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개발배경
3. 국제 상품화 현황
4. 국내 상품화 현황
5. 문제점
6. 향후전망
7. 맺음말
2. 개발배경
3. 국제 상품화 현황
4. 국내 상품화 현황
5. 문제점
6. 향후전망
7. 맺음말
본문내용
한 특허’를 통해 다국적 기업은 종자값에 부과된 기술사용료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는데, 이에 대해 제3세계는 전통적인 종자를 개발, 보전해왔던 소위 ‘농민의 권리(Farmers' Right)'에 대한 침해라고 주장하고 이를 적절히 보상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GMO 종자 특허는 농가의 자가채종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며 종자비용의 상승을 가져와 농민들에게 추가적인 영농비용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것이다.
GMO가 제3세계 개발도상국들의 빈곤과 기아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다국적 기업들의 주장과 달리 실제로는 식량난과 농민의 빈곤을 악화시켜 농촌공동체를 파괴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다국적 기업들은 1회용 종자에 거액의 로열티를 부과해 자사와 거래계약을 맺는 농민들에게 판매해 그 수확된 농산물을 유통업체가 회수해가는 경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도국 농민들을 다국적 기업의 하청계약자로 예속시키는 상황을 빚고 있으며 종자대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농민들을 빈곤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이다.
6. 향후전망
식품안전성 및 환경, 윤리적인 측면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지만 재배 면적과 시장 규모에 있어서 GMO는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의 방향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주로 목적이 되어왔던 제초제 저항성, 각종 병저항성 및 해충저항성, 저장성 및 유통성 향상의 목적을 갖는 GMO 제1세대 작물군에서 GMO 제2세대 작물군인 품질 및 영양개선식물의 개발과 함께 GMO 제3세대 작물군인 단백질, 항체 및 효소 등 유용물질을 식물체에서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GMO작물로 개발 방향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3세대 GMO식물은 21세기 산업에서 반도체 분야를 능가하리란 전망이다.
7. 맺음말
유전자변형 식품이 인체에 유해한지 무해한지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있고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문제지만 앞으로 세계적인 추세로 볼 때 유전자변형 식품의 소비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늘어나는 인구 속에서 식량을 능률적으로 대량 생산 하기 위해서는 유전공학 기술이 필수적으로 쓰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로 인한 식품들이 인체에 유해하거나 치명적인 작용을 일으킨다면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한 식량의 생산은 무의미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연구와 시간을 투자해서 인체에도 무해하고 안전한 식량을 유전공학의 기술로 만들어 낸다면 다가올 미래에 인류의 삶이 풍요로워질 것이다.
GMO가 제3세계 개발도상국들의 빈곤과 기아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다국적 기업들의 주장과 달리 실제로는 식량난과 농민의 빈곤을 악화시켜 농촌공동체를 파괴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다국적 기업들은 1회용 종자에 거액의 로열티를 부과해 자사와 거래계약을 맺는 농민들에게 판매해 그 수확된 농산물을 유통업체가 회수해가는 경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도국 농민들을 다국적 기업의 하청계약자로 예속시키는 상황을 빚고 있으며 종자대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농민들을 빈곤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이다.
6. 향후전망
식품안전성 및 환경, 윤리적인 측면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지만 재배 면적과 시장 규모에 있어서 GMO는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의 방향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주로 목적이 되어왔던 제초제 저항성, 각종 병저항성 및 해충저항성, 저장성 및 유통성 향상의 목적을 갖는 GMO 제1세대 작물군에서 GMO 제2세대 작물군인 품질 및 영양개선식물의 개발과 함께 GMO 제3세대 작물군인 단백질, 항체 및 효소 등 유용물질을 식물체에서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GMO작물로 개발 방향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3세대 GMO식물은 21세기 산업에서 반도체 분야를 능가하리란 전망이다.
7. 맺음말
유전자변형 식품이 인체에 유해한지 무해한지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있고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문제지만 앞으로 세계적인 추세로 볼 때 유전자변형 식품의 소비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늘어나는 인구 속에서 식량을 능률적으로 대량 생산 하기 위해서는 유전공학 기술이 필수적으로 쓰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로 인한 식품들이 인체에 유해하거나 치명적인 작용을 일으킨다면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한 식량의 생산은 무의미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연구와 시간을 투자해서 인체에도 무해하고 안전한 식량을 유전공학의 기술로 만들어 낸다면 다가올 미래에 인류의 삶이 풍요로워질 것이다.
추천자료
유전자 재조합 식품은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하는가?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고찰
GMO(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과 ‘유용성’의 연구 (긍정적 관점 접근)
유전자변형작물의현황및고찰[GMO
유전자 재조합 작물
[GMO]GMO(유전자재조합식품) 논란의 원인과 주요쟁점 소개, GMO - 안전성 확보와 식량부족 문...
[GMO]GMO(유전자재조합식품, 유전자변형식품)의 정의와 목적, GMO(유전자재조합식품, 유전자...
유전자재조합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과 위험성, 유전자재조합식품(GMO, 유전자변...
유전자변형농산물(GMO)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A+자료]GMO, LMO에 관한 조별과제, GMO의 장점 단점, LMO의 장점 단점, 사례, GMO 현황, 유...
[보건영양 C형] 유전자 변형 식품의 잠재적인 건강 위험에 대해 기술
(재배식물육종학 공통)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술을 이용하여 육성된 신품종을 선정하여 육성과...
GMO,기술혁신과 사회변화,유전자변형식품,GMO의 종류,유전자 변형과정,GMO의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