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자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형문자
이집트상형문자 기호
히타이트상형문자와 선상문자 B

2. 알파벳
서 셈족의 자음 알파벳
그리스 문자
룬 문자
라틴 알파벳 문자

3. 마무리
참고도서

본문내용

룬 문자는 “과도기적 현상”이었다. 그것은 라틴 알파벳에 의해서 완전히 밀려났다.
라틴 알파벳 문자
라틴 알파벳 문자 26개는 오늘날 전 세계에서 문자 체계에 대한 토대로 사용되고 있다.
알파벳은 라틴어 문자에 기반을 두고 있는 여러 문자 체계에서 특수기호〔예를 들어 독일어의 <β>〕와 발음 구별부호〔, , , 불어의 악센트나 체코어의 하첵(v)〕, 즉 기존의 자모를 바탕으로 새로운 자모를 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호를 통해 확대된다.
라틴 알파벳은 처음에는 21개의 철자와 세 개가 그리스 숫자만을 가지고 있었다. , , , 와 같은 철자는 없었다. 왜냐하면 로마인들은 음소 /k/뿐만 아니라 음소 /g/에 대해서도 에트루리아 철자 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나중에야 비로소 표기할 때 두 음소를 구별하기 위해 한 획을 추가하여 자를 만들었다. 자는 기원전 2세기에 추가되었다. 이 철자들은 직접 그리스 문자에서 물려받았고, 그리스 이름과 용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었다. 는 그 뒤에 추가되었다.
고고지 독일어에서 이와 결부된 음가에 상당하는 것이 라틴어에는 없었다. 그에 반해 독일어 텍스트에서는 모음 와 자음 를 구별하기 위해 따로 철자로 표시할 필요가 있었다.
기원후 3세기에 이미 알파벳 철자의 기본 형태가 확정되었고, 그 밖의 철자 형태의 변화는 쓰기 기술 방식에 지나지 않았다. 대문자 이탤릭체에서 소문자 이탤릭체가, 대문자 서체에서 소문자 서체가 만들어진 상황을 암데스-파스(1987)는 이렇게 설명한다.
“빨리 쓰기 위해 점차 여러 가지 특징을 생갹함으로써 철자는 단순화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대문자 B에서 소문자 b가 되고, 대문자 H에서 소문자 h의 형태가 생겨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탤릭체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확장되어, 예컨대 대문자 D에서 소문자 d, 대문자 Q에서 소문자 q 등의 형태들이 생겨난다. 이 때 빨리 쓰기 위한 경향 외에도 ‘깃털, 펜’(라틴어 penna)으로써 파피루스와 양피지에 글을 적는 필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 마무리
- 문자의 발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것은 단일 발생설(Monogenese)과 복합발생설(Polygenese)이다. 단일 발생설이란 쓰기가 어느 한 시점에서 발생되었다는 설이고 복합 발생설은 쓰기가 각기 독립적으로 여러 곳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다.
(슈미트와 프리드리히의 상반되는 견해) -P194
- 의미기술에서 언어기술로의 이행이 여러 번에 걸쳐 발전되었는데 발전과정에서 특징적인 것은 표음문자에 의한 표음 경향의 증가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모음기호와 자음기호를 가진 알파벳문자에서 최종목적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알파벳은 가장 추상적이고 가장 간단하며 가장 효율적인 문자 유형이지 이러한 사실이 모든 언어에서 알파벳이 최적의 문자유형이라는 것은 아니다.
참고도서
안영복, 핵심 히브리어 문법, 서울: 성광문화사, 1996.
이순한, 신약성서 헬라어, 서울 :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