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 언어의 특징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시어를 통한 의미 전달 비교

- 토속적인 시어와 도시적인 시어

3. 결론

본문내용

을 깨뜨리고 일상적인, 여과를 거치지 않은 듯하다. 시어를 사용해서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다. 그러고는 마지막에는 시가 음흉하게 불순해 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통해서 보면 작가는 자유롭게 보이지만 오히려 진정한 자유는 속박당하는 당시의 상황을 시에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순수시라고는 하지만 순수시가 아니고 불순해지듯 당시 사람들에게 보장되어 있는 자유도 자유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아주 작은 자유일 뿐 진정한 자유는 제한되어 있고 불순해졌음을 시 전체를 통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그의 생각을 표현하고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도시적이면서도 일상에 그대로 쓰여 우리가 접하기 쉬운 통속적인 시어들을 많이 사용했다. 그리고 자유라는 관념어를 많은 일상생활에 대비해 풀어내고 있다. ‘자유, 사랑’ 등과 같은 관념어는 ‘ 주택본권, 사기, 술, 오입, 월급, 도둑질, 상사, 출세, 택시, 라면, 공순이, 여대생, 커피’ 등으로 풀이되어 우리에게 전해진다. 작가는 아름다운 시대를 말하기보다는 통속적인 현실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3. 결론
<섬진강 5>와 <이 시대의 純粹詩>의 시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각 작가가 전달하고 싶어 하는 의미를 최대한 잘 드러낼 수 있는 시어들이 사용된 것 같다. <섬진강 5>에서는 힘든 세상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대처하는 자세에 대해 말하고자 토속적이면서도 정감어린 시어들을 많이 사용했고 <이 시대의 純粹詩>에서는 자유가 제한되고 불순해지는 당시의 현실을 비판하고자 통속적인 시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앞의 시와 대조해보면 그것은 도시적인 시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이처럼 이 두 시에 사용되는 시어는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극명히 대조되는 시어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각각의 작가의 생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는 어떠한 시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 시를 대표하는 몇 개의 시어가 그 시를 모두 말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시어는 단지 시에 사용되는 언어라는 의미를 넘어서 그 하나하나가 시 안에서 크게 기능하는 유기체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시에 대해 점점 많은 생각을 해나가고 있다. 시에 사용되는 시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연구해볼 기회를 갖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8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