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진실험의 개념과 의의
1. 진실험의 개념
2. 진실험의 발전배경
3. 진실험의 사용목적
4. 진실험의 의의
Ⅲ. 진실험(true experimental design)의 기본논리
1.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osttest-only control-group design)
2.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3. Solomon의 4집단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4. 요인설계(factorial design)
Ⅳ. 진실험의 장, 단점
1. 장점
2. 단점
Ⅴ. 결 론 - 평가와 전망
[참고 문헌]
Ⅱ. 진실험의 개념과 의의
1. 진실험의 개념
2. 진실험의 발전배경
3. 진실험의 사용목적
4. 진실험의 의의
Ⅲ. 진실험(true experimental design)의 기본논리
1.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osttest-only control-group design)
2.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3. Solomon의 4집단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4. 요인설계(factorial design)
Ⅳ. 진실험의 장, 단점
1. 장점
2. 단점
Ⅴ. 결 론 - 평가와 전망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밀한 변화 가능
5) 재현가능성이 높다.
6) 명확한 인과관계의 검증
2. 단점
1) 인위성부자연성
2) 적은 수의 표본
3) 윤리적인 문제로 실험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4) 독립변수의 강도가 실제 세계에서만큼 크게 작용하지 못한다.
Ⅴ. 결 론 - 평가와 전망
이같이 사회실험은 어떤 정책대안(예, 소득보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실험적 절차가 내적 타당성의 저해 요인을 제거하는 절차이기는하지만 사회실험에서도 내적 타당성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예를 든 근로유인실험의 경우 특히 검사요인(testing)과 상실요인(mortality)이 내적 타당성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먼저 실험대상이 되어 검사를 받는다는 사실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민감한 자극을 주어 실험의 목적과 기대하는 바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실험결과는 소득보장정책이라는 정책대안 그 자체의 결과가 아니라 참여자들의 정책대안에 대한 능동적 반응의 결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실요인이 문제가 되는데 근로유인실험에서는 실험이 미처 끝나기 전에 파탄한 가정이 많았다.
이러한 사회실험은 외적 타당성의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하다.
외적 타당성이란 실험이 행해진 특정상황 이외의 다른 상황에도실험에서 나타난 인과관계의 추론을 일반화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정책효과에 대한 주장의 외적 타당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들은 내적 타당성의 위협요인(검사요인, 상실요인 등)들과 유사하다.
그 밖에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협하는 몇 가지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통계적 회귀요인을 들 수 있다.
이는 사회실험이 수행된 상황이 다른 곳에 비하여 비정형적이거나 비대표적인 경우에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뉴저지와 펜실베니아에서의 상황이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앵커리지 등 미국의 다른 지역이나 한국 등 다른 나라의 상황과 다르다면 그 결과를 그대로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사회실험은 공무원과 고객 간의 상호작용의 형태 및 그들의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 등을 포함한 정책과정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대다수 중요한 정책과 프로그램은 매우 복잡한 경우가 많은데 사회실험을 위해서는 정책과정을 단순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사회실험은 이해 관련자들 간에 심한 갈등을 유발하는 광범위한 목표를 가진 프로그램이나 인력, 자원, 장비 등의 동일한 투입을 서로 다른 집단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인식하는 맥락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회실험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는 참여관찰과 작업일지 또는 일기의 사용에서부터 정책 델파이, 집단 토론 등에 이르기까지의 질적 방법들이 사용 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4
김명수,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2000
최봉기, 정책학, 박영사, 2004
조계표, 신 행정학, 대영문화사, 2002
김정기, 현대행정의 입문, 학문사, 2003
5) 재현가능성이 높다.
6) 명확한 인과관계의 검증
2. 단점
1) 인위성부자연성
2) 적은 수의 표본
3) 윤리적인 문제로 실험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4) 독립변수의 강도가 실제 세계에서만큼 크게 작용하지 못한다.
Ⅴ. 결 론 - 평가와 전망
이같이 사회실험은 어떤 정책대안(예, 소득보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실험적 절차가 내적 타당성의 저해 요인을 제거하는 절차이기는하지만 사회실험에서도 내적 타당성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예를 든 근로유인실험의 경우 특히 검사요인(testing)과 상실요인(mortality)이 내적 타당성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먼저 실험대상이 되어 검사를 받는다는 사실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민감한 자극을 주어 실험의 목적과 기대하는 바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실험결과는 소득보장정책이라는 정책대안 그 자체의 결과가 아니라 참여자들의 정책대안에 대한 능동적 반응의 결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실요인이 문제가 되는데 근로유인실험에서는 실험이 미처 끝나기 전에 파탄한 가정이 많았다.
이러한 사회실험은 외적 타당성의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하다.
외적 타당성이란 실험이 행해진 특정상황 이외의 다른 상황에도실험에서 나타난 인과관계의 추론을 일반화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정책효과에 대한 주장의 외적 타당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들은 내적 타당성의 위협요인(검사요인, 상실요인 등)들과 유사하다.
그 밖에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협하는 몇 가지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통계적 회귀요인을 들 수 있다.
이는 사회실험이 수행된 상황이 다른 곳에 비하여 비정형적이거나 비대표적인 경우에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뉴저지와 펜실베니아에서의 상황이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앵커리지 등 미국의 다른 지역이나 한국 등 다른 나라의 상황과 다르다면 그 결과를 그대로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사회실험은 공무원과 고객 간의 상호작용의 형태 및 그들의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 등을 포함한 정책과정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대다수 중요한 정책과 프로그램은 매우 복잡한 경우가 많은데 사회실험을 위해서는 정책과정을 단순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사회실험은 이해 관련자들 간에 심한 갈등을 유발하는 광범위한 목표를 가진 프로그램이나 인력, 자원, 장비 등의 동일한 투입을 서로 다른 집단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인식하는 맥락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회실험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는 참여관찰과 작업일지 또는 일기의 사용에서부터 정책 델파이, 집단 토론 등에 이르기까지의 질적 방법들이 사용 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4
김명수,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2000
최봉기, 정책학, 박영사, 2004
조계표, 신 행정학, 대영문화사, 2002
김정기, 현대행정의 입문, 학문사, 2003
추천자료
[기계실험]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 실험 및 결과
2진계수기 실험보고서
인장 실험 보고서
알루미늄 인장실험 - Instron 5582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시편의 변형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
[건설재료실험] 1-4 단위 체적중량 시험
생물학 실험보고서 - Genomic DNA 추출 및 PCR
[기계공학실험] #1. 중공축과 중실축에 작용하는 비틀림
전기 설계 공학 - 시퀀스 제어회로를 디지털논리회로로 구현
카운터 설계
[실험] 디지털 시계
기초전기전자 실험 - 전자 주사위 만들기
[건설재료실험]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기계공학 실험 - 인장시험(tension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