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본문내용
성요소인 유동자산(CA), 유형자산(TA), 투자자산(INV), 무형자산(IA)은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계수에 의하면 무형자산(IA)이 다른 자산구성요소에 비해 가장 작은 계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무형자산 1원의 가치관련성이 다른 자산요소 1 원의 가치관련성보다 작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무형자산의 구성요소들 가운데 영업권(GW)과 개발비(RDC)는 1% 수준에서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재산권(IP)와 기타무형자산(OTHA)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형자산구성요소들의 가치관련성은 영업권(GW)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이 개발비(RDC)이다. 이는 선행연구결과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재산권과 기타 무형자산의 세부 구성항목에 대한 분석을 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이익이 음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모두 연구개발비(RDE)는 1% 수준에서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광고선전비는 1%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비(ED)의 경우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의 경우 선행연구들에서도 대체로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광고선전비의 경우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와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해 주고 있다. 교육훈련비의 비유의적인 결과도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진행된 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대차대조표 또는 손익계산서 가운데 하나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분석해 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의 문제로 인해 변수들을 더 세분화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점이 아쉽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개선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을 분석해보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손익계산서 항목 가운데 광고선전비와 교육훈련비의 경우 고객자산과 인적자산을 대표하는 항목이라고 생각하여 모형에 포함시켰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광고선전비 외에 판매비에 속한 항목들을 추가하고, 교육훈련비의 경우도 인건비 가운데 무형자산성 지출이라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추가하여 분석해 본다면 보다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이준환 (2001), "무형자산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 : 미국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지인, 정혜정, 이경주 (2002), “회계이익과 장부가액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4, 513-533. (본문에 참조한 문헌을 구분하기 어려움, 같은 년도)
정혜영, 조성인 (2004),“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29(3), 1-31.
조성표 (2000), “지식자본시대 회계의 과제 : 무형자산의 측정과 보고,” 회계저널, 9(2), 135-163.
Barth,M., and S. Kallapur (1996), "The Effects of Cross-Sectional Scale Differences on Regression Results in Empirical Accounting Research,"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3, 527-567.
Blair, M. and S. Wallman (2001), Unseen Wealth, Brooking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 C. USA.
Bublitz, B. and M. Ettredge (1989), "The information in Discretionary Outlays; Advert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Accounting Review, 108-124.
Chan, C. K. Lous, J. Lakonishok, and T. Sougiannis (2001), "The Stock Market Valu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Journal of Finance, 56, 2431-2456.
Chauvin, K. and M. Hirschey (1993), "Advertising, R&D Expenditure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Financial Management, 128-140.
Collins, D., E. Maydew and I. Weiss (1997), "Changes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h Year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4, 39-67.
Hall, B. (1993), "The Stock Market's Valuation of R&D Investing During the 1980's," American Economic Review, 259-264.
Hayn, C. (1995), "The Information Content of Losse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0, 125-153.
Lev, B. and T. Sougiannis (1996), "The Capitalization, Amortization, and Value - Relevance of R&D,"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1, 107-138.
Ohlson, J. (1995),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1, 661-687.
지금까지 진행된 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대차대조표 또는 손익계산서 가운데 하나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분석해 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의 문제로 인해 변수들을 더 세분화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점이 아쉽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개선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을 분석해보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손익계산서 항목 가운데 광고선전비와 교육훈련비의 경우 고객자산과 인적자산을 대표하는 항목이라고 생각하여 모형에 포함시켰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광고선전비 외에 판매비에 속한 항목들을 추가하고, 교육훈련비의 경우도 인건비 가운데 무형자산성 지출이라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추가하여 분석해 본다면 보다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이준환 (2001), "무형자산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 : 미국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지인, 정혜정, 이경주 (2002), “회계이익과 장부가액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4, 513-533. (본문에 참조한 문헌을 구분하기 어려움, 같은 년도)
정혜영, 조성인 (2004),“무형자산관련 회계정보의 기업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29(3), 1-31.
조성표 (2000), “지식자본시대 회계의 과제 : 무형자산의 측정과 보고,” 회계저널, 9(2), 135-163.
Barth,M., and S. Kallapur (1996), "The Effects of Cross-Sectional Scale Differences on Regression Results in Empirical Accounting Research,"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3, 527-567.
Blair, M. and S. Wallman (2001), Unseen Wealth, Brooking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 C. USA.
Bublitz, B. and M. Ettredge (1989), "The information in Discretionary Outlays; Advert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Accounting Review, 108-124.
Chan, C. K. Lous, J. Lakonishok, and T. Sougiannis (2001), "The Stock Market Valu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Journal of Finance, 56, 2431-2456.
Chauvin, K. and M. Hirschey (1993), "Advertising, R&D Expenditure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Financial Management, 128-140.
Collins, D., E. Maydew and I. Weiss (1997), "Changes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h Year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4, 39-67.
Hall, B. (1993), "The Stock Market's Valuation of R&D Investing During the 1980's," American Economic Review, 259-264.
Hayn, C. (1995), "The Information Content of Losse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0, 125-153.
Lev, B. and T. Sougiannis (1996), "The Capitalization, Amortization, and Value - Relevance of R&D,"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1, 107-138.
Ohlson, J. (1995),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1, 661-687.
추천자료
경영조직의 하위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라인 옥션(Auction) 사이트 방문 결정 요인 연구(마케팅)
민주적 행정 방법론 연구
한국 패밀리 레스토랑의 고객분석 및 주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이론
[조사방법론]흡연의지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경영혁신][경영혁신기법][정보기술활용]경영혁신의 의의와 유형, 경영혁신기법의 등장배경, ...
[국가경재력, 국제경쟁력] 한국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 모색
조직문화의 개발
[인사계획] 인사계획의 의의와 내용, 과정, 인력예측 방법과 기법
조직구조론 기말고사
[과학기술]과학기술의 특성, 과학기술 문제점, 과학기술과 문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