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운동으로 살펴본 사회변혁과 의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농민운동으로 살펴본 사회변혁과 의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혁과 혁명과 쿠데타

Ⅲ. 동학농민운동, 그 발생 배경

Ⅳ. 동학농민운동의 주체세력 형성

Ⅴ. 동학농민운동의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수 있어 군보(軍保)가 줄어들자, 가난한 군보에 대한 군포 징수는 도를 넘어 황구첨정(黃口簽丁)과 백골징포(白骨徵布)와 같은 불법징수가 성행하였다. 이와 같은 군정의 문란은 1750년(영조 26) 군포 2필을 1필로 줄이는 균역법(均役法)의 제정으로 부담이 줄기는 하였으나 기본적인 것은 그대로여서 가난한 양인들은 군포의 부담에 계속 시달렸다. 이러한 군포의 수취는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여 신분과 상관없이 호포나 호전(戶錢)을 내도록 하는 호포법(戶布法)을 시행하면서 완전히 폐지되었다.
환정은 춘궁기에 농민에게 식량과 씨앗을 빌려주었다가 추수한 뒤에 돌려받는 구빈(求貧)과 비축을 겸한 행정이다. 15세기 말부터 빌려준 곡식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보관하던 곡식이 자연 손실로 줄어들게 되자, 빌려준 곡식의 10분의 1을 모곡이라 하여 더 돌려받는 십일취모법(什一取耗法)을 시행하였다. 1514년(중종 9) 무렵에는 모곡의 10분의 1을 국가회계에 등록하는 제도를 만들어 환정을 국가세입의 일부로 정하였다. 임진왜란 등의 전란을 겪으면서 환곡은 계속 늘어났고 시간이 갈수록 그 폐해가 본격화되어 19세기에 일어난 민란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Ⅵ. 결론
사회를 변혁하고자 할 때 크게 위로부터의 변혁과 아래로부터의 변혁이 있다. 그러나 둘 다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첫째로 지도부의 통일된 지휘체계와 조직력, 그들의 전략과 전술, 사회를 변혁을 진행시키기 위한 훌륭한 무기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작 국민들이 주체적인 사회변혁의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성공의 여부는 말할 것도 없다. 그래서 둘째로는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이는 현 노무현 정권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노무현 정권에서 ‘주인 의식’의 힘에 대해 배웠다. 우리의 주인의식은 현재 부재중이다. 동학농민운동은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대중적 요구가 제대로 수용되지 못할 때, 부패한 지배세력이나 노골적인 외세침략에 대한 대중적 비판과 저항이 미약할 때 여기에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 및 영토 왜곡도 포함 된다 , 그 공동체가 어떤 처지로 전락하는지를 현재의 우리에게 생생하게 보여 주고 있다.
우리의 주인의식을 바로 세우지 않는다면 이 사회는 더욱 혼란스러워질 것이며, 그로 인해 돌아올 피해는 결국 우리 국민들의 몫이 될 것이 자명(自明)하다.
사회를 변혁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수많은 변수들이 있고, 그 변수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우리 국민들이 해야 할 일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할 일은 주인 의식을 바로 세우고 한국이 나를 위해 무엇을 해줄 것인지가 아닌 내가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봐야 할 때이다.
<참고문헌>
동학농민혁명(http://www.cein21.net/donghak/donghak.html)
동학농민혁명 기념재단 설립준비위원회(http://www.parangsae21.or.kr)
역사 문제 연구소(http://www.kistory.or.kr)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08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