,336.02
0.975
0.65
0.218
0.868
계
14.407
150.7
175,813
8,209
208,618.59
108.412
11.342
3.625
14.967
3.2.1.2 오수처리방법
하수도법에 의거하여 설치된 공공하수도로 배제한 오수는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공공수역에
방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수의 처리정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대별된다.
(1) 일차천리 (침전법)
(2) 이차처리
활성슬러지법, 표준 살수여상법 및 기타 이와 같은 정도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3) 삼차처리
여과법, 활성탄흡착법, 질소와인의 제거법 및 기타 이와같은 정도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하수의 처리방법은 이론적으로는 방류수역의 수량 및 물의 이용상황을 기초로 하여 방류수역의 목표수질을 정하고, 방류수역의 허용오염부하량과 처리장 유입하수의 오염부하량에 의해 필요한 제거율을 산정하므로써 결정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류수역에는 처리장으로부터의 방류수 뿐만 아니라 처리구역 외의 공장 폐수 등도 방류되는 한편 방류수역의 목표수질도 영구불변한 것이 아니므로 처리장의 방류수의 수질 오염 부하량은 일률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방법은 원칙적으로는 이차처리로서 계획하되, 특히 수질환경기준의 달성을 위해 또는 호소, 폐쇄해역 등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삼차처리등의 고도처리계획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단, 방류수역의 성격, 처리장의 규모 등이 장래에도 수질보전에 분명히 지장이 없다고 단정될 경우, 또는 공장폐수 등의 전처리를 위한 중간적 처리시설이 경우는 반드시 이차처리로 계획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인 처리방법에 대하여는 유입하수의 수량, 수질, 부하변동, 처리장의 규모 및 입지조건 그리고 유지관리상의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공장 폐수가 포함된 경우의 수질적인 영향, 단지하수에 미치는 수량, 수질적인 부하변동 등에 대해 충분히 배려함과 함께 처리장의 규모 및 처리장주변의 환경조건을 고려하고, 처리 관리의 체제 및 우지관리비 등을 감안하여, 유지관리가 가장 쉬운 처리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3.2.1.3 오수관망도
일최대급수량
(㎡/일)
비고
계
4,259.36
195
123.319
관리안내동
2,032.87
30
60.986
매표소
28.8
20
0.576
매점
546.0
20
10.920
동물관리소
1,099.68
30
32.990
퇴비사, 소각장
184.0
20
3.680
동물사식당
257.45
40
10.298
화장실
110.56
35
3.869
3.1.1.3 급수방법
1) 급수관 관경 결정
본 사업지구의 생활용수 공급계획은 기존상수도가 매설되어 있어 본 계획에서 D300으로 분기하여 동물원 진입도로 시점부터 가압펌프장을 설치하여 배수지 에 압송하도록 계획. 건물로 들어가는 관은 D200, 동물에게 필요한 용수로 가 는 관은 D250, D300으로 결정 하였다.
2) 급수방법 결정
펌프직송방식
저수조에 부스터펌프에 의해 각수 또는 위생기구 까지 가압하여 급수하는 방식이다. 기계 장치류가 복잡하지만 자동운전이 용이하고 수질오염이 적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고가수조 미설치로 미관상 건축이 양호하며 건축공사 비가 절감된다.
국내제작이 어려워 수입에 의존하고(국내조립을 하며 최근에는 개발한 회사 도 있음.) 운전비가 많이 소요되며 다수의 펌프를 병렬 운전하여야 하므로 자 동제어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주로 중력식(고가수조방식)이 용이하지 않 는 고층건물과 평균적인 사용량이 다른 경우, 저층으로 부지가 큰 경우에 쓰 인다.
3.1.1.4 관경이 표기된 급수 관망도
3.2 하수계획
3.2.1 오수
- 본 사업지구에 발생한 오수처리계획은 동물사와 오수와 이용객의 오수량으 로 구분 2개 지역으로 관로 계획을 수립 처리토록 계획.
- 동물사의 배설물은 수거 후 퇴비화 처리.
3.2.1.1 오수량 산정
- 계획 오수량의 원단위는 본 사업지구의 상수도 원단위 기준으로 하여 원단 위를 산정하였다.
- 일최대오수량
일최대급수량 x 오수회귀율 (80%) + 지하수유입량
- 계획일 평균 오수량
계획일 최대오수량의 80%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계획일 최대오수량의 1.5배 (1.3~1.8배 표준)
- 지하수 유입량
일최대 오수량의 15% (10~20% 기준)
계획 오수량 산정
구분
일최대
급수량
(㎡/일)
일최대
오수량
(㎡/일)
지하수
유입량
(㎡/일)
계획일최대오수량
(㎡/일)
시간최대
오수량
(㎡/일)
비고
계
400
319.36
47.90
370
550
이용객
81
64.8
9.72
74.52
111.78
상근자
13.5
10.8
1.62
12.42
18.63
동물사
168.7
134.96
20.24
155.20
232.8
기타편익
부대시설
136
108.8
16.32
125.12
187.68
동물원지구 동물사 오수량 산정
동물사명
급수량(l/두.일)
하수량
(㎡/두)
오수량(㎡/두)
식수
연못
청소
계
오수량
청소
오수량
계
원단위
계
호랑이사
1.20
2.5
3,4771
1,249
4,728.50
1.162
0.228
0.652
0.880
곰사
1.15
9.2
10,819
833
11,661.22
7.997
3.2
0.652
3.852
원숭이사
0.185
3.16
3,329
833
4,165.16
2.484
1.99
0.435
2.425
악어사
4.75
57.02
57,030
1,249
58,336.02
45.654
-
0.435
0.435
조류사
0.015
0.27
270
-
270.27
0.216
-
-
-
하마사
4.75
57.02
57,030
1,249
58,336.02
45.654
-
0.435
0.435
물새사
0.067
8.2
6,411
83
6,502.20
0.289
-
-
-
타조.낙타사
1.02
4.08
-
145
149.08
1.338
1.354
0.145
1.499
사슴사
0.25
4.5
2,980
486
3,470.50
1.206
3.36
0.218
3.578
코끼리사
0.90
3.6
1,827
833
2,663.60
1.437
0.56
0.435
0.995
아기동물사육
0.12
1.22
1,346
1,249
58,336.02
0.975
0.65
0.218
0.868
계
14.407
150.7
175,813
8,209
208,618.59
108.412
11.342
3.625
14.967
3.2.1.2 오수처리방법
하수도법에 의거하여 설치된 공공하수도로 배제한 오수는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공공수역에
방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수의 처리정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대별된다.
(1) 일차천리 (침전법)
(2) 이차처리
활성슬러지법, 표준 살수여상법 및 기타 이와 같은 정도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3) 삼차처리
여과법, 활성탄흡착법, 질소와인의 제거법 및 기타 이와같은 정도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하수의 처리방법은 이론적으로는 방류수역의 수량 및 물의 이용상황을 기초로 하여 방류수역의 목표수질을 정하고, 방류수역의 허용오염부하량과 처리장 유입하수의 오염부하량에 의해 필요한 제거율을 산정하므로써 결정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류수역에는 처리장으로부터의 방류수 뿐만 아니라 처리구역 외의 공장 폐수 등도 방류되는 한편 방류수역의 목표수질도 영구불변한 것이 아니므로 처리장의 방류수의 수질 오염 부하량은 일률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방법은 원칙적으로는 이차처리로서 계획하되, 특히 수질환경기준의 달성을 위해 또는 호소, 폐쇄해역 등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삼차처리등의 고도처리계획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단, 방류수역의 성격, 처리장의 규모 등이 장래에도 수질보전에 분명히 지장이 없다고 단정될 경우, 또는 공장폐수 등의 전처리를 위한 중간적 처리시설이 경우는 반드시 이차처리로 계획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인 처리방법에 대하여는 유입하수의 수량, 수질, 부하변동, 처리장의 규모 및 입지조건 그리고 유지관리상의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공장 폐수가 포함된 경우의 수질적인 영향, 단지하수에 미치는 수량, 수질적인 부하변동 등에 대해 충분히 배려함과 함께 처리장의 규모 및 처리장주변의 환경조건을 고려하고, 처리 관리의 체제 및 우지관리비 등을 감안하여, 유지관리가 가장 쉬운 처리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3.2.1.3 오수관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